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지훈 경희사이버대 모바일융합학과 교수
문제는 샤오미가 설립된 지 불과 4년밖에 안 된 신생 기업이라는 점이다. 전혀 알려지지 않은 기업이 중국 시장에서 애플을 앞지른 것이다. 이는 세계 경제가 거대기업을 중심으로 돌아가던 과거의 패러다임에서 신경제 패러다임으로 변하고 있는 상황을 보여주는 사례다. 샤오미의 샤오(小)는 ‘작다’는 뜻이고, 미(米)는 ‘쌀’을 의미한다. 이름에서도 작음을 강조한 ‘좁쌀’과 같은 기업이 거대 기업들을 긴장시키고 있는 것이다.
거대 기업들은 1970년대에 수직·수평 계열화를 이룬 뒤 크게 성장하기 시작했다. 1990년대에 들어 본격적인 세계화에 나서고, 세력은 영역을 넓히며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그런데 최근 들어 이들이 지배하던 시장 체제에 본격적인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신생 기업들이 속속 창업하고 성공을 거두고 있으며, 변신을 하지 못한 기업은 하나둘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 다만, 이런 양상은 미국을 중심으로 한 서구 사회에서는 많이 보였지만 세계적 양상으로 나타나지는 않았다. 중국이나 인도, 브라질 등에서는 미국이나 우리나라가 겪은 것처럼 새로운 산업이 소개된 뒤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지 않았고, 또한 많은 양의 자원을 필요로 하면서 규모가 큰 이점이 되는 산업을 중심으로 거대한 기업들이 등장했다. 그런데 이들 신흥 국가에도 새로운 글로벌 기업의 재편이 나타나고 있음을 샤오미가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미국에서는 이미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가 시작됐는데, 이들은 전통적인 거대 기업의 경제 법칙에 익숙해 있는 세대다. 그에 비해 지금의 젊은 세대들은 강한 규율이나 강압적인 명령에 예속되지 않는다. 또한 수직적인 기업 구조와 기업의 비밀, 그리고 상하의 위계질서에 기반을 둔 거대 기업과는 본질적으로 잘 어울리지 않는다. 현재의 젊은 세대는 규칙이나 명령에 얽매이기보다 자체적인 네트워크를 통해 발전해 나가고, 창의성과 개성이 강조되는 환경을 갖춘 기업들을 선호하고 있다. 이러한 기업에 인재들이 몰리면서 조직에 새로운 변화를 이끌어 내고 있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큰 것을 너무 좋아한다. 대량 생산과 규모의 경제가 적용될 때에는 맞다, 하지만, 기업의 규모가 커질수록 내부 알력은 심해지고 부서 이기주의와 같은 고립화 현상도 많이 나타난다. 움직임도 지극히 느리다. 환경의 변화가 빠른 요즘에는 작은 기업이 개발한 지식집약적인 제품이나 서비스, 솔루션 등이 전 세계 시장으로 퍼져 나가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기업의 성공 신화도 끊임없이 소개되고 있다.
미국 실리콘밸리를 대표한 신흥 기업이던 구글이나 아마존과 같은 회사들은 이미 세상을 바꿔가는 글로벌 기업이 돼 있다. 이런 기업들이 탄생하기 위해서는 작지만 강한 조직, 그리고 기술 위주의 새로운 회사가 자라날 수 있는 토양과 생태계가 필요하다. 시대의 변화는 이미 작은 것을 선택하고 있다. 느려 터진 공룡보다는 약삭빠른 쥐가 되는 것이 미래의 환경에 적응하는 지름길이며, 과감한 혁신과 빠른 실행력이 경쟁력을 갖게 되는 것이 미래의 글로벌 신경제다.
2014-07-07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