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키 “日의 문제는 책임회피”

하루키 “日의 문제는 책임회피”

입력 2014-11-04 00:00
수정 2014-11-04 03:2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마이니치신문과 인터뷰서 직격탄 “가해자였다는 생각 점점 희박해져”

“일본이 안고 있는 문제에는 공통적으로 자기책임의 회피가 있다.”

이미지 확대
무라카미 하루키
무라카미 하루키
노벨문학상 후보로 자주 거론되는 일본 소설가 무라카미 하루키(65)가 3일 마이니치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일본 사회를 작심하고 비판했다. 공식석상에 모습을 거의 드러내지 않는 것으로 유명한 그이지만 최근 들어 현안에 대해서는 곧잘 날카로운 발언을 해왔다. 2011년 6월 스페인에서 카탈루냐 국제상을 받을 때도 “일본은 핵에 대해 계속 ‘아니오’라고 말했어야 했다”는 소감을 밝히기도 했다.

그는 근대 일본의 전쟁을 다뤘던 작가로서 내년에 종전 70년을 맞는 것과 관련해 “1945년의 종전(패전)에 대해서도, 2011년 후쿠시마 원전사고에 대해서도 누구도 진심으로 책임을 지고 있지 않다는 생각이 든다”고 운을 뗐다.

그는 “가령 종전 후에는 결국 누구도 잘못하지 않은 것이 돼버렸다. 잘못한 것은 군벌이며 천황(일왕)도 멋대로 이용당했고 국민도 모두 속아서 지독한 일을 겪은 것으로 됐다. 그렇게 되면 중국인도, 한국인이나 조선인도 화를 낸다. 일본인에게는 자신들이 가해자였다는 발상이 기본적으로 희박하고 그런 경향이 점점 강해지고 있는 것처럼 생각된다”고 말했다.

그는 또 “원전 문제도 누가 가해자인지를 진지하게 추궁하지 않았다. 물론 가해자와 피해자가 뒤섞여 있기도 하겠지만, 이대로 간다면 ‘지진과 쓰나미가 최대의 가해자였고 그 외에는 모두가 피해자였다’ 는 식으로 덮일 수밖에 없다. 그것이 가장 걱정되는 일”이라고 했다.

하루키는 냉전 후의 혼란스러운 세계에 대한 질문에는 “냉전 붕괴로 동이냐 서냐, 좌냐 우냐는 축(軸)이 없어지고 혼돈이 일상이 됐다. 내가 소설에서 쓰려고 했던 것도 말하자면 축이 없어진 세계다. 베를린 장벽이 붕괴된 즈음부터 내 소설이 유럽에서 받아들여지기 시작했고, 미국에서는 9·11 사고가 일어난 후에 받아들여졌다. 축의 상실이 키워드가 된 것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우리 세대는 ‘세계가 좋아질 수밖에 없다’는 식의 이상주의를 갖고 있었다. 그러나 지금 젊은 세대는 세계가 오히려 나빠질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다”면서 “이런 젊은 세대를 향해 소설을 쓰고 싶다. 우리가 1960년대에 갖고 있던 이상주의를 새로운 형태로 변환시켜 넘겨주는 건 중요한 작업이다. 축이 없는 세계에, ‘가설의 축’을 제공하는 것이 소설의 임무라고 믿고 있다”는 다짐으로 인터뷰를 매듭지었다.

도쿄 김민희 특파원 haru@seoul.co.kr
2014-11-04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