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대통령 대국민 담화] “내가 이러려고 대통령 했나 자괴감”… 안보·경제 거론 땐 결연

[박대통령 대국민 담화] “내가 이러려고 대통령 했나 자괴감”… 안보·경제 거론 땐 결연

김상연 기자
김상연 기자
입력 2016-11-05 00:48
수정 2016-11-05 02:1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민께 드리는 말씀’ 9분 회견 안팎

잠 못 이룬 듯 얼굴 붓고 다소 초췌
짙은 회색 정장… 靑 비서진도 도열

박근혜 대통령의 얼굴은 열흘 전보다 어두워 보였다. 연설문 유출 의혹이 처음으로 확인됐던 지난달 25일 대국민 사과 때는 기력 없이 의기소침한 모습이었다면 4일 대국민 담화에서는 잠을 잘 이루지 못한 듯 얼굴이 퉁퉁 붓고 다소 초췌한 표정이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 비서진과 취재진이 청와대 춘추관 2층 기자회견장에 먼저 자리한 뒤 10시30분쯤 연단 뒤에서 홀로 걸어 들어왔다. 짙은 회색 정장 차림의 박 대통령은 손에 들고 온 담화문을 연단에 내려놓은 뒤 먼저 고개를 숙여 인사했다. 그러고는 바로 ‘국민께 드리는 말씀’을 읽어 내려갔다.

최순실 사태와 관련한 박 대통령의 두 번째 대국민 사과인 셈인 이날 담화문 발표는 전날 사전에 예고되면서 행사 준비도 평소처럼 진행됐다. 경호를 위해 행사장이 사전에 통제됐으며 대통령을 상징하는 봉황기와 함께 전면에 ‘대한민국 대통령’이라고 쓰인 연단 등도 준비됐다. 열흘 전에는 갑작스럽게 대국민 사과 일정이 마련되는 바람에 대통령 전용 연단과 봉황기 등은 없었다.

이날 담화 발표장에는 한광옥 신임 청와대 비서실장과 김관진 국가안보실장 등을 비롯해 청와대 주요 비서진 대부분이 도열했다. 열흘 전 대국민 사과 때 정무수석과 홍보수석, 대변인 등 일부 비서진만 서 있었던 것과 다른 장면이었다.

그러나 박 대통령 양옆으로 카메라, 사진 기자들이 포진해 있었기 때문에 참모들은 그 뒤로 밀려 서 있었고, 잘 보이지 않았다. 이 그림이 박 대통령을 외롭게 보이게 했다. 실제 박 대통령은 담화문에서 “국민 여러분, 저는 청와대에 들어온 이후 혹여 불미스러운 일이 생기지는 않을까 염려하여 가족 간의 교류마저 끊고 외롭게 지내 왔습니다”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열흘 전엔 힘없는 목소리로 체념한 듯 사과문을 읽어 내려가다 마지막 부분에서 눈물을 글썽였다면 이날은 처음부터 끝까지 중간중간 계속 울먹이는 듯한 목소리로 말을 이어 갔다.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먼저 이번 최순실씨 관련 사건으로 이루 말할 수 없는 큰 실망과 염려를 끼쳐드린 점 다시 한 번 진심으로 사과드립니다”라는 말로 입을 뗀 박 대통령의 눈시울은 갈수록 붉어졌으며 목소리는 다소 잠긴 듯 가라앉았다. 특히 “이미 마음으로는 (최씨와) 모든 인연을 끊었지만 앞으로 사사로운 인연을 완전히 끊고 살겠습니다”라는 대목에서 감정이 복받치는 듯 잠시 울컥하는 목소리였다.

또 “무엇으로도 국민의 마음을 달래드리기 어렵다는 생각을 하면 내가 이러려고 대통령을 했나 하는 자괴감이 들 정도로 괴롭기만 합니다”라고 말한 뒤에는 잠시 말을 잇지 못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내 말을 이어 갔고 담화문은 거의 끊기지 않았다.

박 대통령은 담화 도중 “가슴이 아프다”, “송구스럽다”, “가슴 깊이 통감한다”, “스스로 용서하기 힘들고 서글픈 마음”, “밤잠을 이루기도 힘들다”, “가슴이 찢어지는 느낌” 등을 통해 참담한 심경을 수차례에 걸쳐 표현했다.

그러나 안보 위기와 경제 문제를 거론하면서 “국정은 한시라도 중단돼선 안 된다”고 말할 때는 최순실 사태 이전의 박 대통령이 살짝 연상될 만큼 목소리가 다소 결연해지기도 했다.

이날 담화문 내용의 대부분은 기자들이 어느 정도 예상했던 것이지만, 청와대에서 굿을 한 적이 결코 없다거나 최씨와 절연하겠다는 언급 등은 예상치 못한 것이었다. 또 박 대통령이 김병준 총리 후보자와 책임총리제에 대해 일절 언급하지 않은 것도 예상을 빗나가는 것이었다.

박 대통령은 10시 39분에 연설을 마치고 다시 한 번 고개 숙여 인사했다. 기자들은 지난번처럼 박 대통령이 몸을 돌려 바로 퇴장할 줄 알았다. 그런데 돌연 연단에서 내려와 기자들에게 걸어왔다. 그러고는 침통한 표정에 작은 목소리로 “여러분께도 걱정을 많이 끼쳐서 정말 미안한 마음입니다. 이만 물러가겠습니다”라고 말한 뒤 바로 뒤돌아서 힘없이 기자회견장을 걸어나갔다. 묻고 싶은 게 너무 많았는데 묻지 못했다.

김상연 기자 carlos@seoul.co.kr
2016-11-05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