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둑계가 너무 오만했다…3국 몰아치는 역습 해야”

“바둑계가 너무 오만했다…3국 몰아치는 역습 해야”

강국진 기자
강국진 기자
입력 2016-03-11 20:44
업데이트 2016-03-11 21: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프로기사들이 보는 이세돌 패인·전망

“李, 하루 쉬면 평정심 찾아 반전 계기로”
‘불공정 경기’란 일각 지적에는 말 아껴

이세돌 9단과 인공지능(AI) 컴퓨터 알파고의 3국을 하루 앞둔 11일 바둑계는 좀처럼 충격에서 벗어나지 못한 모습이었다. 기존의 통념을 벗어난 알파고의 변칙 수가 결국은 ‘신의 한 수’였다는 것을 확인한 바둑기사들은 “바둑 정석의 패러다임이 바뀌었다”며 당혹감을 감추지 못했다.

양재호 한국기원 사무총장은 “알파고의 바둑을 보면 마치 산속에서 혼자 공부하다가 내려온 프로기사가 바둑을 둔 듯한 느낌”이라면서 “대국을 보고 바둑을 공부하는 사람들은 시야를 넓힐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조혜연 9단은 “알파고 등장을 전후로 5000년간 쌓아 온 바둑 역사가 바뀔 것 같다”며 “바둑의 패러다임과 학습·접근 방식이 바뀔 것”이라고 예상했다.

바둑기사들은 이번 대결에서 3국이 가장 중요한 분기점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1·2국에서 연패를 당한 탓에 향후 대국에 대해 회의적인 반응이 많았지만 이세돌 9단이 하루 휴식을 통해 평정심을 찾고 자기 바둑을 둔다면 반전의 계기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도 적지 않았다.

바둑계에 따르면 이세돌 9단은 2국이 끝난 뒤 숙소인 포시즌스호텔 방에서 친한 후배 기사들과 복기와 함께 알파고 착수 패턴 등을 연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2국 바둑TV 해설을 맡은 이희성 9단은 “여전히 이세돌 9단이 이길 수 있다는 느낌이 든다. 하지만 점점 두려움이 커진다. 알파고가 너무 강하다”며 고개를 절레절레 흔들었다. 이어 “이세돌 9단이 100% 기량은 보여 주지 못한 것 같다”면서도 “이세돌 9단이 기량을 100% 발휘하더라도 알파고가 그에 맞춰 잘 두지 않을까 하는 불안감이 든다”고 말했다.

이세돌 9단이 하루를 쉬는 것이 대국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많았다. 이현욱 8단은 “사람은 기계엔 없는 기세라는 게 있다”면서 “제3국에서 패하면 5-0이 되겠지만, 이긴다면 이세돌 9단에게도 승산이 있다”고 전망했다. 이현욱 8단은 “어제 승부처에서 망설이고 물러서는 건 이세돌 9단답지 않았다”면서 “3국에서는 평소 보여 준 이세돌 9단의 모습을 보여 줘야 한다”고 밝혔다.

바둑기사들은 알파고를 넘어설 수 있는 나름대로의 해법을 제시하기도 했다. 이희성 9단은 “알파고가 두터워지기 전에 몰아치는 역습을 해야 승률이 높아질 것”이라면서 “이세돌 9단이 평소 보여 주는 모습대로 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 자기 바둑을 두는 게 제일 좋은 전략”이라고 조언했다. 김성룡 9단은 “알파고는 패 상황을 피하려 하는 경향을 보였다”면서 “초반에 패 상황을 의도적으로 만들어 보면 어떨까”라고 제안했다.

김성룡 9단은 “실력의 끝을 알 수 없다는 게 더 무섭다”면서 “지금 생각해 보면 애초에 바둑계가 너무 오만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승패를 받아들이고 뛰어난 상대를 존중하고 배우려 하는 것이야말로 바둑의 미덕이고 인간의 장점 아니겠느냐”면서 “이제부터는 한 판이라도 이기겠다는 ‘도전하는 자세’로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인공지능이 바둑 발전에 이바지할 게 많다”면서 “인공지능 바둑대회에 사람이 도전자로 나서는 것도 생각해 볼 수 있지 않겠느냐”고 제안했다.

바둑기사들은 이번 대국이 ‘불공정 경기’라는 일각의 지적에 대해서는 문제 삼기를 꺼렸다. 김성룡 9단은 “정보기술(IT) 분야 전문가들은 그런 토론을 할 수도 있겠지만 바둑인이 할 소리는 아니다”라면서 “패배는 곧 실력이 부족했기 때문일 뿐이다. 우리는 이리저리 변명하는 건 바둑인이 아니라고 배우고 가르친다”고 잘라 말했다.

강국진 기자 betulo@seoul.co.kr
2016-03-12 11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