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최첨단 무기전시장 된 한반도… 美·中 ‘줌월트 신경전’

최첨단 무기전시장 된 한반도… 美·中 ‘줌월트 신경전’

이창구 기자
이창구 기자
입력 2017-02-08 23:38
업데이트 2017-02-09 03: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레이더 안 잡히는 ‘꿈의 전투함’ 美, 제주 배치 제안 이후 쟁점화

中 “안보에 영향… 단호히 반대”
제2의 사드 갈등으로 부상 조짐
이미지 확대
이번에는 ‘줌월트’로 미국과 중국이 신경전을 펼치고 있다. 미국의 해리 해리슨 태평양 사령관이 지난달 20일 사령부를 방문한 한국 국방위 소속 국회의원들에게 “줌월트를 제주해군기지에 배치하면 어떻겠느냐”는 제안한 뒤부터다. 우리 국방부가 “미국이 요청하면 검토할 수 있다”고 하자 중국 외교부는 지난 7일 “중국 안보에 영향을 준다면 단호히 반대하겠다”고 나섰다.

줌월트는 미국의 ‘꿈의 전투함’으로 불리는 최신 스텔스 구축함이다. 전 세계 1대뿐으로 멀리서 미사일을 쏘는 이지스 구축함과 달리 레이더에 잡히지 않고 은밀하게 상대국에 접근할 수 있다. 미사일과 항공기를 요격하는 레이저포를 장착했으며 2020년 이후에는 음속 7배로 200㎞까지 탄두를 날리는 레일건도 탑재할 예정이다. 미국은 줌월트 한국 배치 구상이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을 차단하려는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지만, 중국은 유사시 자국 함대의 태평양 진출을 차단하는 강력한 걸림돌이 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문제는 미·중의 신경전이 첨예화하면서 한반도 주변이 점점 최첨단 전략무기의 전시장으로 변해 가고 있다는 점이다. 한반도 사드 배치 결정 이후 중국은 한·미·일 군사 협력 강화에 대비한다며 함대, 전투기, 탄도미사일 실험 등으로 한반도 주변을 위협하고 있고, 미국은 이에 대한 대응으로 최신형 무기를 전진 배치해 나가고 있다.

중국은 지난해 말부터 지난 1월 중순까지 항모 랴오닝호를 출항시켜 서해, 서태평양, 남중국해, 대만해협으로 이어지는 원양 훈련을 실시했다. 지난달에는 서해를 관할하는 북해함대에 처음으로 052D형 최신형 이지스 구축함 시닝함을 취역시켰다.

미국이 지난 4일 하와이 먼바다에서 일본과 공동개발한 차세대 요격 미사일 ‘SM3 블록 2A’의 해상발사 시험을 한 것에 대해서도 중국은 “우리의 탄도미사일을 겨냥한 것 아니냐”며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바다의 사드’로도 불리는 이 미사일은 몇 차례 요격실험을 더 거친 뒤 2021년 총 8척으로 확대될 일본 이지스함에 탑재될 전망이다. 관영 환구시보는 8일 사설을 통해 “사드와 ‘SM3 블록 2A’는 미국의 동북아 미사일방어(MD) 체계 구축의 핵심”이라면서 “중국은 미국의 MD보다 우월한 전략핵 역량을 갖추는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중국은 최근 사정거리 1만 4000㎞의 핵탄두 장착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둥펑41을 한반도 인근 랴오닝성에 배치했고 최신예 ICBM인 둥펑5C 실험발사에도 성공했다. 최신형 준중거리 탄도미사일 둥펑16 발사 훈련도 진행했다. 둥펑41과 둥펑5C는 미국 본토를, 둥펑16은 일본 오키나와의 주일 미군기지를 타격할 수 있다.

대공방어 체계의 연결고리를 끊는 전략무기인 스텔스 전투기 경쟁도 치열하다. 중국은 주력 스텔스 전투기 젠20 생산에 박차를 가하면서 미국의 F35에 맞설 5세대 스텔스 전투기 젠31의 시험비행도 지난해 말 실시했다. 또 러시아로부터 4.5세대 전투기 수호이35 4대를 지난해 인도받았다. 이에 미국은 해병대 소속의 최신예 스텔스 전투기인 F35 10대를 지난달 18일부터 일본 서부 이와쿠니 기지에 배치하기 시작했다. 젠20의 대응 전력으로 꼽히는 최신예 E2D 조기경보기도 일본에 배치했다.

베이징 이창구 특파원 window2@seoul.co.kr

서울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2017-02-09 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