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종서 농수산식품유통공사 식품수출이사
‘김치’(Kimchi) 고유명칭을 고수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익히 알려진 사례인 글로벌 기업 코카콜라의 중국어 표기 ‘可口可樂’(커커우커러)처럼 중국어는 표의문자의 특성상 외래어 표기 시 한자로 변경해 표기할 수밖에 없다. 유사한 경우로 키위도 중국에서 ‘??桃’(미허우타오)로 불렸으나, 뉴질랜드 키위는 차별화를 위해 영문발음 ‘Kiwi’를 반영한 ‘奇?果’(치이궈)로 명명한 이후 소비자들에게 미허우타오보다 고급스러운 이미지의 과일로 자리 잡은 사례가 있다.
김치는 단순한 식품 이상의, 우리 민족의 문화와 가치가 담겨 있는 자산이라는 점에서 새로운 이름의 부여 또한 심도 있는 검토를 거쳐 추진했다. 가장 중요하게 고려한 사항은 첫째 ‘김치’와 가장 가깝게 발음되면서 김치가 갖고 있는 고유의 특성을 연상시켜야 하고, 두 번째로 새로운 명칭을 사용하게 될 중국인에게 쉽게 기억되고 부르기 쉬운 이름을 만드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중국에서 외국어의 중국어 표기를 개발하는 네이밍 전문업체와 함께 중국 8대 지역 2400명의 소비자, 미디어 관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김치와 중국어 발음이 부합하는 명칭 4000여개를 조합한 뒤 중국 언어학자, 마케팅 전문가, 상표법 전문가 등 현지 전문가와 함께 수차례의 검증작업을 거쳐 최종적으로 김치의 중문 명칭 ‘신치’(辛奇)가 탄생하게 되었다. 의미 측면에서 신(辛)은 아주 매운맛보다는 약한 매운맛을 의미, 한국김치 특유의 맛을 잘 표현한다는 평가가 많다. 개발 직후 중화권 내 상표 등록이 진행되는데, 이는 중문 명칭이 김치의 중국어 표준단어가 아닌 품목 브랜드로서 향후 본격적인 중국 수출 시 고급시장을 공략하는 마케팅 방안으로 마련된 것임을 의미한다.
우리 김치의 제대로 된 중국식 이름 짓기는 이제 첫 단추를 끼웠다. 이름은 많은 사람들이 불러주고 알아줄 때 그 가치가 빛나는 것이다. ‘신치’가 정착하기까지는 앞으로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현재 국내외의 많은 관심과 조언들이 큰 힘이 될 것이며, 정부와 업계에도 각각의 역할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최근 김장문화의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등재 등 김치의 세계적 위상은 나날이 올라가고 있다. 이런 기세를 등에 업고 중국인들의 식탁에 우리 김치가 더 널리 전파되기를 기대해 본다.
2014-01-06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