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떠난 기업들이 ‘판교’로 몰리는 이유는?

‘강남’ 떠난 기업들이 ‘판교’로 몰리는 이유는?

입력 2014-11-13 00:00
업데이트 2014-11-13 11: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제2판교테크노밸리 개발로 규모 더 커져

최근 기업들이 주목하는 업무단지가 있다. 강남보다 저렴한 임대료에 쾌적한 업무환경을 갖춘 경기 성남시 판교테크노밸리다. 여기에 서울로 연결되는 교통망이 좋아지면서 직장인들이 일하고 싶은 업무지구로 급부상하고 있다.

판교테크노밸리의 가장 큰 장점은 강남과의 접근성이다. 신분당선을 이용하면 판교역에서 강남역까지 13분이면 이동할 수 있다. 웬만한 서울 지역에서 강남으로 이동하는 것보다 더 가깝다. 또 판교 IC와 외곽순환도로, 용인~서울고속도로, 분당~수서 간 고속화도로를 이용한 광역 접근성이 뛰어나다.

실제로 강남을 떠나 판교로 몰려드는 기업이 늘면서 강남권 오피스 공실률이 높아지고 있다. 지난달 16일 부동산종합서비스회사 DTZ 코리아 보고서에 따르면, 강남권역 공실률은 6.3%로 전기보다 0.2%P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판교테크노밸리로 사옥을 이전한 A사 관계자는 “매출 압박도 심한데 굳이 높은 임대료를 지불해가며 강남에 머물 이유가 없다는 판단에서 이전을 결정했다”면서 “임대료는 낮지만 강남보다 쾌적한 환경에서 일할 수 있어 만족한다”고 설명했다.

# 강남보다 낮은 임대료에 편리한 교통망 갖춰

판교테크노밸리 규모는 더 확대될 계획이다. 지금보다 더 많은 관련 업체들이 판교로 몰려들 것으로 예상되자 입주기업들은 반색하는 분위기다.

경기도는 지난달 성남시와 함께 판교테크노밸리 인근에 46만㎡ 규모의 제2판교 테크노밸리를 조성한다고 밝혔다. 제2판교테크노밸리는 기존 판교테크노밸리의 3분의 2 크기로 개발된다.

경기 성남시 삼평동 일대 66만1000㎡ 부지에 조성된 판교테크노밸리는 현재 870여 개의 기업이 입주해 5만9000여 명이 근무하고 있다. 이곳엔 넥슨,엔씨소프트,NHN엔터테인먼트(한게임),네오위즈게임즈 등 국내 게임업계 ‘빅4’가 이 곳으로 사옥을 이미 이전한 상태다.

제2판교테크노밸리는 오는 2016년 상반기 산업단지 지정 등 행정절차를 끝내고 2017년 초 분양에 들어갈 예정이다. 조성이 완료되면 600여 개 기업이 입주하고 4만3000여 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보인다.

늘어나는 교통 수요를 감당하기 위한 교통망도 확충한다.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에서 판교테크노밸리 1.5㎞ 구간을 지상으로 운행하는 판교트램(노면전철)이 오는 2017년 건설될 예정이다. 이재명 성남시장과 남경필 경기도지사는 지난 9월 23일 ‘판교 트램 조기 건설 협력’에 관한 업무 협약을 맺었다.

# 즉시 입주 가능한 삼환하이펙스 오피스 등 눈독

삼환컨소시엄은 경기 성남시 판교테크노밸리에서 삼환하이펙스 오피스(업무시설)를 분양하고 있다. 이 오피스는 지하 1층~지상 10층의 A,B 2개 동으로 이뤄져 있다. 사무실 면적은 1칸 기준 최소 36㎡에서 최대 1개층 기준 2446㎡로 선택의 폭이 넓다.

현재 이곳에는 내비게이션 전문업체인 팅크웨어(아이나비), 오라이언소프트, 셀라니즈코리아 등 IT 전문업체 및 IT유망기업 육성을 위하여 설립된 성남산업진흥재단 산하의 글로벌게임허브센터, 모바일게임센터가 입주해 있다.

위치도 좋다. 강남역까지 환승 없이 이어지는 신분당선 판교역을 걸어서 이용할 수 있다. 2017년 건설될 예정인 판교트램 제 2정거장이 삼환하이펙스 B동 인근에 위치할 예정이라 교통편은 더 좋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준공이 완료된 상태로 즉시 입주가 가능하며, 매입 시 2022년까지 재산세,부가가치세,취득세 부담 없어 최소 비용으로 사옥을 분양 받을 수 있다. 또한 선임대를 호실을 대상으로는 임대수익율 최대 14%까지 가능하다. 홍보관은 성남시 삼평동 678 삼환하이펙스 A동 3층에 마련됐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