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극 ‘선녀씨 이야기’
그녀에게는 젊은 시절 예쁜 이름이 있었다. 하지만 결혼을 하고 아이를 낳으면서 이름을 잃어버린 채 누군가의 아내, 누군가의 엄마로 불렸다. 아름다운 로맨스도 꿈꿨고 하고 싶은 일도 있었지만 그녀에게 요구된 건 아내이자 엄마로서의 희생적 삶이었다. 연극 ‘선녀씨 이야기’는 아내도 엄마도 아닌 한 여인의 삶을 들여다본다. 제목에 ‘어머니’가 아닌 ‘선녀’라는 이름을 앞세운 건 그래서다.![PS엔터테인먼트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13/08/22/SSI_20130822175424.jpg)
![PS엔터테인먼트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13/08/22/SSI_20130822175424.jpg)
PS엔터테인먼트 제공
다분히 진부한 현실적 소재에 기댄 작품은 그러나 1인 2역의 판타지 형식을 빌려 요령있게 차별화됐다. 둘째 아들 종우가 집을 나간 지 15년 만에 돌아와 돌아가신 선녀씨의 영정을 마주하는데, 선녀씨가 갑자기 영정 밖으로 나와 종우와 마주앉으면서 이야기는 판타지로 빠져든다. 무대 한편의 장례식장에서 선녀씨가 종우에게 자신의 삶을 도란도란 이야기해주면, 다른 한편에서는 선녀씨의 삶이 펼쳐지는 식이다. 젊은 선녀씨의 이야기에서는 나이 든 선녀씨가, 나이 든 선녀씨의 이야기에서는 젊은 선녀씨가 번갈아 화자로 등장한다. 과거와 현재가 부단히 오가며 새초롬한 젊은 시절 선녀씨부터 침대에 누워 임종을 맞는 나이 든 선녀씨까지의 일대기가 펼쳐진다.
볼거리 많은 무대가 작품의 대중성 확보에 한몫한다. 장면 전환이 빠르고 장례식장, 음식점, 집, 벚꽃길 등 장소를 상징하는 무대 장치와 소품이 다양하다. 선녀씨의 삶 속 다채로운 이야기들이 물 흐르듯 펼쳐지면서 관객들은 지루할 틈 없이 무대에 몰입할 수 있다.
하지만 이야기와 볼거리의 풍성함은 관객의 성향에 따라 단점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장면마다 웃음 또는 눈물을 선사하지만 다음 장면으로 빠르게 넘어가다 보니 그 감정을 충분히 느낄 여유가 부족하다. 선녀씨의 두 딸과 큰아들의 이야기가 나열식으로 전개되는 대목에서는 집중력을 잃을 수도 있다. 지나치게 디테일한 이야기 방식에 지루함을 느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웃음을 끌어내기 위한 장치인 우스꽝스러운 춤과 몸개그도 때론 부담스럽다. 경남 거제에서 활동하는 극단 예도의 작품으로, 지난해 전국연극제 대상 등 5관왕을 수상한 뒤 서울 대학로로 진출했다. 배우 임호와 이재은, 고수희가 합류하면서 화제를 낳았다. 9월 15일까지 서울 대학로 아트센터K. 4만~5만원. 1599-0701.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2013-08-23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