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선비의 산수기행/유몽인·최익현 외 지음/전송열·허경진 옮김/돌베개/372쪽/1만 8000원
조선의 명산 유람은 소수 특권층에게만 허락된 일이었다. 교통이 불편하고, 사회·신분적 제약으로 전국을 유람하는 건 일반인들에게는 쉽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렇다 보니 무더운 여름, 사랑채에 누워 다른 사람들의 기행문을 읽으며 팔도강산을 유람한다는 ‘와유록’(臥遊錄)이라는 말도 나왔다.
‘조선 선비의 산수기행’은 우리나라의 팔도 명산 20곳을 직접 유람한 선비들이 후세에 글로 남겨 전하는 기행문이다. 당대 여러 문인들의 유산기를 모은 정원림의 선집인 ‘동국산수기’와 한국문집총간 등에서 글이 뛰어난 20편을 선정해 완역했다.
유람기는 내로라하는 조선의 대표 문장가들이 썼다는 점에서 유려하면서도 세밀한 필체와 묘사, 당시 풍속도와 여행 후기까지 풍부하게 담겨 있다. 이들이 온전히 두 발로 팔도강산을 유람하고 남긴 기록을 읽고 있으면 마치 당대 선비로 태어나 함께 유람하는 기분이 든다.
정조 때 영의정을 지낸 채제공의 관악산 기행문인 ‘유관악산기’는 1786년(정조 10년) 4월 13일 관악산 연주대에 오른 기록이다. 채제공은 관악산을 가리켜 “경기 지역의 신령한 산으로 선현들이 일찍부터 유람했던 곳”이라고 평했다. 하지만 이 유람기의 백미는 채제공의 허세다.
연주대 가는 길이 험해 무척 힘들다는 주변의 걱정에 채제공은 “천하만사가 마음에 달렸을 뿐이네. 마음은 장수이고 기는 졸병과 같으니, 그 장수가 가는데 졸병이 어찌 가지 않을 수가 있겠는가”라고 큰소리를 떵떵 친다. 그러나 연주대에 도착할 때까지 그는 기력이 다 빠져 엉금엉금 기어서 정상에 도달했다고 스스로 썼다. 현종 때 우의정을 지낸 미수 허목이 83세의 나이에도 연주대를 나는 듯 올라 신선처럼 보였다는데 자신은 죽을 고생을 다했다고 푸념한다. 영의정의 허세도 험준한 관악산에서는 통하지 않았나 보다.
1603년(선조 36년) 9월 15일 삼각산, 즉 북한산을 유람하고 쓴 선비 이정구의 기행문은 한양 도성의 풍경이 손에 잡히는 듯하다. 노적봉에 오른 그는 “도성의 백만이나 되는 집들도 바로 코앞에 있는 것 같았지만 잘 보이질 않았다. 다만 내 발아래로 밥 짓는 연기가 피어오르는 생생한 한 폭의 그림이 펼쳐져 있는 것처럼 보일 뿐이었다. 한편 구름 틈으로 상투처럼 드러나 보이는 것이 있는데, 바로 그것이 남산임을 알 수 있었다”고 썼다.
한라산 기행은 조선 시대에도 매우 귀했던 기행문이었다. 구한말 대표적인 우국지사 면암 최익현은 한라산에 대해 “동서가 200리요 남북으로는 100리가 넘는다”며 “말은 동쪽에서 나고, 절은 남쪽에 모여 있으며, 곡식은 서쪽에서 자라기에 적절하고, 뛰어난 사람은 북쪽에서 많이 나며 나라를 향한 충성심도 남다르다”고 산세와 지형지물에 대한 탁월한 안목을 드러냈다.
두 편역자는 사계절의 변화가 눈에 그려지도록 계절 순으로 여행기를 배치하고 조선 영조 때 제작된 해동지도를 도판으로 써 옛 지도를 읽는 재미도 더했다. 이 책을 읽고 직접 그 옛날 선비들이 밟았던 산을 찾아가 보는 건 자연과 내가 하나가 되는 ‘물아일체’의 피서법이 될 듯하다.
안동환 기자 ipsofacto@seoul.co.kr
조선의 명산 유람은 소수 특권층에게만 허락된 일이었다. 교통이 불편하고, 사회·신분적 제약으로 전국을 유람하는 건 일반인들에게는 쉽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렇다 보니 무더운 여름, 사랑채에 누워 다른 사람들의 기행문을 읽으며 팔도강산을 유람한다는 ‘와유록’(臥遊錄)이라는 말도 나왔다.
조선 시대 문인화가 이방운이 충청도 단양의 대패로 깎은 듯한 바위의 절경을 바라보며 한가로이 유람 중인 선비들의 모습을 그린 ‘사인암’(일부). 수묵담채. 국민대학교박물관 소장본.
돌베개 제공
돌베개 제공
유람기는 내로라하는 조선의 대표 문장가들이 썼다는 점에서 유려하면서도 세밀한 필체와 묘사, 당시 풍속도와 여행 후기까지 풍부하게 담겨 있다. 이들이 온전히 두 발로 팔도강산을 유람하고 남긴 기록을 읽고 있으면 마치 당대 선비로 태어나 함께 유람하는 기분이 든다.
정조 때 영의정을 지낸 채제공의 관악산 기행문인 ‘유관악산기’는 1786년(정조 10년) 4월 13일 관악산 연주대에 오른 기록이다. 채제공은 관악산을 가리켜 “경기 지역의 신령한 산으로 선현들이 일찍부터 유람했던 곳”이라고 평했다. 하지만 이 유람기의 백미는 채제공의 허세다.
연주대 가는 길이 험해 무척 힘들다는 주변의 걱정에 채제공은 “천하만사가 마음에 달렸을 뿐이네. 마음은 장수이고 기는 졸병과 같으니, 그 장수가 가는데 졸병이 어찌 가지 않을 수가 있겠는가”라고 큰소리를 떵떵 친다. 그러나 연주대에 도착할 때까지 그는 기력이 다 빠져 엉금엉금 기어서 정상에 도달했다고 스스로 썼다. 현종 때 우의정을 지낸 미수 허목이 83세의 나이에도 연주대를 나는 듯 올라 신선처럼 보였다는데 자신은 죽을 고생을 다했다고 푸념한다. 영의정의 허세도 험준한 관악산에서는 통하지 않았나 보다.
한라산 기행은 조선 시대에도 매우 귀했던 기행문이었다. 구한말 대표적인 우국지사 면암 최익현은 한라산에 대해 “동서가 200리요 남북으로는 100리가 넘는다”며 “말은 동쪽에서 나고, 절은 남쪽에 모여 있으며, 곡식은 서쪽에서 자라기에 적절하고, 뛰어난 사람은 북쪽에서 많이 나며 나라를 향한 충성심도 남다르다”고 산세와 지형지물에 대한 탁월한 안목을 드러냈다.
두 편역자는 사계절의 변화가 눈에 그려지도록 계절 순으로 여행기를 배치하고 조선 영조 때 제작된 해동지도를 도판으로 써 옛 지도를 읽는 재미도 더했다. 이 책을 읽고 직접 그 옛날 선비들이 밟았던 산을 찾아가 보는 건 자연과 내가 하나가 되는 ‘물아일체’의 피서법이 될 듯하다.
안동환 기자 ipsofacto@seoul.co.kr
2016-07-30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