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월호 희생자 유가족, 펄제거 작업참관
전남 목포시 목포신항에 세월호가 반잠수선에 실려 입항한지 나흘째인 3일 세월호 희생자 유가족들이 세월호 선수쪽에서 관계자들의 펄 제거 작업을 참관하고 있다. 2017.4.3 연합뉴스
소유자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지만 3년 동안 차가운 바닷속에 있었던 스마트폰 속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을지에 관심이 쏠린다.
희생자가 마지막에 기록한 사진, 동영상 등 사고 당시 정황이 담겨있을 수 있다는 기대에서다. 세월호 참사 진상규명의 중요한 단서로 쓰일 수도 있고, 개인적인 메시지를 확인할 가능성도 있다.
앞서 2014년 4월 16일 참사 직후 대한변호사협회 등은 전담팀을 구성해 휴대전화 데이터를 적극적으로 복구한 바 있다. 세월호 승객의 스마트폰에 담긴 사진과 동영상을 중요한 ‘증거’로 판단했다.
대한변협 세월호 참사 특별위원회 위원장을 지낸 이명숙 변호사는 “참사 직후에 스마트폰 수십 대를 발견해 1년 반 동안 4단짜리 금고에 가득 넣어두고 데이터를 복구했다”며 “사고 당시 상황을 파악하는 데 큰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당시 휴대전화에서 나온 동영상을 바탕으로 ‘가만히 있으라’는 취지의 선내 방송이 무수히 반복된 사실을 확인했고, 지시를 따르며 침몰 직전까지 이어진 어린 학생들의 대화는 온 국민에게 깊은 아픔을 남겼다.
다만 이번에 추가로 발견한 휴대전화에서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을지는 물음표로 남아 있다.
일단 3년 가까이 차가운 바닷물 속에 잠겨 있는 동안 기기가 완전히 부식됐을 가능성이 있다. 아무리 특수 처리된 금속이라도 강한 염분에 노출되면 불과 며칠 만에 금세 녹슬 수 있다.
한 전자회사 연구원은 “메모리 반도체가 부식됐다면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는 확률은 굉장히 낮을 것”이라며 “스마트폰이 얼마나 물을 머금었는지, 기기 내부가 얼마나 부식됐는지 등이 관건”이라고 설명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세월호 참사 당시 방수 기능을 갖춘 스마트폰이 거의 없었다”며 “방수 팩에 들어 있는 등 특수한 경우가 아니면 데이터 복구가 어려울 수 있다”고 말했다.
유보적인 견해도 있다. 서울 강남의 한 디지털 포렌식 업체 관계자는 “데이터 복구 여부는 실제 기기를 보기 전까지는 알 수 없다”며 “케이스 바이 케이스이기 때문에 단정적으로 이야기하기는 조심스럽다”고 전했다.
2014년 직접 세월호에서 나온 스마트폰을 복구했던 김인성 전 한양대 교수는 “메모리 반도체와 기판을 연결하는 금속 부분이 부식됐더라도 반도체는 괜찮을 수 있다”며 “낸드플래시를 만든 삼성전자나 하이닉스 등의 연구소에서 데이터 복구를 시도해볼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