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덕 위에 서서 멀리 바라보아야 바다의 진정한 묘미를 안다고 했다. 언덕 위에서 바라보는 바다는 아름답기도 하지만 무한한 상상력을 제공한다. 너무 가까이 다가서면 쓰레기 등 비본질적 요소들을 접하기 마련이다. 바다뿐만 아니라 사람과 사람 사이도 그렇다고 한다. 너무 가까이서 자주 마주치다 보면 비본질적인 요소들 때문에 그 사람의 본질을 놓치기 쉽다. 아무리 좋은 사이라도 늘 한데 어울려 지내다 보면 범속해질 수밖에 없다. 그리움과 아쉬움이 받쳐 주어야 신선감을 지속할 수 있다. 걸핏하면 전화를 걸고 자주 함께 어울리게 되면 그리움과 아쉬움이 고일 틈이 없다. 너무 가까이도 아니고 너무 멀리도 아닌 알맞은 거리에서 바라보는 은은한 기쁨이 따라야 한다. 법정스님의 얘기다.
우리는 알맞은 거리에서 관계를 맺는 데 익숙하지 않은 것 같다. 지연·학연·혈연 등 우리 사회에 내재된 연(緣)의 문화는 알맞은 거리를 허용하지 않는다. 은은한 기쁨보다는 갈등과 부정을 잉태한다. 문득 청탁금지법이 만들어진 까닭도, 미르재단으로 불거진 국정 농단도 우리의 관계 문화 탓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강동형 논설위원 yunbin@seoul.co.kr
우리는 알맞은 거리에서 관계를 맺는 데 익숙하지 않은 것 같다. 지연·학연·혈연 등 우리 사회에 내재된 연(緣)의 문화는 알맞은 거리를 허용하지 않는다. 은은한 기쁨보다는 갈등과 부정을 잉태한다. 문득 청탁금지법이 만들어진 까닭도, 미르재단으로 불거진 국정 농단도 우리의 관계 문화 탓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강동형 논설위원 yunbin@seoul.co.kr
2016-10-31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