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동북공정, 그리고 일대일로/강인욱 경희대 사학과 교수

[열린세상] 동북공정, 그리고 일대일로/강인욱 경희대 사학과 교수

입력 2017-04-11 18:00
수정 2017-04-11 18:0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강인욱 경희대 사학과 교수
강인욱 경희대 사학과 교수
우리의 기억에는 고구려와 발해를 둘러싼 중국과의 역사 분쟁 씨앗이었던 동북공정이 여전히 새롭다. 동북공정은 2000년대 초반에 중국이 신장, 티베트 등 변방의 역사를 중화문명의 일부로 재편하려는 국가 사업의 일부였다. 최근 동북공정 사업의 여운이 사라지기도 전에 중국은 공정 사업을 유라시아 일대로 확대하고 있다. 그 배경에는 시진핑이 2011년에 내세운 실크로드의 중국식 버전인 ‘일대일로’에 있다. 이 사업은 중국의 경제적인 영향력을 유라시아 일대로 확대하는 것이 주목적으로, 그러한 정책을 역사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중국은 실크로드를 내세우며 주변 국가의 문화재 조사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동북공정 사업을 마무리하고 빠르게 유라시아로 영향력을 확대해 나가는 중국의 모습은 여러 모로 우리와 비교된다. 중국이 일대일로를 제창할 무렵 한국에서도 유라시아 이니셔티브로 대표되는 유라시아 연구 움직임이 시작됐다. 한국에서 동북공정과 유라시아에 대한 대응은 매우 빨랐으며, 적지 않은 예산이 투입된 다양한 사업도 적지 않았다. 하지만 과연 중국의 움직임에 체계적으로 대응하며, 유라시아 연구에서 주도권을 잡았는지는 극히 의심스럽다.

여러 유라시아 사업에서 반드시 등장하는 시베리아철도(TSR)가 좋은 예다. 한국에서는 여전히 춘원 이광수의 소설 ‘유정’에서 나오는 낭만의 시베리아철도를 떠올리지만, 지금 러시아에서 철도의 역할은 계속 감소하고 있다. 철도보다 저렴한 저가 항공이 경쟁하는 요즘 세상에 비행기를 놔두고 며칠씩 철도 여행을 하는 일은 거의 없다. 또한 화물의 수송은 철도보다 해운이 훨씬 효율적이기 때문에 북극항로의 개발에 적극적이다. 그런데 지난해 12월 러시아 대통령 푸틴은 일본의 아베 총리에게 시베리아철도를 사할린을 통해 일본으로 이을 수 있다는 제안을 했다. 사실 시베리아철도를 바다를 거쳐 일본으로 연결하는 것이 현실성 없다는 것은 누구보다 러시아 측이 잘 알고 있다. 그럼에도 이 제안이 나온 이유는 바로 한국이나 일본이 철도라는 환상에 빠져 있다는 것을 잘 알기 때문이었다.

우리의 북방 유라시아 사업이 천편일률적인 또 다른 이유는 현지 언어 미숙에도 있다. 지난 100여년간 소련의 영향이 미친 유라시아 각지는 대부분 러시아어로 통일됐다. 광활한 유라시아에 대한 실체적인 접근은 러시아어가 필수다. 그럼에도 한국의 여러 유라시아 사업에서 러시아어 자료가 충분히 활용되는 일은 일부였다. 또한 유라시아는 서로 이해관계가 다른 수십 개의 나라가 얽혀 있기 때문에, 각 지역에 대한 전문가가 많이 필요하다. 하지만 영어권 유학 선호도가 심한 한국의 상황에서 쉽게 양성되지 못하고 있다.

유라시아를 둘러싼 최근 한국과 중국의 경쟁은 동북공정을 둘러싼 상황과도 비슷하다. 한민족의 북방사를 놓고 지난 15년간 중국과 경쟁해 왔지만, 우리만의 연구 시각을 세계적으로 인정받는다고 확신하기는 여전히 부족하다. 게다가 한국에서 중국 동북 지역을 연구하는 학자는 여전히 적다. 얼마 전 한국을 방문했던 어떤 중국의 고구려 전공자마저도 정작 한국에 오니 대부분 남한만 전공해서 놀랐다고 말할 정도였다.

돌이켜 보면 그동안 한국에서는 북방에 대한 장기적인 비전을 준비하지 못한 채 단순히 애국심에 기반을 둔 비현실적인 영토 회복 주장이 난무했다. 다양한 연구 사업도 단기간에 결과를 의도하는 방향이 많았다. 이러는 사이 우리를 둘러싼 유라시아의 정세가 급변하고 있다. 러시아는 한국 대신 일본과 시베리아 경제 협력을 논의하기 시작했고,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를 둘러싼 한?중 갈등은 쉽게 해결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북방 지역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단기적으로는 냉각됐다고 해도 궁극적으로 북방 유라시아 지역에 대한 수요와 관심은 계속 커질 것이다. 지금부터라도 거대한 북방 유라시아에 대한 체계적인 대응을 위해 당장의 성과에 연연하지 않는 북방 유라시아의 여러 사업을 준비하고, 전문가를 양성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그것만이 동북공정에서 일대일로로 이르는 지난 15년간의 중국의 북방 경영 계획에 대한 우리의 궁극적인 대안을 마련하는 길이다.
2017-04-12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