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조형예술 龍으로 읽다] (7) 淸 채색화 용 그림 /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

[세계의 조형예술 龍으로 읽다] (7) 淸 채색화 용 그림 /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

입력 2015-02-26 18:10
수정 2015-02-27 09:5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제1영기싹이 잇따라 이어진 게 용의 몸

우리는 우선 용의 모양이 얼마나 다양하게 표현돼 왔는지 살피고 있다. 중국이나 한국은 한(漢)시대 이래 당(唐)시대에 정착된 동물 모양의 용 형태만을 뇌리에 입력해 두고 그것과 다른 모양이면 용이라 인정하지 않으려 하며 보이지도 않는다. 어차피 용은 눈에 보이지 않는 영기를 구상화한 것이므로 보이지 않을지도 모른다.

이미지 확대
청(淸) 채색화에 나타난 용 그림(위)과 강우방 원장이 채색 분석한 용 그림(아래). 채색화의 원본은 청색이다.
청(淸) 채색화에 나타난 용 그림(위)과 강우방 원장이 채색 분석한 용 그림(아래). 채색화의 원본은 청색이다.
용에 대한 가장 오랜 기록은 전국시대 말기의 ‘관자’(管子) 수지편(水地篇)에 있다.

“용은 물에서 낳으며, 그 색깔은 오색(五色)을 마음대로 변화시키는 조화 능력이 있는 신이다. 작아지고자 하면 번데기처럼 작아질 수도 있고, 커지고자 하면 천하를 덮을 만큼 커질 수도 있다. 용은 높이 오르고자 하면 구름 위로 치솟을 수 있고, 아래로 들어가고자 하면 깊은 샘 속으로 잠길 수도 있는 변화무일(變化無日)하고 상하무시(上下無時)한 신(神)이다.”

이상에서 올바른 말은 굵은 사선의 글들뿐이다. 용의 실체는 한마디로 ‘시공(時空)을 초월하여 변화무쌍하다는 것’이다. 그런데 사람들은 올바르지 않은 이야기를 더 좋아한다. 그 훨씬 이전에 조형화된 용에 대한 전국시대나 한 시대의 기록에 올바른 것도 있고 그릇된 것도 있음을 알 수 있다. 서양에서도 그리스의 중요한 조형을 로마시대에 오해한 것이 많은 것과 같다.

중국 청나라 때의 단색으로 된 채색화는 그냥 보면 뭔지 모르나 채색 분석해 보면 명료히 알 수 있다. 용의 실체를 추상적으로 가장 명료하게 보여 줘서 용의 발생기의 것이라 생각이 들 정도다. 제1영기싹은 물을 상징함으로 만물생성의 근원으로 연이으면 물결(영기)을 의미한다. 그러나 한 방향으로만 전개하지 않고 사방으로 확산하면, 바로 우주에 가득 찬 영기를 상징한다.

그런데 용이 우주에 충만한 영기라면 용의 몸은 바로 이런 연이은 제1영기싹 영기문으로 한없이 전개해 나갈 수 있다. 바로 이 그림은 용의 머리만 동물 모양이지 몸 전체는 연이은 제1영기싹으로 이뤄져 있지만 풀로 보여, 중국 학자들은 ‘초룡’(草龍)이라 부르며 보주를 쟁취하려 한다고 여기고 있으며, 일본 사람도 현실의 ‘풀덩굴’(唐草)로 보며, 보주의 본질에는 근처에도 가지 못하고 있다. 얼굴만 동물 모양으로 나타내고 제1영기싹만으로 몸과 꼬리, 앞다리와 뒷다리들을 교묘히 나타냈으니 놀라운 조형이라 하겠다.

이처럼 영기문은 동서고금(東西古今)을 가리지 않는다. 고대의 의문을 훨씬 후대의 작품들에서 정답을 얻기도 하고, 근대의 조형의 문제를 고대에서 답을 찾아내기도 한다, 그만큼 우리는 동서고금의 수많은 조형예술품을 자주 살펴봐서 마음에 각인시켜야 한다. 용이란 고대 우주생성론에 기반을 두며 전개한 것이라 다루기가 만만치 않다.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
2015-02-27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애도기간 중 연예인들의 SNS 활동 어떻게 생각하나요?
제주항공 참사로 179명의 승객이 사망한 가운데 정부는 지난 1월 4일까지를 ‘국가애도기간’으로 지정했습니다. 해당기간에 자신의 SNS에 근황사진 등을 올린 일부 연예인들이 애도기간에 맞지 않는 경솔한 행동이라고 대중의 지탄을 받기도 했습니다. 이에 대한 여러분들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애도기간에 이런 행동은 경솔하다고 생각한다.
표현의 자유고 애도를 강요하는 것은 안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