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집단 이루며 평등 유지하던 인류 지위 세습되며 특권 정당화 노려 우월함 향한 욕망이 불평등의 원천
불평등의 창조/켄트 플래너리·조이스 마커스 지음/하윤숙 옮김/미지북스/1002쪽/3만 8000원“인간 불평등의 기원은 무엇이며, 불평등은 자연법에 의해 허용되는가?”
1753년 프랑스의 디종아카데미에서 내건 논문 현상 공모의 주제였다. 스위스 제네바에서 온 젊은 인습타파주의자 장 자크 루소(1712~1778)는 논문 ‘인간 불평등의 기원’에서 인간 불평등의 기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아주 먼 옛날 자연 상태로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자연 인간’ 사회에선 자기 보존을 위한 자존감이 일반적인 원칙으로 통용되고 모두가 평등했지만 사회가 커지면서 ‘자기애’가 그 자리를 차지한 것이 불평등을 낳았다고 분석했다. 남보다 우월한 존재로 인정받고 싶고 남들에게 존경받고 싶은 욕구 때문에 물질을 향한 욕망이 생기고, 부유한 집단이 가난한 집단에 사회계약을 강요하면서 불평등을 도덕적으로 정당화했다는 것이다. 비록 수상작이 되지는 못했지만 당대에 대단한 파급력을 미쳤고, 급기야 프랑스혁명의 도덕적 근거를 제공했다. 인간 사회의 발전 과정을 이해하기 위한 틀을 최초로 제시한 루소의 논문이 인류학이나 고고학, 사회학이 탄생하기 한 세기 전에 나온 것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정말 놀라운 통찰력이다.
신간 ‘불평등의 창조’는 방대한 고고학 연구 자료들과 인간 집단에 대한 인류학 연구 결과를 토대로 루소가 다뤘던 인간 불평등의 기원과 전개 과정을 추적한다. 저명한 고고학자인 켄트 플래너리와 조이스 마커스는 모두가 평등한 사회에서 왜 불평등이 발생했는지, 어떻게 불평등이 정당화되고 제도화됐는지를 고고학과 인류학의 협업을 통해 생생하게 재구성한다. 저자들은 선사 시대 사회에 관한 고고학 자료뿐만 아니라 현존하는 사회 집단을 아우르는 인류학 연구를 바탕으로 “불평등은 모든 인간 집단의 핵심에 있는 고유한 사회 논리를 의도적으로 조작한 결과물”임을 입증해 나간다.
기원전 1만 5000년 수렵채집사회에서 소집단을 이루고 살았던 인류의 조상은 ‘초자연적 존재’의 지시를 수행하며 평등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러나 여러 개의 가계나 씨족으로 이뤄진 촌락사회로 발전하기 시작하면서 ‘우리 대 저들’이라는 세계관이 형성되고 불평등이 생겨나기 시작한다. 명망을 가진 가계나 씨족의 지위가 세습되기 시작하면서 불평등 구조가 한 단계 발전한다. 이때 세습을 위해 서열 순위가 조작되는 일이 벌어진다. 남들보다 더 높은 지위에 오르고자 하는 사람들은 자신의 가계가 ‘신의 후손’이라고 주장함으로써 지위를 정당화했다. 불평등은 바로 이 서열 순위를 조작해야만, 그리고 새롭게 바뀐 서열 순위를 다른 성원들이 납득해야만 탄생할 수 있었다. 역사상 최초로 자신의 지위를 후손에게 세습하려 했던 지도자들은 자기네 가계와 조상 영혼, 심지어 신 사이에 연관 관계가 있음을 다른 구성원들에게 납득시키려 했다. 특권과 평등 사이에서 빚어지는 논리의 모순 때문에 초기에는 사회가 동요하고 폭력 사태가 일어나기도 하고, 일정 시점이 되면 고위층 사이에서 치열한 경쟁이 벌어진다. 그 결과 서아시아, 이집트, 아프리카, 멕시코, 페루, 태평양 연안 지역에서 전제적인 왕국과 제국이 탄생했다. 세계 각지에서 건설된 최초의 왕국은 족장 가계 간 치열한 권력 찬탈의 결과물이었다.
메소포타미아, 고대 멕시코, 남아메리카, 남태평양 사모아제도와 통가제도 등 지역과 종족을 불문하고 세습 지배층이 생기고 불평등이 고착화되는 과정은 유사하다. 저자들은 “기원전 2500년 무렵, 지금까지 인류에게 알려진 거의 모든 불평등의 형태가 세계 어디에선가 나타나게 됐고 진정 평등한 사회는 점차 외곽으로 밀려나 다른 이들은 원하지 않는 몇몇 지역에만 한정되었다”고 적었다.
함혜리 선임기자 lotus@seoul.co.kr
2015-01-17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