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로의 아침] 인맥으로 굴러가는 나라에서/함혜리 선임기자 겸 논설위원

[세종로의 아침] 인맥으로 굴러가는 나라에서/함혜리 선임기자 겸 논설위원

함혜리 기자
입력 2016-11-02 18:08
수정 2016-11-02 18:5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이미지 확대
함혜리 선임기자 겸 논설위원
함혜리 선임기자 겸 논설위원
최순실 파문으로 온 나라가 혼란스럽다. 그동안 나돌았던 괴이한 풍문들이 사실이었음을 밝혀 주는 정황들이 속속 드러나면서 국민 모두는 허탈감과 자괴감에 빠져 있다. 최순실 게이트가 이슈의 블랙홀이 돼 모든 뉴스를 덮어 버리는 가운데 문화예술계의 성추문도 어물쩍 꼬리를 감추는 분위기다. 나라가 결딴나려는 상황에서 그게 무슨 뉴스 거리나 되겠으며 덮고 간들 어디가 덧날 것이냐고 반문할지 모르겠다. 하지만 최순실의 국정 농단이나 문화예술계의 성추문이 파급효과나 죄질의 경중만 다를 뿐 권력형 갑을 관계를 악용한 범죄라는 점에서는 매 한가지다.

문화예술계의 지명도 있는 인사들은 대단하게 사회적 영향을 미치는 실력자는 아니지만 그들이 활동하는 세계 안에서는 절대적인 권력을 지닌다. 전시회 기획을 하며 작가 선정 권한이 있는 큐레이터도, 대학의 예능계 학과 교수들도 마찬가지다. 무명 작가, 작가 지망생 등 이해관계에 있는 여성들에게 이들은 절대 갑의 위치에 있다. 그들과 관계가 형성되면 문화계라는 상상계 진입이 가능하고, 반대로 잘못 보이면 그 세계에서 경력을 아예 포기해야 한다. 그러니 무슨 말이나 행동을 해도, 어떤 요구를 해 와도 거절할 수 없는 것이다.

문화예술계 내에서 갑을 관계에 따른 성추행은 어제오늘의 얘기가 아니었다. 봉건적인 가부장적 문화가 예술계라고 예외가 될 수 없고, 예술가들은 자유로운 영혼까지 지녔으니 문제가 생겨도 욕망에 충실했다고 하면 그만이었다. 순수예술 분야는 사회적으로 크게 주목받지 않았던 까닭에 윤리의식이 결여된 사람들의 추행이 그동안 잘 알려지지도 않았다. 누군가에게는 낙원이 또 다른 누군가에게는 지옥이었을 것이다.

세상은 완전히 달라졌다. 할 말은 하는 자존감 있는 세대가 불이익을 감수하고 용기 있게 증언을 하고,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와 인터넷은 세상 좁은 줄을 모르고 이 소식을 실시간으로 전파하면서 그간의 사건과 위선적인 행위들이 고구마 줄기처럼 세상에 드러나고 있다. 가장 순수해야 할 문화예술계마저 우리 사회의 뿌리 깊은 병폐에 잠식당하고 있었다는 사실은 사람들을 경악하게 만들기에 충분하다. 예술이란 자유로운 의지에서 비롯된 균형 잡힌 관계 속에서 형성될 때에 사람들을 감동시키는 것인데 이런 추악한 민낯이 백일하에 드러났으니 이제 어디에서 감동을 얻을 수 있겠는가.

이번 문화예술계의 홍역이 성장통이 되려면 문제의 근본적인 원인을 짚고 넘어가야 한다. 갑과 을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권력형 범죄를 양산한 주범은 실력보다 인맥으로 움직이는 이 사회의 관행이라고 본다. 이는 누구 한 사람의 힘으로는 고칠 수 없는 어려운 문제이지만 우리 사회가 처한 전근대적 상황에서 벗어나고 예술이 예술 본연의 기능을 할 수 있게 하려면 반드시 해결해야 할 과제다.

우리 사회 구성원 모두의 생각과 행동이 바뀌어야 한다. 끼리끼리 끌어주고 밀어주는 질서를 은근히 정상으로 받아들였다면 반성해야 한다. 인맥으로 굴러가는 나라에 미래는 없다는 것을 명심하자. 노력하면 된다는 생각은 더이상 망상이 아니어야 한다.

lotus@seoul.c.kr
2016-11-03 30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