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방 이후 잡지 창간사 분석 천정환 교수의 저서 ‘시대의 말 욕망의 문장’
1945년 해방을 맞자 한국의 지성 역시 과감히 자유와 해방을 선언했다. 이는 사상 학문적 좌우 분열기에도, 반공독재와 부정부패가 횡행하던 시절에도, 물질적 풍요로움과 부의 추구가 정신적 빈곤을 부추길 때도, 현실 사회주의가 몰락해 민족, 해방 등속의 언어가 철 지난 유행가처럼 무시받을 때에도 꿋꿋하게 유지돼 왔다.집계할 수 없을 정도로 수없이 명멸하면서도 감내해 온 해방 이후 잡지(雜誌)의 역사다. 고스란히 한국의 지성사, 문화사 흐름과 맞닿았다.
이들이 표방했던 내용의 고갱이는 창간사를 통해 압축적으로 담긴다. 천정환 성균관대 국문학과 교수는 ‘시대의 말 욕망의 문장’(마음산책)을 펴내며 해방 이후 2000년대까지 발간됐던 잡지 123종의 창간사를 분석해 당대의 시대정신과 조응했던 지성사의 흐름을 짚어 냈다.
1945년 12월 창간한 월간지 ‘백민’은 창간사에서 ‘백민은 대중의 식탁입니다. 문화에 굼주린 독자여 맘것 배블리 잡수시요. 쓰는 것도 자유, 읽는 것도 자유, 모-든 것이 자유해방이외다’(원문 표기)라고 밝히며 ‘말과 정신의 자유’를 천명했다. 1948년 9월 창간한 ‘학풍’은 문학, 과학, 역사학, 사회학, 법학, 정치학 등 전방위 분야를 망라한 종합학술지였다. ‘학풍’의 창간사 제목은 ‘학문의 권위를 위하여’다. 해당 연구가 정치하게 분화하지 않은 상황에서 한국 인문학의 재출발 선언문이자 곡학아세의 학자들에 대한 천둥과도 같은 계언이다.
‘학자가 오늘은 생활을 위하여 몸을 영리기업에 두기도 하며, 내일은 세속적 위력에 아첨하여 학계를 파는 데 여념이 없다.(…) 우리의 학계가 급속히 자체의 권위를 자각하지 않으면 학문의 이름 앞에 자멸의 길을 피하지 못할 것이다.’ 60여년이 지난 오늘날에도 흠칫 놀라 움찔거릴 만한 일갈이다.
이는 함석헌과 장준하라는 한국 현대지성사의 두 거목이 이끌었던 월간 ‘사상계’(1953년 4월 창간)로 이어졌다. ‘사상계’의 존재만으로 만족하기에 박정희 정권의 현실은 참혹했다. 눈엣가시 같던 ‘사상계’ 외에도 ‘모든 지성과 양심의 나침반’을 자부한 ‘청맥’(1964년 8월 창간)이 나왔고 기꺼이 탄압의 대상이 됐다. 그리고 1966년 당시 스물여덟 살의 서울대 전임강사였던 백낙청 서울대 명예교수가 계간지 ‘창작과비평’을 창간한다. 오랜 시간 한국 사회 지성의 전위이자 본대였던 ‘창작과비평’은 시대적 변화에 맞춰 문예지의 특성을 더욱 부각시키며 ‘문학과지성’(1970년 창간)과 함께 문예계간지의 축을 이룬다.
지성의 성찰은 1976년 3월 창간한 ‘뿌리깊은 나무’에서 새로운 단계로 접어들었다. 한글 중심주의, 민중주의, 생태주의 가치를 전면적으로 표방한 ‘뿌리깊은 나무’ 창간사는 ‘고급문화의 그늘에서 시들지도 않고 이 시대를 휩쓰는 대중문화에 치이지도 않으면서, 변화가 주는 진보와 조화롭게 만나야만 우리 문화가 더 싱싱하게 뻗는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는 1991년 ‘녹색평론’에 이르러 생태주의를 전면에 내세우는 것으로 진화한다. 창간사는 ‘파국을 향해 질주하는 산업문명’, ‘정치나 경제의 위기일 뿐 아니라 문화적 위기, 즉 도덕적·철학적 위기’ 등으로 시대를 진단했다. 그리고 마르크스주의가 ‘인간 중심의 관점에 머무르는 한(…) 크게 미흡한 사상’이라고 일갈했다.
물론 엄숙한 잡지들만 있었던 것은 아니다. 1957년 2월 ‘야담과 실화’ 창간호는 ‘육체파 미인 윤인자양’의 총천연색 화보를 앞세웠다. 여성을 성적으로 대상화한다는 논란 속에서도 통속 대중잡지의 흐름은 1968년 9월 ‘선데이 서울’ 창간까지 계속된다. 1982년 아무 직함도 없이 ‘박근혜’ 명의로 창간사를 썼던 만화잡지 ‘보물섬’부터 ‘음악동아’(1984년 창간), ‘미술세계’(1984년 창간), ‘과학동아’(1986년 창간) 등 전문지에 이르기까지 잡지의 분화는 본격화한다. 특히 페미니즘을 표방한 ‘페미니스트 저널 이프’를 비롯해 2000년 ‘아웃사이더’, 2012년 ‘월간 잉여’ 등이 잇따라 창간됐다. 또한 2000년대 이후 ‘GQ’(2001), ‘맥심’(2002) 등의 해외 판권을 사 온 라이선스 잡지는 자동차, 패션, 섹스, 스포츠 등 ‘남성용 콘텐츠’를 세계적 트렌드로 녹여 냈다.
천 교수는 “잡지를 창간하는 일에는 세상을 바꾸고 싶다는 욕망, 자신의 생각을 세상에 퍼뜨리고 싶다는 욕망, 잡지를 중심으로 앎과 삶의 네트워크를 만들고 싶다는 욕망 같은 것이 관여한다”면서 “(창간사에는) 현재의 역사적 좌표와 사회상을 말하는 것이 공통적이며, 창간사에 담긴 정신과 말은 당대의 현실과 상호작용해 빚어진 것”이라고 지성사와 문화사의 틀로서 창간사를 분석했음을 밝혔다.
박록삼 기자 youngtan@seoul.co.kr
2014-11-05 18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