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네스코 세계유산 ‘익산 왕궁리 유적’서 백제시대 왕궁 부엌터 최초 발견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백제역사유적지구 ‘익산 왕궁리 유적’(사적 제408호)에서 삼국시대 왕궁의 식생활 문화를 복원할 수 있는 부엌터가 발견됐다. 그동안 고구려시대 벽화고분 ‘안악3호분’에서 나온 부엌 그림은 있었지만 실제 유구(遺構)가 생활 용기와 함께 발견된 건 처음이다.‘익산 왕궁리 유적’ 부엌터 내 타원형 구덩이에서 백제 왕궁의 식생활을 보여 주는 다양한 유물이 출토됐다. 사진은 백제 토기 5점과 숫돌 3점.
문화재청 제공
문화재청 제공
‘익산 왕궁리 유적’ 부엌터 내 타원형 구덩이에서 백제 왕궁의 식생활을 보여 주는 다양한 유물이 출토됐다. 사진은 철제솥 2점.
문화재청 제공
문화재청 제공
‘익산 왕궁리 유적’ 부엌터 내 타원형 구덩이에서 백제 왕궁의 식생활을 보여 주는 다양한 유물이 출토됐다. 사진은 철제 가랫날과 작은 철도끼.
문화재청 제공
문화재청 제공
‘익산 왕궁리 유적’ 부엌터 내 타원형 구덩이에서 백제 왕궁의 식생활을 보여 주는 다양한 유물이 출토됐다. 사진은 부엌 터 전경.
문화재청 제공
문화재청 제공
그동안 궁성과 궁장(宮墻·궁궐 담장), 정원, 공방터 등이 발견됐고 인장 기와와 연화문 수막새 등 유물 1만여점이 출토됐다.
올해는 지난 3월 24일부터 유적의 서남쪽 일대 8300㎡에 대한 발굴조사를 진행해 조선시대 왕궁의 수라간에 비유되는 백제 사비기 왕궁의 부엌터를 찾아냈다. 규모는 동서 6.8m, 남북 11.3m다. 배병선 소장은 “왕궁 내에서 취사도구와 흔적을 발견한 건 굉장히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역사책에도 부엌에 대한 언급이 없어 밥을 어떻게 지었는지, 식기는 어떤 걸 사용했는지 등 삼국시대 식생활에 대해 알 길이 없었다. 부엌이라는 말만 있지 부엌을 한자로 어떻게 쓰는지도 정확하게 모를 정도다. 이번에 확인된 부엌 건물지의 위치와 내부 구조, 시설을 통해 당시 왕궁의 생활상을 복원할 수 있게 됐다.”
부엌터 내 길이 1.64m, 너비 1.38m, 깊이 0.44m의 타원형 구덩이에선 철제솥 2점을 비롯해 어깨가 넓은 항아리 2점, 목이 짧고 아가리가 곧은 항아리 1점, 목이 짧은 병 2점 등 토기 5점과 숫돌 3점, 가랫날, 작은 도끼 등이 출토했다. 구덩이에서 2m 정도 떨어진 지점에선 또 다른 철제솥 1점이 나왔고 불탄 흙과 그을린 흔적이 남아 있는 벽체, 다량의 숯이 깔린 지점 2곳도 확인됐다.
그동안 발견된 건물지와 달리 건물지 안에서 물이 바깥으로 빠져나간 배수 흔적도 나왔다. 배 소장은 “철제솥은 원형 돌기 바닥에 어깨엔 넓은 턱이 있고 아가리는 안쪽으로 살짝 휘어져 있다. 이는 익산 미륵사지, 부여 부소산성, 광양 마로산성 등에서 출토된 통일신라 이후 철제솥과 유사하지만 조금 더 이른 시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며 “고대 백제계 철제솥의 변화 양상을 연구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이번 조사에선 서쪽 궁장을 따라 길이 29.6m, 너비 4.5m인 남북으로 길쭉한 장랑형(長廊形) 건물지를 포함, 다양한 건물지도 발굴됐다. 장랑형 건물지는 부엌 건물지 앞쪽에서 나왔다. 일본에선 그런 길쭉한 건물지가 나온 게 있지만 우리나라에선 처음 발견됐다. 일본 오사카 나니와노미야(難波宮·난파궁), 나라 아스카노미야(飛鳥宮·비조궁)와 비슷한 건물 배치여서 백제 궁성 축조 형식이 일본에 전파됐음을 밝힐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됐다.
화장실로 보이는 기다란 석축시설과 통일신라시대에 조성된 기와 가마터, 서쪽 궁장을 향해 흐르도록 설계된 배수로 3개도 확인됐다. 배 소장은 “앞으로 10년은 더 발굴조사를 해야 한다”며 “유적 정비를 하면서 이번 발굴 성과를 어떤 형태로 시민들에게 보여 줄지를 고민해 보겠다”고 밝혔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5-08-21 22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