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승혜 개인전 ‘회상’
“아직 인터넷이 활성화되기 전 ‘하이텔’ 등을 통해 마주한 온라인 세상은 충격으로 다가왔어요. 화면 속을 헤집고 다니는 다양한 점·선·면을 보면서 영감을 얻었죠.”다음달 17일까지 서울 종로구 소격동 국제갤러리에서 열리는 ‘회상’(回想)전은 이런 의미에서 일종의 회고전이다. 1997년부터 시작한 ‘유기적 기하학’이란 물음에 대해 작가가 스스로 내놓은 답인 셈이다. 애초 회화를 전공했던 작가는 그릴 대상을 찾다가 아예 조형 자체를 파고들었다.
하지만 작품을 처음 접한 관람객은 잠시 어리둥절할 따름이다. 도무지 내용을 알 수 없는 기하학적 도형들이 제각기 자태를 뽐내기 때문이다.
예컨대 검정색 가구 너머로 같은 색깔의 작은 계단이 자리하고 그 뒤에는 다시 책장과 계단을 아우르는 기하학적 회화가 2점 내걸리는 식이다.
작가는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모든 것을 회화와 조각, 설치, 영상 등 매체 구분 없이 펼쳐놨을 뿐 무언가 특별히 의도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1990년대 후반 조짐을 보인 독특한 작업 방식은 원형 프레임을 활용해 전시장 벽을 뚫고 안과 밖을 연결하는 실험으로 빛을 봤다. 이어 2000년 타일로 정원 풍경을 꾸미고, 알루미늄 패널로 서랍모양의 가구를 만들었다. 그렇게 평면과 입체 사이를 유희하고 건축과 미술의 벽을 허무는 다양한 파편을 통해 작품을 증식해 왔다.
그런데 전시가 의외로 차분하다. 흑백영화처럼 무채색 공간을 연출한 덕분이다. 작가는 “돌이켜 보면 늘 무언가 과거를 돌이켜 보고 있었던 것 같다”며 “과거는 이미 주어진 것이고 미래는 알 수 없는 불확실한 무엇”이라고 표현했다.
그래서 작가는 과거지향적인 사람이다. 전시를 망라해 끊임없이 과거에 대한 의식과 시선을 자제하지 못하는 이유다. “무언가에 한번 꽂히면 반복을 거듭한다”는 고백은 허언이 아니었다.
다만 표현만큼은 최첨단을 걷는다. 2층 전시장을 송두리째 차지한 6편의 플래시 애니메이션 ‘6성 리체르카레’는 과거 10년간 만들어온 ‘더 센티멘털’ 시리즈를 유기적으로 재조합한 것이다. 컴퓨터 포토샵을 이용한 영상작품들은 군더더기 없이 깔끔하다. 픽셀들의 결합과 축적으로 이미지를 표현했다.
테트리스처럼 다양한 도형이 아래로 떨어지며 새로운 모양을 만들거나 벽돌 깨기처럼 공모양의 도형이 화면을 제멋대로 튕기고 돌아다닌다. 각각의 애니메이션들은 웃음·기타·피아노 등 제각각 소리를 뱉어내는데, 언뜻 불협화음처럼 들리지만 각각의 자리를 지키며 묘한 곡조를 형성한다. “전시를 구성하는 개별 요소가 묶여 위계 없이 재생, 복제, 증식되면서 하나의 역동적인 작품으로 재현된다”는 작가의 생각을 담아냈다.
“영상 작품들은 제가 직접 다 만든 것이에요. 컴퓨터 그림판에서 색깔을 클릭하면서 놀다가 이거 같다는 생각이 들었고, 그렇게 형태를 만들어가는 방식이 내가 살아가는 법과 비슷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도무지 알 수 없는 점과 선과 면처럼 작가는 그렇게 느리지만 조화로운 시간의 흐름을 풀어놓고 있었다.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2014-07-15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