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창] “경제성숙기 되면 출현… 한국에도 곧 나타날 것”

[세계의 창] “경제성숙기 되면 출현… 한국에도 곧 나타날 것”

입력 2014-09-02 00:00
수정 2014-09-02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하라다 요헤이 하쿠호도 청년연구소장

2001년 일본의 대형 광고회사인 하쿠호도에 입사한 이후 13년 동안 일본을 비롯해 한국·중국·동남아 등 아시아를 포괄해 20대 연구를 해 온 하라다 요헤이(37) 하쿠호도 청년연구소 소장은 “사토리세대의 출현은 전 세계적 현상”이라면서 “사토리세대 이후 트렌드는 ‘여성화된 남성’”이라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하라다 요헤이 하쿠호도 청년연구소장
하라다 요헤이 하쿠호도 청년연구소장


→‘마일드 양키’의 출현은 언제부터인가.

-최근 10년간 여러 지역에 인터뷰와 조사를 다니면서 ‘마일드 양키’가 늘고 있다는 것을 피부로 느꼈다. 책을 쓰고 싶은 테마였지만 시간이 없어 5년 전부터 묵혀 뒀다. 즉 ‘마일드 양키’의 출현은 10년간 점진적으로 일어난 것이었다.

→‘마일드 양키’가 출현한 사회적 배경은.

-일본 경제가 최근 20년 동안 성숙기에 접어들었기 때문이다. 경제성장기에는 ‘내가 열심히 하면 월급도 오르고 부모 세대도 뛰어넘을 수 있다’는 상승 욕구를 갖는다. 그런데 경제성숙기에는 ‘열심히 해봤자 메리트가 없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이런 흐름 속에서 ‘마일드 양키’가 탄생한 것이다.

이런 현상은 전 세계적이다. ‘초식남’(초식동물처럼 온화한 남성)은 일본에서 2009년 유행했는데 중국 상하이에서 2013년 유행했다. 상하이에서는 6~7년 전만 하더라도 “나의 목표는 사장”이라는 젊은이들이 많았는데, 2~3년 전부터 “월급은 오르지 않아도 되니 지금 일하는 레스토랑에서 계속 일할 수 있으면 좋겠다”고 말하는 이들이 생겨났다. 드디어 중국에도 이런 현상이 생겼구나 하고 놀랐다. 일본에서 20년 걸려서 나타난 현상이 중국에선 수년 만에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가족과 고향을 중시하는 ‘마일드 양키’는 보수적 성향을 띠고 있는 것 같다.

-‘마일드 양키’는 정치적으로 무관심하다. 스마트폰 사용도 어려워하고 인터넷에서 즐겨 자료를 찾지 않는다. 20대는 대개 정치 사상이 없다. 요즘 헤이트 스피치(증오 발언)가 늘었다고 해도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 ‘마일드 양키’의 생활이 보수적인 것과 보수 정치층을 지지하는 것은 별개의 문제다.

→‘마일드 양키’ 이후 일본 젊은이들의 새로운 트렌드는.

-여성스러운 남성이다. 경제 성숙기에 중성적인 사람들이 느는 것은 어느 나라에나 있다. 전형적인 남성성과 여성성에 대한 사회적인 압박이 낮아지기 때문이다. 일본에서 매년 발표되는 신조어·유행어 대상에서 이 같은 세태를 반영하는 말이 많이 나온다. 초식남, 벤토남(회사에 자신이 손수 만든 도시락을 싸가는 남성), 히가사단시(햇빛에 탈까 봐 양산을 쓰고 다니는 남성), 레깅스단시(레깅스를 신고 다니는 남성), 오토멘(소녀 같은 남성)이 그렇다. 이런 트렌드는 한국을 비롯해 다른 아시아 국가에서도 곧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글 사진 도쿄 김민희 특파원 haru@seoul.co.kr
2014-09-02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