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론의 탄생/이광주 지음/한길사/336쪽/1만 7000원
거리에 흔한 카페나 살롱, 클럽은 대중적 만남·회합이 이뤄지는 대표적 공간이다. 그곳에선 만남뿐만 아니라 이야기가 있고, 다양한 취미·관심사의 교류며 교감이 이어진다. 그런데 카페나 클럽 공간을 드나들면서 그 유래나 의미를 생각하는 이는 드물다. ‘담론의 탄생’은 흔한 대중 공간인 살롱, 카페, 클럽을 통해 유럽문명과 지성발달사를 엮었다. 그리고 한 줄로 꿰어낸 그 궤적은 다양한 담론의 역사로 읽힌다.
흔히 담론은 어렵고 까다로운 대화나 공공의 이야기쯤으로 인식되곤 한다. 고담준론이나 학술대회의 머리 아픈 발표며 토론 정도로 여겨지기도 한다. 그런데 돌이켜보면 인간들은 어느 시대건 담론을 통해 관계를 만들고 지속해 왔으며, 그 담론을 사회변혁이나 전환의 토대로 삼았다. ‘왜 반듯한 예절과 사회적 비전을 바탕으로 한 자유로운 이야기가 오가지 못할까.’ 책은 원로 서양학자인 인제대 명예교수가 우리 사회에 절실하게 필요한 담론문화를 살롱과 카페, 클럽을 매개로 훑어낸 유럽 지성사랄 수 있다. 담론은 고담준론의 까다로운 대화가 아닌 일상의 자유롭고 즐거운 이야기이며 그 뿌리는 바로 고대 그리스로부터 시작됐다는 이야기 투르기가 흥미롭다.
우선 저자가 주목한 고대 그리스의 폴리스와 아고라를 들여다보자. 폴리스는 자유로운 시민공동체이고, 아고라는 그 복판에 세운 시민담론의 사교장이다. 그리스에서 사람 됨과 교양의 최고 덕목이 ‘세련되고 아름다운 언동’이었음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레토릭(수사학)을 철학보다 훨씬 귀하게 여겼다는 그리스인들의 이야기문화, 즉 담론문화가 중세·르네상스시대를 거쳐 살롱과 클럽, 카페문화로 발전했음을 풍부한 자료와 지식으로 입증한다.
프랑스·독일에서 발달한 살롱과 영국의 클럽은 같은 담론의 장소이면서도 국민들의 심상과 사는 방식에 따라 현격한 차이를 보인다. 주로 귀부인들이 주도했던 프랑스 살롱은 궁정연회나 모임의 양식을 닮아 화려하고 귀족적인 양태를 띤 반면 궁정 사교문화가 없었던 독일의 살롱은 사교 터전이나 지적 호기심이 가득한 유연한 놀이터와는 멀었다. 오히려 진실을 추구하는 동지들의 배움터 성격이 강했다. 궁정과 귀부인 문화가 드물었던 영국에서도 살롱보다는 귀족과 상층 부르주아층인 ‘담론하는 신사’들의 클럽문화가 발달했다.
이런 편차에도 불구하고 살롱과 클럽, 카페는 당시 사회를 휩쓴 계몽주의의 영향을 받아 지적이고 교양 있는 담론의 출처이면서 사회를 바꿔 간 트렌드의 중심 역할을 해냈다. 프랑스 혁명의 시작도 바로 철학살롱에서 비롯됐다. 루소, 볼테르, 데카르트, 몽테스키외, 보카치오, 에밀, 괴테 같은 이들은 살롱과 카페를 드나들던 단골이었고 그곳에서 그들이 이어간 언동은 어김없이 사상과 정치, 문화의 흐름으로 뭉쳤다. ‘우리의 저술은 특정한 시민에게만 영향을 주지만 우리의 담론은 모든 계층을 감화한다.’ 18세기 프랑스 계몽주의 사상가 드니 디드로가 밝힌 대로 세계사를 바꾼 계몽주의 철학의 중심에는 ‘인간성’을 구심점으로 모두 동시대인임을 공감하며 새로운 비전을 향한 담론문화가 존재했다.
저자는 그 대목에 특별히 주목한다. 유럽 지성사와 맥을 같이한 살롱, 클럽, 카페에선 사교와 지성이 조화를 이뤄 정파·당파를 구성하더라도 슬로건을 내세운 이데올로기적 논리로부터 자유로웠다는 것이다. 그래서 결론도 이렇게 맺어진다. “생각이나 입장을 달리하는 사람들을 적으로 압박하고 이데올로기적 슬로건이 그림자를 드리운 우리의 현실에서 그 어느 때보다도 반듯한 담론문화가 요구된다.”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거리에 흔한 카페나 살롱, 클럽은 대중적 만남·회합이 이뤄지는 대표적 공간이다. 그곳에선 만남뿐만 아니라 이야기가 있고, 다양한 취미·관심사의 교류며 교감이 이어진다. 그런데 카페나 클럽 공간을 드나들면서 그 유래나 의미를 생각하는 이는 드물다. ‘담론의 탄생’은 흔한 대중 공간인 살롱, 카페, 클럽을 통해 유럽문명과 지성발달사를 엮었다. 그리고 한 줄로 꿰어낸 그 궤적은 다양한 담론의 역사로 읽힌다.
18세기 프랑스의 시민 출신인 조프랭 부인이 운영했던 살롱. 루소, 디드로 등 프랑스 계몽사상가와 독일 작가 그림, 영국 역사가 기번 등 당대 최고의 지성들이 출입했던 ‘담론의 장’이었다.
한길사 제공
한길사 제공
우선 저자가 주목한 고대 그리스의 폴리스와 아고라를 들여다보자. 폴리스는 자유로운 시민공동체이고, 아고라는 그 복판에 세운 시민담론의 사교장이다. 그리스에서 사람 됨과 교양의 최고 덕목이 ‘세련되고 아름다운 언동’이었음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레토릭(수사학)을 철학보다 훨씬 귀하게 여겼다는 그리스인들의 이야기문화, 즉 담론문화가 중세·르네상스시대를 거쳐 살롱과 클럽, 카페문화로 발전했음을 풍부한 자료와 지식으로 입증한다.
프랑스·독일에서 발달한 살롱과 영국의 클럽은 같은 담론의 장소이면서도 국민들의 심상과 사는 방식에 따라 현격한 차이를 보인다. 주로 귀부인들이 주도했던 프랑스 살롱은 궁정연회나 모임의 양식을 닮아 화려하고 귀족적인 양태를 띤 반면 궁정 사교문화가 없었던 독일의 살롱은 사교 터전이나 지적 호기심이 가득한 유연한 놀이터와는 멀었다. 오히려 진실을 추구하는 동지들의 배움터 성격이 강했다. 궁정과 귀부인 문화가 드물었던 영국에서도 살롱보다는 귀족과 상층 부르주아층인 ‘담론하는 신사’들의 클럽문화가 발달했다.
이런 편차에도 불구하고 살롱과 클럽, 카페는 당시 사회를 휩쓴 계몽주의의 영향을 받아 지적이고 교양 있는 담론의 출처이면서 사회를 바꿔 간 트렌드의 중심 역할을 해냈다. 프랑스 혁명의 시작도 바로 철학살롱에서 비롯됐다. 루소, 볼테르, 데카르트, 몽테스키외, 보카치오, 에밀, 괴테 같은 이들은 살롱과 카페를 드나들던 단골이었고 그곳에서 그들이 이어간 언동은 어김없이 사상과 정치, 문화의 흐름으로 뭉쳤다. ‘우리의 저술은 특정한 시민에게만 영향을 주지만 우리의 담론은 모든 계층을 감화한다.’ 18세기 프랑스 계몽주의 사상가 드니 디드로가 밝힌 대로 세계사를 바꾼 계몽주의 철학의 중심에는 ‘인간성’을 구심점으로 모두 동시대인임을 공감하며 새로운 비전을 향한 담론문화가 존재했다.
저자는 그 대목에 특별히 주목한다. 유럽 지성사와 맥을 같이한 살롱, 클럽, 카페에선 사교와 지성이 조화를 이뤄 정파·당파를 구성하더라도 슬로건을 내세운 이데올로기적 논리로부터 자유로웠다는 것이다. 그래서 결론도 이렇게 맺어진다. “생각이나 입장을 달리하는 사람들을 적으로 압박하고 이데올로기적 슬로건이 그림자를 드리운 우리의 현실에서 그 어느 때보다도 반듯한 담론문화가 요구된다.”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15-04-11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