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용 부담 커도 소비자 신뢰 잡았다… 리콜의 경제학

비용 부담 커도 소비자 신뢰 잡았다… 리콜의 경제학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16-09-05 22:54
업데이트 2016-09-06 01: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삼성 갤노트7 신속 조치 긍정적… 리콜 발표 후 첫날 주가 0.56%↑

“리콜의 비용 부담은 크겠지만 그만한 가치가 있을 것이다.”

미국 블룸버그통신은 5일 삼성전자의 갤럭시노트7 리콜에 대해 “시점이 이보다 나쁠 수 없다”면서도 “안드로이드 기반 스마트폰의 리더로서 삼성은 브랜드의 명성에 금이 가게 할 수 없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삼성전자가 갤노트7 배터리 폭발에 전량 리콜이라는 초강수를 둔 것을 둘러싸고 신속한 리콜은 기업에 독(毒)이 아닌 약(藥)이 된다는 ‘리콜의 경제학’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1조원이 넘는 비용이 예상됨에도 적극적으로 리콜에 나서면서 타격을 최소화함은 물론 장기적으로는 기업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삼성전자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는 5일 증시에서 가시적으로 나타났다. 갤노트7의 리콜 가능성이 제기된 지난 1일 2%가량 내려앉았던 삼성전자의 주가는 리콜을 공식 발표한 뒤 첫 거래일에서 0.56%가 오르며 160만원대를 회복했다. 갤럭시노트7의 공개 전후부터 연일 신고가를 기록했던 기세는 꺾였지만, 전량 리콜이라는 ‘통 큰’ 결정에 이어 신속하게 후속 조치를 진행한 것이 주가에 긍정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정보기술(IT) 업계에서는 스마트폰 시장에서 제품의 전량 리콜은 이례적인 조치라는 평가가 나온다. 삼성전자의 갤럭시 시리즈와 애플의 아이폰 등 스마트폰 시장에서 리콜 사태는 한두 번 벌어진 게 아니지만 무상 수리나 문제가 된 부품의 무상 교환으로 봉합됐다.

특히 ‘안테나 게이트’로 홍역을 치렀던 애플의 태도와도 비교되고 있다. 애플이 2010년 출시한 아이폰4는 제품의 왼쪽 아래를 손으로 잡을 경우 통화 품질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하면서 안테나 설계에 문제가 있는 게 아니냐는 지적을 받았다.

스티브 잡스 당시 애플 최고경영자(CEO)는 휴대전화를 잡는 방식에 문제가 있다는 답변으로 대응해 거센 논란에 휩싸였고, 이는 애플이 소비자 후생에 인색하다는 부정적인 인식을 심는 계기가 됐다.

업계에서는 삼성전자의 이번 대응을 1982년 존슨앤드존슨의 타이레놀 리콜 사태와 견주기도 한다. 당시 존슨앤드존슨은 청산가리가 주입된 타이레놀을 복용한 환자가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하자 미국에서 판매된 타이레놀 800만개를 전량 회수하고 원인 분석에 나서 자사의 제조 공정과 무관하다는 사실을 밝혔다.

이세철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삼성전자의 이번 조치는 실리보다 소비자 신뢰를 우선해 선택한 결정”이라면서 “단기적인 타격은 불가피하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소비자 신뢰 회복으로 전화위복의 발판을 마련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2016-09-06 20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