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세돌vs알파고 세기의 대결] 인간답게… ‘신의 한 수’ 직관으로 알파고의 실수 유발하라

[이세돌vs알파고 세기의 대결] 인간답게… ‘신의 한 수’ 직관으로 알파고의 실수 유발하라

김민수 기자
입력 2016-03-14 23:04
업데이트 2016-03-15 01: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마지막 승부 5국 관전포인트

李, 4국서 부담감 털어내 홀가분
1·3국서 패한 흑 선택은 불안요인
‘계산력’ 알파고 한계 보일지 주목


이미지 확대
이세돌(33) 9단이 ‘알파고’를 연파하고 유종의 미를 거둘지 세계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인간 바둑 최고수인 이 9단은 15일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호텔에서 최강 인공지능 바둑 프로그램 알파고와 ‘구글 딥마인드 챌린지 매치’ 최종 5국을 벌인다.

이 9단은 정체를 알 수 없는 알파고를 상대로 1~3국에서 난타를 당하며 빈사 상태에 빠졌다. 하지만 4국에서 불굴의 인간 투혼을 발휘하며 난공불락으로 여겨졌던 알파고에 반격을 가했다. 이 9단은 여세를 몰아 5국에서도 반드시 이겨 인간의 자존심을 세운다는 각오다.

다행히 이세돌은 4국을 통해 알파고의 가려진 베일을 어느 정도 벗기는 데 성공했다. 그는 알파고가 흑번으로 나설 때 어려움을 겪을 뿐만 아니라 학습하지 못한 수가 나올 때 대체 능력에 한계를 드러냈다고 말했다. 실제로 4국에서 알파고는 유리한 국면을 이끌던 중반 전투에서 ‘신의 한 수’로 불리는 이세돌의 중앙 착점에 실수를 연발하며 허둥대는 모습까지 보였다.

전문가들은 적의 실체를 간파한 이 9단이 5국에서도 인간의 ‘직관’으로 불리는 신의 한 수를 둘 것으로 기대하는 모습이다. 그러면서도 인간 대표로서 짊어진 중압감을 덜었다는 점을 보다 큰 수확으로 꼽는다. 5국에서야말로 홀가분한 마음으로 자신의 바둑을 둘 것으로 기대했다.

이 9단과 함께 밤샘 연구를 했던 박정상 9단은 “이 9단과 알파고의 실력은 비슷하다고 본다”며 “컴퓨터를 상대로 중압감에 시달리던 이 9단이 부담감을 덜어 냈기 때문에 바둑을 즐기면서 본연의 실력을 발휘할 것”으로 내다봤다.

김지석 9단도 “4국에서 승리하면서 알파고에 대한 두려움이 사라졌을 것”이라며 4국이 5국 승리의 발판이 될 것으로 점쳤다.

평정심을 되찾은 이 9단은 5국에 앞서 주어진 14일 하루 휴식 동안에도 알파고 연구에 몰두했다.

하지만 알파고는 여전히 공포의 존재다. 1202개의 컴퓨터 중앙처리장치(CPU)로 구성됐고 입력된 기보 3000만개를 학습하며 스스로 발전하는 ‘인공 괴물’이다. 지치지 않고 두려움도 없는 데다 한 치의 흔들림 없는 계산력에 인간의 직관까지 흉내낸다.

한 프로기사는 “이 9단이 5국에서 승리하기를 기원하지만 알파고의 기력은 최강”이라면서 “이 9단이 4국에서 선보인 신의 한 수를 발견하긴 쉽지 않아 승리하기 어려울 것 같다”고 비관적으로 전망했다.

게다가 이 9단이 흑번으로 나서는 것도 불안 요인으로 꼽힌다. 그는 1국과 3국에서 흑을 쥐고 2패를 당했다.

이 9단은 4국 뒤 “최종국에서는 돌을 가리기로 했지만 흑돌을 쥐고 이기고 싶다”며 기세를 올렸다. 구글 측의 흔쾌한 승낙으로 성사됐다. 그러나 기세는 높이 평가하면서도 알파고를 상당히 편하게 해 줬다는 점에서 아쉬움과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다.

결국 이 9단은 ‘인간답게’, 알파고는 ‘기계답게’ 대국을 이끌어야만 승산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 9단은 인간의 영역인 직관과 감각을 최대한 살려야 하고, 알파고는 확률에 근거한 탁월한 계산력으로 맞서야 한다. 인간과 기계가 서로의 한계에 도전하는 마지막 승부가 벌써부터 관심을 모은다.

김민수 선임기자 kimms@seoul.co.kr
2016-03-15 5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