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재서 이화여대 중문과 교수
회재불우(懷才不遇)! 그렇다. 재능을 품었으나 때를 만나지 못해 불행한 삶을 보낸 경우는 동서양 모두에 있었으나, 특히 과거가 유일한 출세의 수단이었던 근대 이전 중국과 한국에서 지식계층의 보편적 콤플렉스였다. 몇 년에 한 번, 그것도 수십 명밖에 뽑지 않는 과거 시험에 합격하기란 하늘의 별 따기여서 대부분의 운이 나쁜 낙방거사는 회한에 찬 삶을 보내야 했으며 급제했더라도 임금이나 권력자의 눈에 들지 못해 평생을 하급 관리로 보낸 사람도 부지기수였다. 양반이 아니라서, 남성이 아니라서 아예 과거에 응시할 기회조차 갖지 못한 뛰어난 평민, 여성까지 포함한다면 회재불우 콤플렉스는 동아시아에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만큼이나 보편적이었다고 말할 수 있을 정도이다.
당나라 때에는 모든 문학 장르 중에서 시가 특히 번성하여 시의 황금시대라고 불리는데 훌륭한 시인 중에 낙방거사가 많은 것은 흥미로운 일이다. “시는 궁핍한 이후에야 좋아진다”(詩窮而後工)라는 말은 이래서 나왔다. 시성(詩聖)이라고 기림을 받는 두보(杜甫)는 과거에 급제하지 못하고 일생을 미관말직으로 곤궁하게 살았는데 그의 시 전반에 깔려 있는 처량한 정조는 분명 회재불우의 심정과 관련 있을 것이다. 낙방해서 불행하기 그지없는 삶 속에서 나온 그의 시가 후대에 시가문학의 정전(正典)이 되어 부귀영화의 지름길인 과거 시험의 교과서가 된 것은 아이러니 중의 아이러니다.
장안에 눈이 내리면 술병을 차고 종남산으로 매화를 찾으러 들어갔다는 고사로 유명한, 그래서 산수화의 한 주제가 되어버린 낭만파 시인의 거두 맹호연도 회재불우를 한탄한 곤궁한 선비였다. 낙방거사인 그가 당시의 재상에게 올린, 벼슬을 애원하는 시는 보기 민망할 정도다. 이들보다 대선배로서 동진(東晋)의 위대한 전원시인 도연명도 회재불우 콤플렉스를 비켜갈 수는 없었다. 이 시기에 과거제는 아직 시행되지 않았으나 군벌과 문벌이 관직을 독점하는 시대에 살았던 도연명은 처음에는 강렬한 정치 참여의 욕망을 지녔으나 현실적으로 좌절되자 자의 반, 타의 반으로 ‘귀거래사’(歸去來辭)를 읊었다고 보는 시각도 만만찮다. 한국에서 회재불우의 대표적 인물은 신라 말기의 천재 최치원이다. 중국에서 과거에 급제하고 국제적으로 문명을 날렸으나 귀국해서는 6두품 출신이라는 신분상의 한계 때문에 쇠망한 조국을 되살려 보려는 포부를 펼치지 못한 그의 통한은 “가을바람 쓸쓸하게 불어오는데, 세상에는 날 알아주는 이 드무네”(秋風惟苦吟, 世路少知音)라는 그의 시구에서 진하게 묻어난다.
바야흐로 인문학의 시대라고 해서 세간엔 무수한 명사 강좌가 개설되고 관련 서적의 출판이 봇물처럼 이어지고 있다. 스티브 잡스가 애플의 경영철학에 휴머니티와 인문학을 더할 것을 강조한 이후 기업을 중심으로 일어난 인문학 열풍이 사회 각계각층으로 확산하고 있다. 잡스의 탁견은 알아줘야 하고 인간의 얼굴을 한 경제, 경영을 위해서도 인문학의 도래는 분명 환영할 만하다. 다만 인문학의 봄은 왔으되 봄 같지 않게 여전히 추운 겨울인 곳은 정작 인문학의 본산인 대학이다. 문학, 역사, 철학을 전공하고 어렵사리 학위를 취득한 수많은 인문학 박사들이 생계 때문에 오늘도 이 대학, 저 대학으로 유리표박(流離漂泊)하는 이 현실, 이 아이러니를 어이해야 할까. 인문학 대학 강사들이야말로 이 시대 회재불우의 표본이 아닐 수 없다.
2013-11-11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