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리성 뒤 감춰진 허영이라는 함정

합리성 뒤 감춰진 허영이라는 함정

입력 2013-11-09 00:00
수정 2013-11-09 00:1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근대의 역습/오창섭 지음/홍시/308쪽/1만 3000원

1923년 12월 22일자 한 신문에 양화점(洋靴店) 광고가 실린다. ‘시대의 요구에 적합한 이상적 실용품은 청년양화점’이란 광고 문구가 큼지막하게 적혀 있다. ‘모던’한 청춘남녀가 되려면 이 양화점을 찾아야 한다는 주문이다. 재밌는 건 벌판을 질주하는 기차가 ‘양화’의 배경으로 그려져 있다는 것. 오늘날 ‘김태희’나 ‘원빈’처럼 당시 ‘시대의 요구’를 가장 극적으로 상징하는 도구가 바로 기차였던 거다.

이미지 확대
기차가 조선 땅에서 처음 달리기 시작한 건 1899년이었다. 그런데 기차가 이동수단으로만 작동한 건 아니다. 시공을 단축시켜 많은 이들이 근대적 체험을 할 수 있게 했다. 기차를 타고 근대도시 ‘경성’을 돌아본 이들에게 기차는 곧 근대로 통하는 문이었다. 도입된 지 채 30년도 못 돼 기차가 전근대적인 사고 방식에 갇혀 사는 민중들을 근대적인 인간으로 계도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부상한 거다. 목적지와 출발지 외엔 깡그리 무시하는 기차의 직진성 탓에 삶의 기억들이 아우성치는 굴곡진 공간들이 묻혀진 건 아무 문제가 되지 않았다.

‘근대의 역습’은 이처럼 익숙한 역사보다는 신문 사회면에 스치듯 등장한 사람, 사건, 사실에 주목해 우리 근대 풍경 이면의 진실을 읽어 낸다. 책이 보는 근대는 현재의 자화상이다. 부제 ‘우리를 디자인한 근대의 장치들’이 책의 성격을 정확히 설명하는 스포일러다. 저자는 근대적 합리성 뒤에 허영과 신화가 감춰져 있다고 본다. 그게 오늘의 우리를 디자인한 장치라는 거다. 그걸 꿰뚫어 볼 수 있어야 오늘날 우리가 당연한 것처럼 받아들이고 있는 감각과 감수성의 함정을 넘어설 수 있다는 게 책의 요체다. 저자가 보건대 ‘우리를 디자인한 근대의 장치들’은 여전히 우리의 삶 속에서 작동하고 있다. 단지 ‘우리를 디자인하는 오늘의 장치들’로 모습만 바꿨을 뿐이다.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2013-11-09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