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런웨이 조선] 또드락딱딱~ 또드락딱딱딱~ 글 읽는 소리만큼 아름답네

[런웨이 조선] 또드락딱딱~ 또드락딱딱딱~ 글 읽는 소리만큼 아름답네

입력 2017-05-01 20:36
업데이트 2017-05-01 21: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⑦ 다듬이 소리

옛 선인들이 꼽은 세 가지 기쁜 소리가 있다. 아기 울음소리, 글 읽는 소리 그리고 다듬이 소리다. 집 안에서 아기 울음소리가 들린다는 것은 대가 끊기지 않았음을 증명하는 것이니 누가 들어도 기쁜 소리이다. 또 글 읽는 소리도 그렇다. 어린아이가 처음 글을 익히고 떠듬떠듬 읽는 모습을 상상해 보면 말로 표현할 수 없이 귀엽고 기특한 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또 젊은이의 글 읽는 소리라면 입신양명의 꿈이 실현되는 기대와 의지가 담겨 있을 것이니 모두가 기쁜 소리임에 분명하다. 그런데 그 기쁜 소리 중에 다듬이 소리를 꼽았다고 하니 조금은 생뚱맞다. 왜 다듬이 소리가 기쁜 소리가 되었을까.
이미지 확대
조선 말기 풍속화가 기산 김준근의 그림. 두 여성이 마주 앉아 다듬이질을 하고 있다. 서로의 눈을 마주 보며 마음을 맞출 때 다듬이 소리는 비로소 맑고 청아한 소리가 되어 온 동네에 퍼진다.  숭실대 한국기독교박물관 제공
조선 말기 풍속화가 기산 김준근의 그림. 두 여성이 마주 앉아 다듬이질을 하고 있다. 서로의 눈을 마주 보며 마음을 맞출 때 다듬이 소리는 비로소 맑고 청아한 소리가 되어 온 동네에 퍼진다.
숭실대 한국기독교박물관 제공
방망이로 다듬잇돌을 때려 보면 각각 다른 소리가 난다. 어떤 것은 딱, 땅, 뚝, 쨍. 그리 듣기 좋은 소리가 아니다. 그런데 다듬잇돌 위에 빨랫감을 올려놓고 마주 앉아 리듬을 타면 그 소리는 도닥도닥, 똑딱똑딱, 또드락딱딱 또드락딱딱 소리로 이어지며 흥겨운 리듬을 만들어 청아하게 울려 퍼진다. 그런다고 어찌 다듬이 소리만 좋은 소리가 될 수 있나. 오히려 멋진 악기들이 만들어 내는 아름다운 소리가 더 많지 않을까.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듬이 소리가 기쁜 소리에 들어간 데에는 이유가 있을 것이다.
이미지 확대
다듬잇돌. 국립민속박물관 제공
다듬잇돌.
국립민속박물관 제공
다듬이질을 가장 많이 하는 때는 추석이나 설과 같은 명절 혹은 혼인 등의 큰 행사를 앞둔 때이다. 설빔, 추석빔을 만들려면 바쁘게 옷감을 손질해야 한다. 또 혼사를 앞두고 방석, 이불 등 살림살이를 장만해야 할 때도 마찬가지다. 한두 조각의 옷감이 아니라 적어도 몇 필의 옷감은 손질해 놔야 필요한 옷과 이불을 만들 수 있다. 옷감이 있다고 해서 옷이나 이불이 완성되는 것은 아니다. 미리 준비한 옷감을 깨끗이 세탁하고 풀을 먹인 다음 반듯하게 다듬이질을 해서 손질해 놓아야 한다.
이미지 확대
이민주 한국학중앙연구원 선임연구원
이민주 한국학중앙연구원 선임연구원
그러나 노동의 강도는 만만치 않다. 빨래부터 보통 일이 아니다. 깨끗한 물이 흐르는 냇가로 빨랫감을 이고 나가 찬물에 손을 넣어 빨래를 하고 햇볕 좋은 곳에 말려야 한다. 여기까지는 풀을 먹이기 위한 준비 단계일 뿐이다. 각 옷감에 맞게 다양한 종류의 풀을 농도에 맞추어 푸새하는 것은 숙련된 기술이 필요하다. 옷감의 종류와 색깔에 따라 풀의 종류와 다듬이 방법을 달리해야 옷감이 윤이 나고, 색이 선명하게 된다.

빙허각 이씨의 ‘규합총서’에 실린 다듬이질 노하우를 들어보자.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귀하다고 생각한 자주색은 풀을 뜨물과 같은 농도로 묽게 개어 먹인 뒤 살짝 말랐을 때 힘껏 밟아 홍두깨에 감아 밀어가며 다듬질한다. 푸른색을 만들 때에는 대왕풀을 먹이고, 진홍색에는 대왕풀과 아교풀을 섞어 먹여야 한다. 또 보라색은 생토란을 갈아 그 즙을 먹이고 아청색은 아교풀을 먹인다. 또 직물에 따라서는 비단에는 대왕풀을 먹이고 명주는 달걀흰자를 녹말풀에 섞어 쓰며 무명에는 백면가루를 섞어 먹이고 모시는 활석이나 녹말을 먹여야 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제 풀을 먹였으면 햇볕에 널어 꾸덕꾸덕하게 말릴 차례이다. 너무 바짝 마르면 다듬이질이 어렵게 되니 손에 물을 묻혀 골고루 뿌려 주거나 입으로 물을 뿜어 숨을 죽인다. 이 또한 기술이 필요하다. 물을 뿌렸으면 골고루 물이 배도록 보자기에 싸서 이리저리 뒤집어 가며 발로 밟는다. 밟는 작업이 끝나면 다시 펴서 양쪽에서 잡고, 틀어진 올을 맞추고 솔기도 잘 정리하면서 다듬잇돌보다 조금 작은 크기로 반듯하게 접는다.

이제 본격적으로 다듬이질이 시작된다. 다듬이질은 옷감을 홍두깨에 감아 방망이로 두들길 수도 있고 다듬잇돌 위에 올려놓고 할 수도 있다. 또 다듬이질은 혼자 할 수도 있고 둘이 마주 앉아 할 수도 있다. 혼자보다는 둘이 할 때 훨씬 리듬감이 있다. 다듬잇돌의 크기는 50㎝ 정도이다. 그러다 보니 서로 호흡이 맞지 않으면 방망이끼리 부딪치게 되거나 맨 다듬잇돌을 두들길 수도 있다.

다듬이 소리가 돌 깨지듯 둔탁한 것이 아니라 운율을 타고 리듬감 있게 나오려면 둘의 호흡이 잘 맞아야 한다. 한집에 살던 고부간이나 시누이, 올케 간 갈등이 있더라도 다듬이질을 할 때에는 마주 보고 앉아 호흡을 맞춰야 제대로 할 수 있다. 시어머니나 동서 간에 마음 상한 일이 있었다면 다듬이질을 제대로 할 수 있었을까. 아니면 방망이를 두드리며 쌓인 스트레스를 풀었을까. 방망이로 빨래를 두드리며 서로의 마음을 읽고 서로 눈을 쳐다보며 이해해야 비로소 방망이의 호흡도 척척 맞아떨어진다. 깊은 밤 다듬이 소리가 소음이 아니라 어떤 악기로도 표현할 수 없는 청아하고 정겨운 소리로 들렸던 것은 서로에게 맞추려 노력하고 이해하는 마음에서 방망이를 두들겼기 때문이다. 가족의 화목과 행복이 울려 퍼지는 소리. 어찌 기쁜 소리가 아니겠는가.

이민주 한국학중앙연구원 선임연구원
2017-05-02 25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