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교육 실천 어디까지 왔나

스마트 교육 실천 어디까지 왔나

입력 2014-05-09 00:00
수정 2014-05-09 09:4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정부 스마트 교육 ‘주춤’ 지역 쌍방향 소통 ‘속도’

2011년 계획대로라면 올해 학생들은 사회, 과학, 영어 수업에서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해 공부해야 했다. 클라우드 기반이 조성된 교실에서 교사가 전자칠판에 쓰면 이 내용이 그대로 학생들의 태블릿PC나 디지털 교과서 콘텐츠에 동시에 기록돼야 했다. 학교에서 배운 내용은 집에서 언제든 다시 꺼내 볼 수 있고, 교과서 내용 중 이해가 안 되는 부분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자료를 통해 심화 학습을 할 수 있어야 했다. 이명박 대통령 시절 교육과학기술부는 이 같은 내용의 ‘스마트 교육 본격 도입을 위한 실행계획’을 발표했다. 2015년까지 2조 2280억원을 투입하는 계획이었다.

계획은 박근혜 정부 들어 축소됐다. 지난해 교육부는 중 1과 초등 3~4학년 사회, 과학에서 디지털 교과서를 시범 적용하겠다고 계획을 수정했다. 수혜 대상이 줄고, 학생 1인당 1개 단말기를 보급하려던 계획도 공동 활용 교실 등의 형태로 위축됐다. 교육부는 7월쯤 이번 정부의 스마트 교육 시행계획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중앙정부 차원에서 스마트 교육으로의 이행이 더딘 반면, 지역 교육청과 민간 분야에서는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쌍방향 소통형 교육이 성과를 내고 있다. 예컨대 세종시교육청 산하 초등학교 26곳, 중학교 13곳, 고등학교 8곳은 스마트 기기 활용 수업을 할 수 있는 인프라가 구축됐다. 더욱이 미래 교육을 위한 교수법 연구도 활발해 최근 스마트 교육 수업 연구회 21개 팀이 구성됐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6일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교수, 학습 모델을 개발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스마트 교육이 ‘이색 수업’이 아닌 ‘일상’이 되려면 콘텐츠가 충실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서울시교육청도 오는 2016년 중학교급에서 미래 학교를 개교하기 위해 젊은 교사들로 구성된 태스크포스팀을 구축, 연구를 하고 있다.

기존 교과서 발행사 8곳이 주축이 돼 설립한 디지털교과서협회는 6개 출판사의 교과서용 멀티미디어 자료를 제공하는 ‘온티처’를 출범시키는 등 가시적 성과를 내고 있다. 협회 관계자는 “창의 인재에 대한 요구가 늘어날수록 스마트 교육은 거스를 수 없는 대세”라며 “스마트 기기 보급에 치중한 정부의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교육 소프트웨어와 교수법 개발에 주력하는 쪽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홍희경 기자 saloo@seoul.co.kr

2014-05-09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