뷰페이지

[런웨이 조선] 패딩솜은 속에, 홑겹옷은 겉에…한복 맵시 살리는 누비 스타일

[런웨이 조선] 패딩솜은 속에, 홑겹옷은 겉에…한복 맵시 살리는 누비 스타일

입력 2017-05-08 17:28
업데이트 2017-05-09 14: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⑧ 착장의 기술

‘같은 옷 다른 느낌’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볼 때가 종종 있다. 같은 옷이라도 누가 입었는지, 어떻게 입었는지에 따라 다르게 보인다는 얘기다. 체형과 피부색, 머리색, 분위기에 따라 같은 옷이라도 다르게 느껴질 것이다. 전통시대 사람들도 비슷한 옷을 입었지만 각기 다르게 보이는 것은 그때도 자기에게 맞는 스타일을 만들어 입었기 때문이다. 여성들은 한복과 다양한 치장으로 멋을 냈다 하지만 조선시대 남성들은 심플한 한복으로 어떻게 스타일을 표현했을까? 비슷한 옷이지만 착장의 기술에 멋내기 포인트가 있다.
이미지 확대
신윤복의 ‘야금모행’(국보 제135호)의 부분. 별감은 누비 배자 위에 생초로 만든 창의를 입고 그 위에 숙초로 만든 홍의를 입었다. 생생함과 부드러움 둘 다를 살릴 수 있는 착장법이다.  간송미술관 소장
신윤복의 ‘야금모행’(국보 제135호)의 부분. 별감은 누비 배자 위에 생초로 만든 창의를 입고 그 위에 숙초로 만든 홍의를 입었다. 생생함과 부드러움 둘 다를 살릴 수 있는 착장법이다.
간송미술관 소장
조선시대 남성들은 기본적으로 바지저고리를 입었다. 여기에 포를 덧입으면 예의를 차린 옷이 된다. 우리나라 옷은 기본적으로 계절에 민감하다. 팔다리를 감싸 추위를 막고 앞섶을 열어 더위를 이겼다. 이러한 형태를 전개합임형(前開合栣型) 또는 카프탄(caftan)형이라고 한다. 추울 때는 깊이 여며 허리에 띠를 매고 더울 때는 앞을 열어 바람이 통할 수 있도록 한다. 계절의 변화에 최적화된 형태이다.

그렇지만 여밈만으로 추위를 이겨 내긴 어려웠다. 이때는 우리가 패딩을 입듯이 솜옷을 입었다. 하지만 솜옷은 따뜻한 대신 투박하다. 솜의 두께에 따라 차이가 있긴 하지만 솜옷으로 맵시를 내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추위는 막으면서 세련된 느낌을 주는 방법이 필요했다. 바느질 솜씨 좋은 조선 사람들이 찾아낸 방법은 바로 누비이다. 누비는 두 겹의 옷감을 겹쳐 2~3땀씩 직선으로 바느질을 해 옷감이 따로 놀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침선기법이다. 이때 솜을 넣기도 하고 옷감만 덧대어 바느질하기도 한다.
이미지 확대
신윤복의 ‘유곽쟁웅’의 부분. 바지의 허리춤에 매단 주머니가 흰옷을 화려하고 생동감 있게 만든다. 간송미술관 소장
신윤복의 ‘유곽쟁웅’의 부분. 바지의 허리춤에 매단 주머니가 흰옷을 화려하고 생동감 있게 만든다.
간송미술관 소장
중요한 것은 솜의 두께와 누빔의 간격이다. 조끼나 배자를 만들 것인지, 긴 포(겉옷)를 만들 것인지, 도포 안에 받쳐 입을 것인지, 상체를 커 보이게 할 것인지 등을 고려하고 누비의 간격이나 두께를 정하고 다양한 종류의 스트라이프를 만들어 디자인에 반영했다. 누비는 공력이 많이 들어가는 옷이다. 그러니 일반 옷보다 훨씬 비쌌다. 누비의 스트라이프 무늬는 세련미까지 주어 겉옷으로 입어 자랑할 만했다. 하지만 전통시대 남성들은 아무리 비싼 누비옷이라 할지라도 솜옷을 겉옷으로 입지 않았다. 솜옷을 겉에 입는 것은 스타일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추위를 막기 위해 솜옷을 속에 입고, 겉에는 홑겹의 옷을 입어 오히려 맵시를 살렸다.

또 다른 방법은 옷감의 재질에 따라 옷의 순서를 정하는 것이다. 조선시대 옷 잘 입기로 소문난 사람들 중에 별감이 있다. 이들은 옷 색깔부터 눈에 확 띈다. 모두 검은색 갓을 쓸 때 이들은 노란색의 초립(草笠)을 쓴다. 그리고 흰색의 바지와 저고리 대신 보라색의 누비저고리에 외올뜨기 누비바지를 입고 그 위에 양색 비단을 누벼 만들거나 털로 만든 배자를 입는다. 다양한 색깔과 소재를 이용하는 안목이 돋보인다. 배자뿐만이 아니다. 배자 위에는 도포와 창의를 입는데 숙초(熟綃)로 만든 홍의를 겉에 입고 생초(生綃)로 만든 창의를 안에 받쳐 입는다. 생초는 섬유를 가공해 부드럽게 만들지 않았기 때문에 올이 꼿꼿하여 실 자체에 힘이 있다. 옷을 만들면 선이 빳빳하게 살아 있어 기상을 드러내기 좋다. 그에 반해 숙초는 부드럽게 흘러내리는 장점이 있다. 올이 살아 있는 생초를 안에 입고 흐르는 듯 부드러운 숙초를 겉에 입으면 생생하고 부드러운 맵시를 둘 다 살릴 수 있다.

별감의 복색은 일반인들과는 다르다. 그러나 그들의 옷 입는 방식은 일반인들에게도 영향을 주었다. 흰색 바지저고리를 입은 사대부들은 별감처럼 누비 배자를 입고 그 위에 흰색의 포를 입었다. 여기까지는 스타일을 표현하기에 단조롭다고 느낄 수 있다. 그래서 허리를 중심으로 매고 있는 주머니, 허리띠, 선추 등의 끈목을 활용해 스타일에 생명력을 불어넣는다. 남성들의 주머니는 양쪽으로 귀가 나온 것처럼 생겼다고 해 귀주머니라고 한다. 여기에 나비매듭, 도래매듭, 파리매듭, 별매듭을 색색으로 꿰어 차니 주머니와 함께 매듭 끈이 바지 아래 모습을 드러낸다.

허리띠도 마찬가지이다. 천으로 만든 포백대는 실제 바지를 묶거나 모자를 고정시킬 때 사용한다. 그러나 커다란 도포 위에 묶는 허리띠는 실용적인 목적보다는 장식이라고 볼 수 있다. 가늘고 둥근 세조대를 비롯해 굵고 둥근 동다회, 넓고 납작한 광다회, 오색사로 짠 교대가 있다. 길이가 무려 4m에 달한다. 누구라도 한 번 묶어서는 땅에 끌릴 수밖에 없다. 이 허리끈으로 두 번 이상 감은 다음 매듭이 풀리지 않게 한 가닥을 고리처럼 만들되 허리끈이 포의 밑단보다 길게 늘어지지 않게 맨다. 그래야 허리끈의 양쪽 끝에 달린 딸기술이 흔들리며 생동감을 준다.
이미지 확대
이민주 한국학중앙연구원 선임연구원
이민주 한국학중앙연구원 선임연구원
바지저고리, 도포 등은 대체로 크고 단순한 의복이다. 그러나 착장의 기술로 스타일을 만들고 선을 살렸다. 아무리 비싼 솜옷, 누비옷이라도 품위를 위해서라면 오히려 속으로 감추고 주머니와 허리띠만으로도 단순한 옷에 포인트를 살려 스타일을 만들었다. 결코 과하지 않으면서 멋을 아는 진정한 멋쟁이의 차림새가 바로 이것이다.

이민주 한국학중앙연구원 선임연구원
2017-05-09 2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