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혜련 참문화사회연구소장
전자는 ‘서울대 추천 도서 100선’ 중 카프카의 ‘변신’을 시작으로 37권을 선정해 소개했는데, 올 3월부터는 ‘서울대 지망생의 책장’이라는 제목으로 동서양 명저들을 소개하고 있다.
<36>편 ‘주역’, 선택의 갈림길에서 헤맬 때 길과 흉은 어차피 반반… ‘불안 잠재울 힘’이 안에 있다, <38>편 헬레나 노르베리 호지의 ‘오래된 미래’, 이미 지나간 ‘오래된’ 것에 우리가 찾는 ‘미래’가 있다, <40>편 막스 베버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금욕적 절제 아닌 탐욕적 부(富) 축적은 죄악… 현대 사회 진정한 자본주의 ‘길’을 묻다 등 책 제목과 부제만 보아도 마치 인생의 화두 한 자락이라도 잡은 양 가슴이 뿌듯하다.
노는 재미 중에서 ‘읽는 재미’가 만만치 않고, 다른 사람들의 생각과 지식, 상상력을 엿보고 공유하는 이 즐거움 덕분에 ‘생각하는 인간’인 호모 사피엔스의 삶을 더 풍요롭게 즐기고 있다. 문학평론가 황현산은 왜 책을 읽어야 하느냐는 질문에 “책을 읽는 동안 책속에 들어가 무장 해제되고, 자기의 삶과 상처, 시간 등을 다시 만나게 된다. 왜 살 것이고 무엇을 위해서 살 것인지 결단하게 되고, 그렇게 하여 깊이 있고 강인한 사람이 되기” 때문이라고 답한다. 이 말은 독서를 통해 보다 성숙하고 강인한 인간이 되고, 한 단계 도약하는 인간으로 설 수 있다는 의미일 것이다.
단순한 에세이나 자기 계발서가 아닌, 삶의 의미를 진지하게 묻는 작품들을 신문에서 전면을 할애해 1년 넘게 연재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무게감 있는 작품들을 소개하는 서울신문의 우직함과 뚝심에, 그리고 원고를 작성하는 한우리 독서토론논술 연구원들의 노력과 성실함에 박수를 보낸다. 다만 한 가지 ‘서울대 지망생의 책장’이라는 이름이 독서의 의미와 범위를 지나치게 좁혀 놓은 것은 아닌지 아쉬운 마음이 든다.
첫 편에 소개됐던 카프카의 말처럼 “만일 우리가 읽는 책이 얼굴을 향해 주먹을 날리며 우리를 깨우지 않는다면 읽을 의미가 있는가. 책이란 우리 안의 꽁꽁 언 바다를 깨뜨려 버리는 도끼여야 하기”(2014년 2월 11일자 20면) 때문이다.
매우 참신한 기획으로 생각돼 첫 회부터 주의를 끈 또 다른 기획은 ‘권위자에게 듣는 판례 재구성’이다. 2014년 2월 <1>편 ‘민법: 사정 변경의 원칙, 매입한 개발 해제 토지 공공지로 편입 건물 못 짓자 소송-사건 소개 및 판례 의의’로 시작해 지난주 <30>편 ‘위치상표 개념과 권리 범위’까지 소개됐다(2015년 6월 4일자 22면). 온라인 지면에서 자정고(자치, 정책, 고시)란에 실리는 것으로 보아 서울신문에서는 주 독자층을 시험 준비생들로 보고 있는 것 같다.
하지만 시의성과 현실성 있는 법안 판례는 일반인들의 눈과 귀도 열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다소 이해하기 어려운 내용이라도 가독성과 편집에 좀 더 신경 써 숨어 있는 잠재적 독자층을 공략해 보길 바란다.
현재 나라 전체를 불안에 떨게 하는 메르스 사태와 같은 재난 상황에서 정부나 공공기관의 역할과 책임, 그리고 이 사태 직전 언론의 주요 관심사였던 국회법 개정안과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 같은 주제는 우리 모두의 공통된 관심사일 테니까 말이다.
2015-06-10 3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