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도인 메타기획컨설팅 본부장
최근 서울시에서 추진하고 있는 두 가지 프로젝트, ‘서울아레나와 플랫폼창동61’과 ‘세운상가 도시재생과 거점공간 조성’ 사업은 과정(process)의 혁신 차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두 프로젝트 모두 과거 공공정책과는 다른 기획 및 실행 프로세스를 도입하고 있다.
구상과 계획 그리고 실현 사이에 ‘현장 실험 프로젝트’를 배치하여 계획의 적정성에 대한 검증을 통해 수정과 보완의 과정을 거치도록 기획하였다. 이 과정에서 운영진과 정책담당자들은 정책의 집행이 미칠 문화 생태계의 반응을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되었다.
올해 봄 개관한 플랫폼창동61은 문화적 불모지로 여겨졌던 서울 동북부 지역에 문화예술과 음악산업 생태계의 형성이 가능한가에 대해 실험 중이고 지금까지는 성공적이다. 최근 협력뮤지션 공모에 80여개 팀이 지원하는 등 대중음악 신에서 활동하는 뮤지션들이 호의적 반응을 보이기 시작했다.
플랫폼창동61은 2020년을 목표로 건립을 추진하고 있는 서울아레나와 창동 일대의 문화예술 생태계 조성을 위한 파일럿 프로젝트이다. 과거의 방식대로 하자면 아티스트와 시민들은 ‘반짝이는’ 서울아레나 조감도를 보며 공사 가림막이 없어질 때까지 긴 시간 기다리기만을 해야 했을지도 모른다.
세운상가 도시재생과 거점공간 조성 프로세스는 조금 더 드라마틱하다. 이 프로젝트는 1970·80년대 도심산업을 이끌었던 세운상가군을 잇는 보행데크 조성이라는 도시건축 구상에서 시작되었다. 이를 이어받아 세운상가의 기술장인들을 발굴하고 현장과 소통하는 거버넌스 활동, 창의제조산업을 비전으로 산업재생의 토대를 만드는 현장실험실 등을 기획하고 있다. 물리적 연결에만 그칠 수 있었던 건축 프로젝트에 산업, 공동체 재생의 과정이 결합되면서 세운상가는 창의제조산업의 문화 플랫폼으로 진화할 기초를 다지기 시작하였다.
우리 사회의 많은 영역은 이미 미래를 예측하기 어려운 불확실성의 시대에 직면하고 있다. ‘책상 위 좋은 정책’이 현장에서는 ‘효과가 없거나 나쁜 정책’이 될 확률도 점차 높아지고 있다. 도시와 문화를 다루는 정책은 더욱 예측이 어려운 영역이다. 해당 분야의 전문가라 할지라도 정답을 찾기 쉽지 않다. 이럴 때일수록 지혜를 모으는 ‘과정의 기획’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실패의 확률을 줄이는 필수 비용이라는 공감대가 필요하다.
내년 말이면 대통령선거가 있고 지금부터 여러 지역에서 ‘대선급’ 공약 프로젝트를 준비할 것으로 보인다. 과거에는 선거 국면을 통해 급조된 아이디어가 대형 문화프로젝트로 급부상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선거가 부실한 기획을 용인하는 절차가 되지 않기 위해, 어떠한 문화정책이 미래를 위해 중요하고 필요한지 각 정당과 전문가, 시민사회에서 그 과정을 체계적으로 그려 갈 수 있으면 좋겠다. 문화와 도시 정책이 꿈꾸는 조감도 너머에는 생각보다 복잡하고 복합적인 현실 세계가 있기 때문이다.
2016-08-19 2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