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바고 문화사/안대회 지음/문학동네/480쪽/3만원
담배가 우리나라에 들어온 건 1610년이라고 한다. 무려 500년 전이다. 그 긴 세월 동안 ‘기호품의 제왕’으로 군림했으니 얽힌 역사도 많았을 터다.
새 책 ‘담바고 문화사’는 담바고(담배의 옛이름)를 거울 삼아 조선 후반의 역사를 짚어 보고 있다. 담배의 기원부터 담배로 비롯된 여러 정치, 경제, 문화 현상들을 담고 있다. 시대 상황에 따라 혐연의 모럴과 애연의 죄책감 사이에서 고민이 많았을 법도 한데, 저자는 “담배를 빼고 문화·문물의 전파와 정착 및 사회상을 말하기 어렵다”며 당위론을 폈다.
담배는 천하의 남녀노소가 즐기는 기호품이었다. 위아래도 없었다. 군왕과 기생, 심지어 어린아이까지 담배에 사로잡혔다. 대표적인 인물이 정조다. 지독한 골초였던 그는 조선의 미래를 책임질 규장각 초계문신(교육·연구 과정의 연소문신)을 상대로 모든 백성이 담배를 피우게 할 방법을 강구하라는 시험 문제를 내기도 했다. 그게 ‘남령초책문’이다.
여성 흡연도 흔했다. 예쁜 여인이 남정네 앞에서 애교 떨며 담배를 피우는 걸 따로 ‘염격’(艶格)이라 부르기도 했다. 앵두 같은 입술에 곰방대 꽂아 물고는 웃음 흘리며 빨아대니 제아무리 심지 굳은 남정네라도 녹아내리지 않을 재간이 없다.
당시 여인이 담배 피우는 장면은 유혹의 상징처럼 굳어졌고, 담뱃불을 빌린다는 핑계로 불륜이 시작되기도 했다.
집에 손님을 들일 때 담배를 권하는 예법도 있었다. 이른바 ‘대객초인사’다. 소설 ‘춘향전’에 이 장면이 나온다. 춘향이 이몽룡을 맞은 첫날밤. 춘향은 ‘대객초인사’에 따라 이몽룡에게 꿀물 적신 담배를 권한다. 춘향은 비흡연자였다. 하지만 주인이 비흡연자라도 손님에게 담배를 내놓는 건 당연한 예법이었다. 춘향전엔 이처럼 흡연 장면이 자주 등장한다. 이는 당시의 접대문화를 설명하는 장치로 작용한다.
경제적인 면에서도 담배는 블루 오션이었다. 청나라 담배 시장에서 흡연자의 입맛을 사로잡은 것은 지사미(잘게 썬 담배) 등 조선산 담배였다. 이후 20세기까지 담배는 우리나라 경제에서 한 번도 중추적인 역할을 놓아 본 적이 없다. 원론주의자들이 담배의 해악을 들어 담배 금지령을 내리라고 왕에게 줄기차게 졸라 댔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은 건 이 때문이다.
융성했던 담배문화도 일제강점기 들어 시들해지기 시작했다. 대표적인 사례가 장죽의 소멸이다. 일제는 장죽 문화를 미개한 것으로 간주했고, 지권연(종이에 만 담배) 피우기를 강권했다. 장죽에 꾹꾹 담뱃잎을 담아 여유롭게 피우는 풍경도 차츰 사라져 갔다.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담배가 우리나라에 들어온 건 1610년이라고 한다. 무려 500년 전이다. 그 긴 세월 동안 ‘기호품의 제왕’으로 군림했으니 얽힌 역사도 많았을 터다.
담배는 천하의 남녀노소가 즐기는 기호품이었다. 위아래도 없었다. 군왕과 기생, 심지어 어린아이까지 담배에 사로잡혔다. 대표적인 인물이 정조다. 지독한 골초였던 그는 조선의 미래를 책임질 규장각 초계문신(교육·연구 과정의 연소문신)을 상대로 모든 백성이 담배를 피우게 할 방법을 강구하라는 시험 문제를 내기도 했다. 그게 ‘남령초책문’이다.
여성 흡연도 흔했다. 예쁜 여인이 남정네 앞에서 애교 떨며 담배를 피우는 걸 따로 ‘염격’(艶格)이라 부르기도 했다. 앵두 같은 입술에 곰방대 꽂아 물고는 웃음 흘리며 빨아대니 제아무리 심지 굳은 남정네라도 녹아내리지 않을 재간이 없다.
당시 여인이 담배 피우는 장면은 유혹의 상징처럼 굳어졌고, 담뱃불을 빌린다는 핑계로 불륜이 시작되기도 했다.
집에 손님을 들일 때 담배를 권하는 예법도 있었다. 이른바 ‘대객초인사’다. 소설 ‘춘향전’에 이 장면이 나온다. 춘향이 이몽룡을 맞은 첫날밤. 춘향은 ‘대객초인사’에 따라 이몽룡에게 꿀물 적신 담배를 권한다. 춘향은 비흡연자였다. 하지만 주인이 비흡연자라도 손님에게 담배를 내놓는 건 당연한 예법이었다. 춘향전엔 이처럼 흡연 장면이 자주 등장한다. 이는 당시의 접대문화를 설명하는 장치로 작용한다.
경제적인 면에서도 담배는 블루 오션이었다. 청나라 담배 시장에서 흡연자의 입맛을 사로잡은 것은 지사미(잘게 썬 담배) 등 조선산 담배였다. 이후 20세기까지 담배는 우리나라 경제에서 한 번도 중추적인 역할을 놓아 본 적이 없다. 원론주의자들이 담배의 해악을 들어 담배 금지령을 내리라고 왕에게 줄기차게 졸라 댔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은 건 이 때문이다.
융성했던 담배문화도 일제강점기 들어 시들해지기 시작했다. 대표적인 사례가 장죽의 소멸이다. 일제는 장죽 문화를 미개한 것으로 간주했고, 지권연(종이에 만 담배) 피우기를 강권했다. 장죽에 꾹꾹 담뱃잎을 담아 여유롭게 피우는 풍경도 차츰 사라져 갔다.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2015-04-04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