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바람이 부는 겨울이면 피부가 가렵다고 호소하는 사람들이 있다. 대부분은 생활환경이 건조해서 생기는 피부 반응이지만, 추우면 기승을 부리는 두드러기도 있다. 바로 ‘한랭두드러기’다. 만약 팔에 얼음 덩어리를 올려놓고 5분 정도 지나서 볼록하게 부어오르는 증상이 있다면 한랭두드러기일 가능성이 높다.
■찬 공기나 물 등에 노출되면 증상 나타나
한랭두드러기는 찬 공기나 물, 얼음 등에 노출되면 피부에 두드러기가 생기는 현상으로, 찬 것에 노출된 후 몸이 다시 더워질 때 두드러기가 더 심해지는 특징이 있다. 드물기는 하지만 추위에 노출된 후 18~96시간 안에 홍안반성 부종으로 나타나는 ‘지연 한랭두드러기’도 있다.
한랭두드러기는 전체 만성 두드러기의 1~3% 정도로, 쉽게 경험하는 질환은 아니다. 대부분 18~25세의 젊은 층에서 나타나며, 피부묘기증(어느 정도 이상의 압력을 가해 피부를 긁거나 누르면 가렵거나 붉게 변하면서 부어오르는 현상)이나 콜린성 두드러기가 있는 환자에게서 흔하게 발생한다.
문제는 이런 한랭두드러기가 피부에 국한하지 않고 전신적으로 두통 저혈압 실신 천명(숨소리가 쌕쌕거리는 것) 숨참 심계항진 구역 구토 설사 등을 동반해 위험에 빠질 수 있다는 점이다. 평소 피부묘기증이 있는 사람은 추위에 노출됐을 때 증상이 훨씬 심하게 나타나기도 하므로 주의해야 한다.
물론 추운 계절에 피부 가려움이 나타난다고 모두 한랭두드러기는 아니다. 추위와 관련이 있는 피부병변은 ‘동상’ ‘동창’ ‘한랭지방층염’ ‘그물울혈반’ ‘대리석피부’ 등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겨울에 가려움이 심하고 두드러기가 있다고 해서 섣부르게 한랭두드러기로 판단해서는 안 되며, 전문의의 정확한 진단을 거쳐야 한다.
한랭두드러기는 대부분 후천적으로 나타나지만, 드물게 유전적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우성으로 유전되는 한랭두드러기는 주기적인 발열 두통 결막염 관절통과 호중구성 백혈구 증가증 등이 동반되기도 한다.
■찬물 입수, 저혈압과 실신 위험 높아
한랭두드러기를 예방하거나 증상을 줄이려면 원인이 되는 찬 기운을 최대한 피해야 한다. 일부 한랭두드러기 환자에게서는 단순 피부 증상뿐만 아니라 호흡기나 장 점막 등이 피부처럼 부으면서 호흡이 곤란해지고, 복통이 생기거나 심한 저혈압으로 쇼크에 빠질 수 있다.
따라서 한랭두드러기가 있는 사람이 TV 예능 프로그램에서처럼 갑자기 찬 물에 뛰어들거나 찬 물을 뒤집어쓰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저혈압이나 실신 등의 증상으로 사망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위급한 상황을 대비해야 하는 환자는 ‘에피네프린 키트’ 등 응급처치를 위한 약제를 항상 지니고 다녀야 한다.
한랭 두드러기는 딱히 치료법이 없어 대부분은 항히스타민제로 조절한다. 경희대학교병원 피부과 신민경 교수는 “하지만 유전적인 경우나 특별한 증상을 보이는 환자, 다른 증상이 동반된 환자는 항히스타민제의 종류를 바꾸거나, 다른 약을 병용해 치료하거나, 용량을 조절해 치료하기도 한다”면서 ”특히 두드러기 증상이 심하거나 병변이 한번 발생하면 오래 지속되는 경우, 혈관부종이 심한 경우에는 부신피질호르몬제나 에피네프린으로 치료해야 하므로 전문의를 찾아 한랭두드러기 여부를 확인해보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심재억 의학전문기자 jeshim@seoul.co.kr
■찬 공기나 물 등에 노출되면 증상 나타나
한랭두드러기는 찬 공기나 물, 얼음 등에 노출되면 피부에 두드러기가 생기는 현상으로, 찬 것에 노출된 후 몸이 다시 더워질 때 두드러기가 더 심해지는 특징이 있다. 드물기는 하지만 추위에 노출된 후 18~96시간 안에 홍안반성 부종으로 나타나는 ‘지연 한랭두드러기’도 있다.
한랭두드러기는 전체 만성 두드러기의 1~3% 정도로, 쉽게 경험하는 질환은 아니다. 대부분 18~25세의 젊은 층에서 나타나며, 피부묘기증(어느 정도 이상의 압력을 가해 피부를 긁거나 누르면 가렵거나 붉게 변하면서 부어오르는 현상)이나 콜린성 두드러기가 있는 환자에게서 흔하게 발생한다.
문제는 이런 한랭두드러기가 피부에 국한하지 않고 전신적으로 두통 저혈압 실신 천명(숨소리가 쌕쌕거리는 것) 숨참 심계항진 구역 구토 설사 등을 동반해 위험에 빠질 수 있다는 점이다. 평소 피부묘기증이 있는 사람은 추위에 노출됐을 때 증상이 훨씬 심하게 나타나기도 하므로 주의해야 한다.
물론 추운 계절에 피부 가려움이 나타난다고 모두 한랭두드러기는 아니다. 추위와 관련이 있는 피부병변은 ‘동상’ ‘동창’ ‘한랭지방층염’ ‘그물울혈반’ ‘대리석피부’ 등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겨울에 가려움이 심하고 두드러기가 있다고 해서 섣부르게 한랭두드러기로 판단해서는 안 되며, 전문의의 정확한 진단을 거쳐야 한다.
한랭두드러기는 대부분 후천적으로 나타나지만, 드물게 유전적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우성으로 유전되는 한랭두드러기는 주기적인 발열 두통 결막염 관절통과 호중구성 백혈구 증가증 등이 동반되기도 한다.
■찬물 입수, 저혈압과 실신 위험 높아
한랭두드러기를 예방하거나 증상을 줄이려면 원인이 되는 찬 기운을 최대한 피해야 한다. 일부 한랭두드러기 환자에게서는 단순 피부 증상뿐만 아니라 호흡기나 장 점막 등이 피부처럼 부으면서 호흡이 곤란해지고, 복통이 생기거나 심한 저혈압으로 쇼크에 빠질 수 있다.
따라서 한랭두드러기가 있는 사람이 TV 예능 프로그램에서처럼 갑자기 찬 물에 뛰어들거나 찬 물을 뒤집어쓰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저혈압이나 실신 등의 증상으로 사망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위급한 상황을 대비해야 하는 환자는 ‘에피네프린 키트’ 등 응급처치를 위한 약제를 항상 지니고 다녀야 한다.
한랭 두드러기는 딱히 치료법이 없어 대부분은 항히스타민제로 조절한다. 경희대학교병원 피부과 신민경 교수는 “하지만 유전적인 경우나 특별한 증상을 보이는 환자, 다른 증상이 동반된 환자는 항히스타민제의 종류를 바꾸거나, 다른 약을 병용해 치료하거나, 용량을 조절해 치료하기도 한다”면서 ”특히 두드러기 증상이 심하거나 병변이 한번 발생하면 오래 지속되는 경우, 혈관부종이 심한 경우에는 부신피질호르몬제나 에피네프린으로 치료해야 하므로 전문의를 찾아 한랭두드러기 여부를 확인해보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심재억 의학전문기자 jesh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