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관계 힘들어도 北 결핵 환자 지원 계속할 것”

“남북관계 힘들어도 北 결핵 환자 지원 계속할 것”

김미경 기자
김미경 기자
입력 2015-09-17 23:18
업데이트 2015-09-18 10: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주년 맞은 유진벨재단 스티븐 린턴 회장 단독 인터뷰

“남북관계가 힘들더라도 북한 사람들을 살리기 위한 결핵 치료 지원은 멈추지 않을 것입니다.”

이미지 확대
스티븐 린턴 유진벨재단 회장이 16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한·미경제연구소(KEI)에서 이뤄진 서울신문과의 단독 인터뷰에서 북한 결핵 환자 지원 활동의 성과와 향후 계획 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스티븐 린턴 유진벨재단 회장이 16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한·미경제연구소(KEI)에서 이뤄진 서울신문과의 단독 인터뷰에서 북한 결핵 환자 지원 활동의 성과와 향후 계획 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남북 간 긴장 상태 속에서도 한국 정부가 민간 대북 지원 물자 반출을 승인할 때마다 가장 먼저 승인을 받아 주목 받는 대북 지원 단체가 있다. 북한 사람들의 결핵 치료 지원에 주력하고 있는 유진벨재단이 주인공이다. 20년 전인 1995년 재단 문을 연 스티븐 린턴(65·한국명 인세반) 회장을 16일(현지시간) 워싱턴DC 한·미경제연구소(KEI) 회의실에서 단독으로 만났다. 린턴 회장은 이날 KEI 등이 주최한 코리아클럽 행사의 연사로 나섰다.

린턴 회장은 인터뷰에서 “북한의 결핵 환자를 치료하는 순수한 목적에 동참하는 후원자들과 자원봉사자들 덕분에 20년 간 북한을 지원할 수 있었다”며 “남북 간 정치적 상황과 무관하게 인도주의적 지원을 계속함으로써 남북 교류의 가교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유진벨재단은 1895년 한국으로 파견된 유진 벨(1868~1925) 선교사의 4대 외손인 린턴 회장이 벨 선교사의 선교사역 100주년을 기념, 이름을 붙여 세웠다. 2000년 설립된 한국법인이 중추적 역할을 한다. 콜럼비아대 한국학 박사인 린턴 회장은 대북 지원의 ‘심부름꾼’으로 통한다.

→결핵 치료에 주력하면서 최근 북한에 병동을 지었는데.

-초기에 식량을 지원했다가 북한 보건성이 결핵 치료를 도와달라고 해 1997년 결핵 퇴치 사업으로 전환했다. 약과 진단장비 등을 제공해 북한 의료기관 70곳에서 일반 결핵 환자 25만명을 치료했다. 2007년 중증 다제내성결핵 치료 프로그램을 개발, 북한에 처음 제공했다. 그동안 북한 내 다제내성결핵 센터를 12군데로 늘리고 신속검사장비 등을 지원해 그동안 2000명 이상을 치료해 왔다. 또 지난 4월 북한을 방문, 평양 인근 요양소에 조립식 결핵 병동 3동을 지었다. 오는 10월 다시 방북해 4개를 더 짓고 내년에는 20동을 더 지을 예정이다.

→한국 정부의 대북 물자 반출 승인을 먼저 받는 이유는 무엇인가.

-결핵 치료에 집중하면서 어떤 정치적 의도 없이 모든 지원을 투명하게 하기 때문이다. 6개월마다 환자 상태를 점검하기 때문에 지원 내용에 따라 얼마나 호전되는지 등에 대해 투명하게 보여줄 수 있다. 우리측 의료진과 자원봉사자, 북측 의료진과 환자, 당국 관계자들이 매년 만나 제도화된 시스템을 운영하는 것도 장점이다.

→재단 활동이 남북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친다고 보나.

-남북관계가 마치 전쟁이 날 것처럼 좋지 않아도 한국 정부가 물자 반출을 승인하고, 북한은 한국에서 온 치료약을 쓰고 있다는 사실은 고무적이다. 민간 교류는 끊기지 않고, 지원 단체들이 가교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통일이 되면 다 해결될 것이라며 기다리거나 남북 관계가 호전될 때까지 기다리면서 제때 지원을 하지 않을 경우 결핵 환자들은 죽을 수 밖에 없다. 민간 지원을 통해 통일이 됐을 때 벌어질 문제를 미리 막을 수 있다.

→향후 활동 계획과 목표는.

-중증 결핵 환자의 경우 1인당 치료비가 500만원 정도 드는데, 후원자와 환자를 잇는 ‘1대1 결연사업’을 확대할 것이다. 북한에서 매년 결핵 환자가 4000명씩 늘어나지만 현재 1000명 정도만 지원할 수 있다. 이들이 제때 치료를 받으면 완치율이 70%까지 올라간다. 선의의 후원자들을 많이 만나 뜻을 함께 할 수 있길 바란다.

글·사진 워싱턴 김미경 특파원 chaplin7@seoul.co.kr
2015-09-18 29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