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으로 여는 아침] 죽음과도 맞바꿀 맛이라니

[고전으로 여는 아침] 죽음과도 맞바꿀 맛이라니

입력 2016-02-28 20:26
수정 2016-02-28 20:3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사람들은 매우 아름다운 것 속에
지극히 나쁜 것이 있음을 알지 못한다.’
‘인부지지미지중유지악야’(人不知至美之中有至惡也)

성현의 ‘부휴자담론’(浮休子談論) ‘아언’(雅言)편

‘부휴자담론’은 부휴자라는 가공인물을 주인공으로 내세워 세상 사람들의 잘못된 점을 풍자한 책입니다.

위의 글에서 성현이 아름다운 것 속에 나쁜 것이 들어 있는 사례로 든 것이 바로 독버섯과 복어입니다.

나물 캐러 갔던 사람들이 독버섯을 식용 버섯으로 착각하고 캐 먹는 사고가 가끔 일어납니다. 물론 이는 모양이 비슷해서 일어나는 사고입니다. 보통 독버섯은 색깔이 화려해서 식용과 구별이 됩니다. 아름다운 겉모습에 현혹되어 독버섯을 덥석 먹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되겠습니다.

복어는 참으로 맛 좋은 생선입니다. 심지어 중국 송나라의 소동파라는 시인은 복어를 두고 ‘죽음과도 맞바꿀 만한 가치가 있다’고까지 하였다는군요. 맛에 현혹되어 목숨까지도 걸겠다니…. 실제로 복어를 잘못 먹고 목숨을 잃는 사고가 요즘도 심심찮게 일어나는 걸 보면, 소동파의 표현이 지나가는 말로 느껴지지 않습니다.

겉보기에 나쁜 것은 누구나 나쁜 줄 알고 피하기 때문에 오히려 피해가 별로 크지 않습니다. 문제는 겉보기에 아무런 해가 없어 보이거나, 혹은 다른 것보다 더 좋아 보이는데 치명적인 독을 품고 있을 경우입니다. 독버섯이나 복어처럼 아름다운 색과 좋은 맛에 현혹되어 방심한 채 다가가다가 그 독에 당하게 되면 피해는 훨씬 더 클 것입니다. 세상의 아름다운 것들 앞에서 새삼 마음을 다잡아야 하는 까닭입니다.

■성현(成俔·1439∼1504)

조선 초기의 학자·문신. 자는 경숙(磬叔), 호는 용재(?齋), 부휴자, 허백당(虛白堂), 본관은 창녕. 대사헌, 예조 판서 등을 역임하였고, 당시의 음악을 집대성한 ‘악학궤범’을 편찬하였다. 청백리에 뽑힐 만큼 소박한 삶을 누렸다. 저서로 ‘허백당집’, ‘용재총화’, ‘부휴자담론’ 등을 남겼다. 시호는 문재(文載)이다.

조경구 한국고전번역원 선임연구원

●한국고전번역원 홈페이지(www.itkc.or.kr) ‘고전산책’ 코너에서는 다른 고전 명구나 산문, 한시 등도 감상할 수 있습니다.
2016-02-29 29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금투세 유예 vs 폐지
더불어민주당이 내년 1월 시행 예정인 금융투자소득세(금투세) 도입 여부 결정을 지도부에 위임해 국민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국민의힘은 금투세 폐지를 당론으로 정했고, 민주당 내부에서는 유예와 폐지에 대한 의견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유예와 폐지, 두 가지 선택이 있다면 당신의 생각은?
유예해야 한다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