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저로 해외 뭉칫돈 몰려… 작년 매수액 9조원 ‘역대 최고’
‘장기 침체’의 상징이던 일본 부동산에 해외 투자자들이 몰리고 있다. 계속되는 엔저 기조로 인해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해졌기 때문이다.●전년보다 해외투자자 거래 3배 급증
일본 부동산에 투자하는 ‘큰손’은 중국 등 아시아계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2월 중국 민영기업인 푸싱(復星)그룹과 미국계 펀드는 일본담배산업(JT)의 복합시설인 ‘시나가와 시사이드 포레스트’의 오피스 빌딩 3동을 약 700억엔에 각각 사들였다. 또 싱가포르 국부펀드인 싱가포르투자청(GIC)은 지난해 10월 도쿄역 앞에 있는 대형 빌딩 ‘퍼시픽센추리플레이스(PCP) 마루노우치’ 오피스 일부를 약 1700억엔에 매수했다.
기업뿐 아니라 개인 투자자 역시 중국인이 많다. 스미토모 부동산이 도쿄 하루미에서 판매 중인 타워맨션 ‘되 투르 커넬&스파’는 중국인의 구입이 눈에 띈다. 부동산 관계자는 신문 인터뷰에서 “자산 가치가 쉽게 떨어지지 않는 도쿄만 지역의 맨션이 특히 인기를 끌고 있다”고 전했다. 이외에도 교토에서는 전통주택인 교마치야를 별장으로 구입하는 외국 부유층이 늘어나고 있고, 스키 리조트로 유명한 홋카이도의 니세코지구에서도 외국 자본에 의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고 신문은 덧붙였다.
●중국인 등 아시아 큰손들 대부분
해외 투자자들이 ‘바이 재팬’을 가속화시키는 가장 큰 이유는 엔저다. 일본 부동산 가격이나 임대료를 엔화 기준으로 환산하면 세계의 다른 대도시에 비해 저렴해지기 때문이다. 일본부동산연구소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기준 엔화로 환산한 사무실 임대료는 도쿄를 100으로 봤을 때 홍콩은 165.6, 런던은 146.0으로 조사됐다. 또 주요국의 금융완화로 자금을 조달하기 쉬워졌고, 일본 기업의 실적 개선이나 2020년 도쿄올림픽 개최로 일본 내 땅값이나 사무실 임대료가 상승할 것으로 전망되는 것도 이유 중 하나라고 신문은 분석했다.
해외 자본의 매수세에 따라 일본의 땅값은 전국적으로 하락폭이 점점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에는 도쿄·오사카·나고야 등 3대 대도시권의 상업지·주택지가가 모두 상승세로 돌아섰으며 도쿄 도심의 빌딩 공실률은 5% 중반으로 최근 6년간 최저수준이라고 신문은 덧붙였다.
도쿄 김민희 특파원 haru@seoul.co.kr
2015-01-13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