숭실대 평화통일硏 설립 나서… 건대 통일인문학 석·박사 모집… 경희대 ‘북한의 이해’ 수업 개설
최근 두 차례에 걸친 남북 고위급 접촉에서 상호 비방·중상 중단과 이산가족 상봉을 확정하는 등 최근 6년여 동안 냉각됐던 남북 관계가 해빙될 조짐을 보이는 가운데 대학가에서도 ‘통일’과 ‘북한’에 대한 학문적 관심이 늘고 있다. 이명박 정부 당시 북한학과가 경쟁력이 없다는 이유로 내리막길을 걸었던 것과 비교하면 사뭇 다른 양상이다.숭실대는 연내 ‘평화통일연구소’(가칭)를 만들기 위해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화해, 통합을 중심으로 한 교육을 통해 통일 이후 시대에 적합한 리더를 기르는 것이 목적이다. 학부 과정에도 새 학기에 ‘통일’ ‘북한’ 관련 과목이 신설된다. ‘한반도 평화와 통일’이라는 제목으로 모든 학생이 졸업 전까지 수강해야 하는 교양 필수과목이다.
숭실대 관계자는 “정부가 통일과 관련한 언급을 지속적으로 하는 상황은 1897년 평양에 처음 설립된 우리 학교로선 아주 의미가 있는 일”이라면서 “가을학기에는 신설된 과목을 중심으로 북한 관련 수업을 더욱 늘려 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통일을 인문학 관점에서 연구하려는 시도도 눈에 띈다. 건국대는 국내 대학 중 처음으로 ‘통일인문학’ 과정을 대학원에 신설해 가을학기부터 석·박사과정 신입생을 모집한다. 일본, 중국 등지에서 온 유학생과 한국 학생 20여명이 대상이다. 문학, 역사, 철학에서 시작하는 통일인문학은 남북한의 사상적 차이, 식민지·분단으로 인한 트라우마(정신적 외상)를 문학으로 치유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세부 전공으로 ‘통일문화’와 ‘통합한국학’ 등이 있다. 김성민 건국대 통일인문학 연구단장은 “북한과 통일을 연구하는 학문의 필요성을 느끼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실질적인 남북 관계 연구에 대한 관심도 늘어날 것으로 본다”고 전망했다.
경희대도 전공과 무관하게 이수해야 하는 교양교육과정인 후마니타스칼리지에 ‘북한의 이해’라는 명칭의 과목을 신설한다. 성균관대도 대학원 과정에 ‘남북한 관계론 연구론’ 수업을 새롭게 개설하기로 했다.
대학들이 이처럼 ‘화해·통합의 강조’, ‘통일과 인문학의 결합’ 등 새로운 교육 방식을 시도하고 나선 것은 경쟁력이 없다는 이유로 폐지될 위기에 처했던 북한학과의 과거를 답습하지 않겠다는 의지로 읽힌다. 실제로 북한학과는 1994년 동국대를 시작으로 전국에 모두 5개가 만들어졌지만 현재는 동국대와 고려대만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2006년 관동대 북한학과가 정원의 절반도 채우지 못해 문을 닫았고 이후 선문대와 명지대는 각각 동북아학과로 개편되거나 정치외교학과로 통폐합됐다.
정영태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대학이 통일에 대한 필요성과 통합의 가치를 가르치는 것은 통일 기반 조성 측면에서 긍정적인 일”이라면서도 “교육 방식은 지나치게 정치적인 부분이나 이데올로기에 초점을 맞추기보다 미래 비전을 중심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범수 기자 bulse46@seoul.co.kr
2014-02-17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