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수사발표에도 끝나지 않는 여·야 ‘회의록 공방’
“노무현 전 대통령의 지시로 2007년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원본이 삭제됐다”는 지난 15일 검찰의 수사 결과 발표에도 여야의 사초(史草) 공방은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 여야가 각기 다른 관점의 해석을 내놓으면서 신경전은 오히려 가열된 양상이다.나도 말좀 합시다
노무현 정부 관계자들이 17일 오후 서울 마포구 신수동 노무현재단에서 검찰 수사 결과 발표를 반박하기 위한 기자회견을 하며 마이크를 전달하고 있다. 왼쪽부터 박성수 변호사, 조명균 전 청와대 안보정책비서관, 이병완 노무현재단 이사장.
이언탁 기자 utl@seoul.co.kr
이언탁 기자 utl@seoul.co.kr
새누리당은 회의록 폐기에 대한 책임을 따지는 데 집중했다. 윤상현 원내수석부대표는 17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간담회를 열고 “(노 전 대통령이) 굴욕적 정상회담을 한 것이 후세에 공개적으로 전해지는 게 두려워서 회의록을 삭제 폐기했고 의도적으로 국가기록원에 이관하지 않은 것”이라면서 “노무현 정부 인사들은 국민을 우롱하고 속인 것에 대해 석고대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친노 인사들은 회의록을 개인 소유물인 양 마음대로 지우고 빼돌렸으며, 범죄 행위를 은폐하기 위해 처음에는 국가기록원에 이관했다고 했는데, (이관하지 않았다는 사실이 밝혀지자) 이지원에 삭제 기능이 없다고 했다가 (노무현 정부가 삭제 기능을 추가했다는 사실이 밝혀지자) 단순 실수라며 거짓말을 짜맞춘 듯 반복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당시 청와대 비서실장이었던 문재인 민주당 의원을 향해서는 “지난해 대선 유세 때 회의록을 최종 감수했다고 한 문 의원은 국기문란 범죄 행위의 최고·최종 책임자로서 본인에게 어떤 정치적 책임을 부과할 것인지에 대해 분명히 말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민주당은 회의록에 노 전 대통령의 서해 북방한계선(NLL) 포기 발언이 없었다는 점에 초점을 맞췄다. 김한길 대표는 “새누리당이 말 못하는 고인에게 그가 하지도 않은 발언으로 누명을 씌워 부관참시한 죄는 역사와 국민이 심판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노무현 정부 인사들은 이날 긴급기자회견을 열고 검찰 수사 결과를 전면 반박했다. 회의록을 삭제한 혐의로 불구속 기소된 조명균 전 청와대 안보정책비서관은 “노 전 대통령으로부터 회의록을 삭제하라거나 국가기록원에 이관하지 말라는 지시를 받은 기억이 없다”면서 “지난 1월 참고인 조사를 받았을 때 (노 전 대통령의 지시로 회의록을 삭제했다는) 그런 취지의 진술을 어렴풋한 기억으로 한 것은 사실이지만 지난 7월 이후 잘못된 진술이라고 일관되게 밝혔음에도 검찰은 이 내용을 인용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그동안 언론의 접촉을 피해 온 이유에 대해 조 전 비서관은 “기억이 정확하지 않아 혼선을 주거나 정쟁에 휘말릴 수 있다고 생각했다”고 설명했다. 김경수 노무현재단 봉하사업본부장은 “검찰은 노 전 대통령이 어떤 이유에서 삭제 지시를 했는지도 밝혀내지 못했다”고 반박했고, 이병완 재단 이사장은 “집권 세력이 이미 대화록이 국가기록원에 미이관된 사실을 알고 거대한 음모 속에 수사를 진행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했다.
그러나 문 의원은 이날 별다른 입장을 내놓지 않고 침묵했다. 그는 수사 결과가 발표됐던 지난 15일 “검찰 발표가 회의록이 있다는 것을 인정해 준 것”이라고만 짧게 말했다. 공식 입장 발표 창구로 활용해 오던 트위터도 지난달 23일 이후 한 달 가까이 ‘임시휴업’ 상태다. 새누리당 핵심 관계자는 “문 의원이 법적 책임은 피했지만 도의적 책임은 피하기 어려울 것”이라면서 “문 의원이 검찰의 수사 결과를 조속히 인정해야 사초실종 논란에 마침표가 찍힐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문 의원이 어떤 입장을 내놓을지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이영준 기자 apple@seoul.co.kr
송수연 기자 songsy@seoul.co.kr
2013-11-18 8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