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 바이럴마케팅①] 상위노출 전쟁, 정작 콘텐츠가 ‘관건’

[병원 바이럴마케팅①] 상위노출 전쟁, 정작 콘텐츠가 ‘관건’

입력 2014-03-03 00:00
수정 2014-03-03 17:0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내 온라인 바이럴마케팅은 네이버 등 검색 포털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 그 중에서도 병·의원/한의원은 맛집과 더불어 속칭 작업글들이 넘쳐나는 대표적인 후기성 바이럴마케팅 분야다. 이마저도 상위노출이라는 목표 아래 방대한 양의 바이럴 포스팅을 쏟아내는 소수의 대형 의료기관들 간 쩐의 전쟁으로 좁혀지고 있는 상황이다. 달리 말하면, 이제 상위노출도 아무 병원이나 할 수 없는 일이 돼가고 있다는 말이다.

대형 포털의 상위노출 검색로직을 파악하기 위해 바이럴마케팅 기업들이 몸부림을 치는 것도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그런데 이 의뭉스러운 ‘기술’과 ‘쩐’이 점령한 포털 검색결과를 바라보는 의료정보 이용 소비자들의 시선은 과연 어떠할까?

오월의나무 정진서 실장은 포털 검색로직보다는 소비자들의 시선이 더 중요하다고 말했다. 마케팅이란 결국 ‘인식의 싸움’이기 때문에 포털 검색결과 화면에서 블로그, 카페, 지식인 등 각종 바이럴 채널에서 반복노출을 점하는 쪽이 소비자들의 이목을 끄는 것은 당연한 결과다. 따라서 상위노출 전략을 통한 반복노출 효과는 바이럴마케팅의 주요한 목표임에는 틀림없다.

그러나 문제는 소비자들의 검색행위가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는 데 있다고 정진서 실장은 분석했다. 반복노출이 어떤 내용들이 있는지 살피는 전반적 시야와 관련된 사안이라면, 소비자의 진짜 시선의 무게는 해당 콘텐츠의 진위나 신뢰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비교 검증 과정에 실린다는 관측이다.

정진서 실장은 잠재 고객환자의 최종 결정단계에서 위력을 발휘하는 콘텐츠가 무엇인지를 연구하는 온라인 의료정보 이용 행태 연구가 검색로직 연구보다 선행되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오히려 병원의 상위노출 경쟁이 심화될수록 고객환자의 콘텐츠 비교 검증 과정은 더욱 세밀해지기 때문에 결국 중요한 것은 바이럴 채널을 통해 유포되는 콘텐츠이고, 콘텐츠에 신뢰와 더불어 개연성과 차별성까지 더할 수 있는 기획의 중요성이 대두된다는 설명이다. 그렇다면, 병원, 의원, 한의원이 지향해야 할 바이럴 콘텐츠의 기획방향은 무엇일까?

# 신뢰를 줄 수 있는 바이럴 콘텐츠의 3가지 유형

가장 이상적인 콘텐츠는 의료인이 직접 생산하는 전문적 의학 콘텐츠일 것이다. 포털에서 마련된 지식인 등의 공론장에서 주고받는 질의응답 형태의 바이럴 콘텐츠도 있지만, 운영 블로그의 경우는 생생함까지 더해져서 상당한 신뢰를 안겨줄 수 있다. 그러나 바이럴 콘텐츠는 전문적 의학정보만으로 구성되지는 않는다. 오히려 바이럴 콘텐츠의 본질상 비전문가의 경험담이 더 의미 있을 수 있다. 물론 병원의 진료와 병행한 운영이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 점도 있다.

비전문가의 경험담 중 가장 기본이 되는 콘텐츠는 치료사례 또는 후기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의료법은 후기의 사용을 금지하고 있을 뿐 아니라 온라인상에서 로그인 절차를 거치는 한에서만 사용을 허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개수 채우기 식의 치료사례가 아닌, 좋은 사례를 얻기 위해서는 의료진과 병원 측의 각별한 노력이 필요하다.

좋은 치료사례나 후기를 얻기 위한 의료기관의 노력이 필요한 데서 볼 수 있듯이 환자와 병원의 커뮤니케이션, 좀 더 넓혀서 ‘원내 이야기’는 중요한 바이럴 콘텐츠의 원천이다. 치료법이나 장비, 도구 등이 스탠더드화(化)돼 있는 서양의학 의료기관의 경우, 원내 서비스의 질 또는 전문성을 갖춘 의료인의 캐릭터와 같은 면에서 얼마든지 바이럴의 본질적 요소를 발굴할 수 있다. 양질의 콘텐츠를 확보하기 어려운 의학정보나 사용상의 제약이 많은 후기와는 달리, 원내 이야기는 기획에 따라 크게 좌우될 수 있는 부분이다. 치료후기조차도 독립적인 단위 콘텐츠로 보기 보다는 원내 이야기의 연장 선상에서 병원의 색깔을 보다 더 드러낼 수 있는 기획적인 접근이 필요하지 않겠냐는 조언도 정진서 실장은 덧붙였다.

개인이 아닌 병원이 운영하기 때문에 이른바 작업 블로그 냄새가 나지 않겠냐는 반문에 대해서는 운영 주체의 문제보다는 차라리 기획의 부재 때문이라고 잘라 말한다. 오히려 기획이 배제된 후기성 콘텐츠의 일차원적인 사용은 눈살을 찌푸리게 만들 수 있다는 점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고 정진서 실장은 진단한다.

# 병원 바이럴 채널은 원내 이야기를 다뤄야 한다

위의 경우들을 현실적으로 조합해 보면, 블로그 등 병원의 바이럴 채널은 결국 원내 이야기를 다루어야 한다는 결론이 나온다. 여기서 원내 이야기란 공지사항 정도를 말하는 것이 아니다. 의료인을 포함한 해당 병원 또는 의원, 한의원의 진솔한 모습을 담은 전체상이다. 치료사례를 편집해 올리더라도 1번 치료사례, 2번 치료사례 식의 치료사례가 아니라 다양한 치료사례에 대한 의료인의 종합적 분석을 곁들어서 내는 것이 필요하지 않을까? 하다못해 병원을 주로 방문하는 내원 환자층에 대한 통계적 사실도 훌륭한 콘텐츠가 될 수 있으나 이는 의료진 또는 간호사들의 어림짐작 속에만 머물러 있는 안타까운 경우가 많다. 보통 소개환자는 많으나 신규환자가 적은 병원들의 하소연을 들을 때, 소개환자가 많다는 자체가 우리 병원만의 신용도를 높일 수 있는 마케팅 요소가 아니겠냐고 정진서 실장은 되묻는다. 자랑거리만을 말해서도 안 된다. 환자들이 호소하는 불편한 점이 있으면 그것을 적극적으로 개선해가는 모습도 블로그를 통해 병의원을 간접적으로 체험하는 소비자들에게는 상당한 어필이 될 수 있다고 말한다.

# 병원 전문 마케팅 기업의 존재 이유

병원 마케팅의 답은 원내에 있다. 그러나 자신이 무엇을 가졌는지, 그리고 그것을 어떻게 보여줘야 할지를 모르는 병원 또는 의원, 한의원들이 대부분이다. 정진서 실장은 바로 이 부분이야말로 병원 전문 마케팅 기업들이 목소리를 내야 할 지점이라고 요약한다. 다양한 병원의 홍보 또는 마케팅 대행이나 프로모션을 담당하며 얻게 되는 경험들은 홍보나 마케팅의 향방을 잡지 못하는 병·의원, 한의원들에게 어필할 수 있는 자산이다. 그러나 병원마케팅 기업조차도 스스로의 자산에 대한 재평가에 인색한 경우가 많다. 보통 병원마케팅 기업들은 큰 병원급 의료기관이나 대형 네트워크 의료기관 포트폴리오에만 집착하는 경우가 많고, 병·의원 또한 동종 업계 병원의 마케팅 경험이 있느냐만을 관건으로 여기는 경우가 많다.

병원과 의원 그리고 한의원과 같은 의료기관은 보통의 기업과 달리 매출과 직결될 수 있는 마케팅을 외주에 맡기는 독특한 관행이 있다. 그만큼 전문적인 분야라는 뜻이다. 따라서 병원의 특성을 이해하는 일은 포털의 검색 로직을 이해하는 일보다 중요한 일일 수밖에 없고, 병원 특성에 맞는 것으로 평가되는 바이럴마케팅에도 전문적 기획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정진서 실장은 오월의나무의 바이럴마케팅은 병원 바이럴 콘텐츠의 다양한 특성에 대한 이해 뿐 아니라 고객 환자가 수행하는 비교 검증 단계까지 고려한 콘텐츠 전략을 담고 있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고객환자의 정보 이용 패턴에 대한 연구가 PC를 넘어서 모바일로 확대되고 있다고 전하면서 모바일 역시 상위노출 검색로직 파악보다는 고객환자들이 모바일에서 선호하는 콘텐츠의 유형을 연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