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사 노예’ 지적장애인, 15㎞ 밖 老母 만나는 데 19년 걸렸다

‘축사 노예’ 지적장애인, 15㎞ 밖 老母 만나는 데 19년 걸렸다

남인우 기자
남인우 기자
입력 2016-07-15 18:10
업데이트 2016-07-15 21: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주민등록 말소 않고 기다리던 엄마, 40대 아들 부둥켜안고 목놓아 통곡…악덕 축사 부부 “임금 안 줬다” 진술

자신의 이름도 모른 채 20년 가까이 남의 축사에서 노예처럼 일한 40대 지적장애인이 19년 만에 어머니와 상봉했다.

이미지 확대
지적장애인 고모씨가 20년 가까이 남의 축사에서 임금도 받지 못하고 일하며 생활한 축사 옆 쪽방.
지적장애인 고모씨가 20년 가까이 남의 축사에서 임금도 받지 못하고 일하며 생활한 축사 옆 쪽방.
15일 충북 청원경찰서에 따르면 지난 14일 오후 9시쯤 ‘만득이’로 불리며 살아온 지적장애인 고모(47)씨를 청주 오송에 사는 어머니(77) 집으로 데려다 줬다. 고씨의 어머니도 아들처럼 지적장애가 있지만 두 사람은 단번에 서로를 알아보고 한참을 부둥켜안고 눈물을 흘렸다.
“얼마나 보고 싶었는데 어디 갔다 이제 왔느냐. 주민등록 말소도, 사망신고도 안 하고 기다렸다”고 고씨의 어머니가 목놓아 울자, 고씨는 어눌한 말투로 “나도 알아. 알아”라며 눈물을 흘렸다. 20여분간 계속된 모자의 눈물에 경찰과 주민들도 함께 눈물을 흘렸다.
 고씨의 딱한 인생은 그가 20여년 전 가출해 누군가의 소개로 1997년 청주시 오창읍의 한 축사에서 생활하면서 시작됐다. 자신의 이름도 모르고 말도 어눌해 의사소통이 어려웠던 고씨는 축사 주인인 김모(68)씨 부부가 시키는 대로 소 40여 마리를 키우며 일을 했다. 숙식은 축사 옆 창고에 딸린 작고 허름한 쪽방에서 해결했다. 도배는커녕 창문도 없는 쪽방이다. 축사라 고약한 냄새도 진동했다. 무임금으로 고된 노동을 하는 그를 동네 사람들은 ‘만득이’라 불렀다.
 그러나 고씨가 지난 1일 오후 9시쯤 오창읍의 한 공장 건물 처마에서 비를 피하다가 사설 경비업체 경보기가 울리면서 그의 억울했던 삶이 외부로 알려졌다. 경비업체의 신고를 받고 출동한 경찰이 김씨 부부에게 고씨를 인계하는 과정에서 고씨가 무서움에 떠는 것을 이상히 여겨 탐문수사에 들어갔다. 경찰은 바로 고씨의 무임금 노역 정황을 포착했고, 축사 주인 김씨로부터 “임금을 주지 않았다”는 진술을 확보했다. 경찰은 수사에서 ‘만득이’가 고씨 성을 가진 40대며 어머니가 오송에 산다는 사실을 확인됐다. 고씨가 일하던 축사와 어머니가 사는 곳은 불과 15㎞ 정도 떨어져 있다.
경찰은 이날 사회복지사 등이 입회한 상태에서 조사를 벌여 고씨로부터 “맞은 적이 있다, 축사에 다시 가고 싶지 않다, 소똥을 치우는 게 싫다, 빨래와 청소를 했다”는 등의 진술을 확보했다. 혈액검사 등 간단한 검사 결과 고씨의 건강 상태는 양호한 것으로 확인됐다. 김씨 부부에게는 장애인복지법과 근로기준법 위반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청주 남인우 기자 niw7263@seoul.co.kr

2016-07-16 9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