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동의 한·일 70년] 日 차별 속 동포 간 반목… 3~4세대는 결속력 약화

[격동의 한·일 70년] 日 차별 속 동포 간 반목… 3~4세대는 결속력 약화

입력 2015-01-23 00:32
수정 2015-01-23 04: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재일동포의 어제와 오늘

재일동포사(史)에는 한국 현대사의 아픔이 고스란히 새겨져 있다. 1910년 한·일강제합병 이후 강제 징용, 유학, 돈벌이 등의 이유로 일본에 건너갔다가 해방 이후에도 남아 있게 된 60만명이 재일동포의 원형이다. 이들 1세를 시작으로 재일동포들은 전후 70년 동안 고비마다 많은 시련을 견디며 살아왔다.

일본은 1951년 옛 식민지 출신인 조선인과 대만인의 일본 국적을 박탈했다. 대신 제2차 세계대전 패전 이전부터 일본에 거주하던 이들과 그 자손에게 특별영주 자격을 부여했지만(1965년 한국적 보유자, 1991년 조선적 보유자에게 허가) 일본의 출입국 관리령상 강제 퇴거의 위협은 언제나 존재했다.

1965년 한·일 국교정상화와 재일 한국인의 법적 지위에 관한 협정을 거치면서도 재일동포들은 일본 내에서 법적 지위를 확실히 보장받지 못해 차별을 받아 왔다. 이런 어정쩡한 재일동포의 지위는 1980년대 지문 날인 철폐 운동(일본 정부가 거주 외국인에게 지문 찍기를 강제한 것을 철폐하라는 운동)과 지방참정권 획득 운동(일본 지방자치단체장 선거에 참여할 수 있게 해 달라는 운동), 국민연금 소송(1960년대 연금제도 도입 초기 제도상 소외된 재일동포들이 연금을 받을 수 있게 해 달라는 재판) 등을 야기하는 원인이 됐다.

일본 사회의 차별만큼이나 동포 사회 내 반목도 뼈아팠다. 1946년 남한을 지지하는 재일본대한민국민단(민단), 1955년 북한계인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조선총련)가 각각 설립되면서 재일동포들은 편을 나눠 대립해 왔다. 1965년 한·일 국교정상화를 계기로 한국 국적을 선택한 사람과 조선적으로 남는 사람으로 나뉘었다. 정치적으로 북한을 지지하거나 한국 국적을 굳이 선택하지 않은 이들은 조선적으로 남았다.

한국에서 해외여행이 자유화된 1980년대 말 이후에는 새로 정착한 뉴커머와 기존의 올드커머로 또다시 나뉘게 됐다. 뉴커머들은 민단과는 별도로 2001년 재일본한국인연합회를 설립해 활동하고 있다. 일본 법무성 통계에 따르면 2013년 현재 일본 내에 거주하는 재일동포는 51만 9740명으로, 그중에서 올드커머가 대부분인 특별영주자는 36만 9249명, 뉴커머를 포함한 일반영주자는 6만 4545명으로 파악됐다. 뉴커머의 경우 비자를 갖고 체류하는 경우도 있는 것을 감안하면 숫자는 더 늘어난다. 올드커머들의 저출산·고령화와 귀화, 일본인과의 결혼 등으로 인해 특별영주자는 점차 감소하고 뉴커머가 점점 증가하는 추세다.

더 큰 문제는 전후 70년이 지나는 동안 주력 세대가 3~4세로 이동하면서 동포 사회의 결속력이 약해지고 있는 것이다. 과거 1~2세는 언젠가 조국에 돌아가야 한다는 생각이 강했지만 3~4세들은 태어나고 자란 일본을 삶의 터전으로 여기는 경우가 많다. 일본 사회에서 살아가다 보니 참정권 등 권리를 찾기 위해 귀화를 선택하거나 일본인과 결혼하는 재일동포들이 늘어나고 있다. 일본 법무성은 1952년 이후 일본 국적 취득자를 약 34만 5000명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에 대해 자이니치 3세인 배광온 오사카교육대 교수는 “귀화를 선택하는 것은 어찌 보면 자연스러운 흐름이고 막을 수도 없다”면서 “일본 국적을 취득하더라도 자이니치 코리안으로서 다른 재일동포들과 함께 행동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도쿄 김민희 특파원 haru@seoul.co.kr
2015-01-23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