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 식료품 지출내역 살펴보니
경기 안양 평촌에 사는 김경민(39·가명)씨는 지난 토요일 아침을 계란 프라이와 과일로 가볍게 때운 뒤 아내와 함께 근처 대형마트로 장을 보러 갔다. 저녁에 먹을 삼겹살과 딸이 좋아하는 햄, 과자 등을 장바구니에 담았다. 느끼한 삼겹살 뒤에 입가심으로 먹을 수박도 한 통 샀다.농협중앙회 축산경제리서치센터는 최근 통계청의 ‘가계동향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가정의 식료품 지출 평균 내역을 ‘2003~2005년’과 ‘2013~2015년’으로 끊어 둘 사이의 10년간 변화를 살펴봤다. 2013~2015년 가계 장바구니 지출비용은 평균 35만 1149원으로, 2003~2005년의 26만 6382원에 비해 31.8%(8만 4767원) 증가했다.
장바구니에서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등 육류의 비중은 10년 새 12.9%에서 15.0%로 2.1% 포인트 증가했다. 과일도 11.1%에서 12.6%로 1.5% 포인트, 과자류는 6.4%에서 8.0%로 1.6% 포인트 각각 늘었다. 하지만 쌀이나 콩, 밀가루 등 곡물은 10.6%에서 6.1%로 4.5% 포인트나 하락했다. 생선을 포함한 신선 수산물은 7.9%에서 5.8%로, 채소는 11.9%에서 10.5%로 각각 2.1% 포인트, 1.4% 포인트씩 하락했다.
지출 비중의 변화는 소비량에 그대로 반영됐다. 국민 1인당 월평균 육류 소비량은 2005년 2.7㎏에서 2014년 4.0㎏로 48.1% 증가했다. 과일도 5.2㎏에서 5.5㎏으로 늘었다. 반면 쌀은 같은 기간에 6.7㎏에서 5.2㎏으로, 채소(시금치·당근·풋고추)는 0.7㎏에서 0.5㎏으로, 생선은 2.1㎏에서 1.9㎏으로 각각 감소했다.
고기와 과일의 지출 비중이 높아진 것은 소득 증대와 식생활의 서구화 등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다 시장 개방으로 상대적으로 값싼 수입육과 과일이 대거 수입된 것도 소비 확대의 주된 이유로 분석됐다. 황명철 축산경제리서치센터장은 생선과 채소의 소비 비중 감소와 관련해 “주부들이 가공이나 조리 절차가 상대적으로 복잡하고, 시간도 오래 걸리는 식재료를 전보다 덜 찾게 된 데서 이유를 찾을 수 있다”고 말했다. 채소 비중이 줄어든 것은 쌀 소비 감소로 반찬 수요가 줄어든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이런 가운데 휴가 등 계절적 요인으로 3분기에 특히 고기와 과일이 더 많이 소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3~2015년 3분기의 고기와 과일 비중은 각각 15.7%와 14.0%로 3년간 평균보다 각각 0.7% 포인트, 1.4% 포인트씩 상승했다. 여름철에는 고기와 과일 비중이 전체 식료품비의 30% 수준까지 뛰는 셈이다.
김경두 기자 golders@seoul.co.kr
2016-07-05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