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복귀 원칙’ 전교조, 전임자 70명 중 39명 18일 복귀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이 노조 전임자 70명 중 39명을 일선 학교 현장으로 돌려보내기로 했다. 교육부가 21일까지 학교로 복귀하지 않은 전임자는 직권 면직하도록 시·도교육감들에게 요구한 만큼 미복귀 전임자들에 대한 징계를 놓고 교육부와 진보 교육감들의 충돌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연합뉴스

김정훈(가운데)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위원장이 17일 서울 서대문구 전교조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전임자 전원 미복귀 원칙을 내세웠던 전교조가 절반이 넘는 전임자를 복귀시키기로 결정한 배경과 관련, 김정훈 위원장은 “전교조가 민주진보 교육감 시대를 막는 걸림돌로 왜곡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위원장은 또 “미복귀 결정을 내린 31명은 전교조의 기본을 유지하기 위한 골격이자 뼈대”라며 “복귀 여부와 관계없이 새로운 교육을 향한 전교조의 열망은 똑같다”고 강조했다.
앞서 교육부는 전교조 전임자 복귀 시한을 지난 3일로 제시했다. 하지만 진보 교육감들이 18∼19일자로 복직 시한을 통보하면서 교육부도 오는 21일로 시한을 2주 연기했었다. 교육부는 21일까지 복귀하지 않은 전임자에 대해서는 일주일 내 인사위원회를 열어 직권 면직하도록 시·도교육감들에게 요구한 바 있어 미복귀 전임자들에 대한 시·도교육감들의 조치가 주목된다.
일단 진보 교육감들이 ‘전교조 감싸기’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 교육감들은 오는 23일 서울시교육청 주관으로 서울 서초구 더케이서울호텔에서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를 열어 이 문제를 논의할 예정이다. 이 자리에서 진보 교육감들이 교육부 지시 거부 쪽으로 의견을 모은다면 교육부와의 직접적인 충돌이 예상된다. 교육부 관계자는 “전교조 문제는 21일 이후 시·도교육감들의 조치를 지켜본 후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4-07-18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