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전협정 60년] 커밍스, 남침유도설 30년만에 부인

[정전협정 60년] 커밍스, 남침유도설 30년만에 부인

입력 2013-06-24 00:00
업데이트 2013-06-24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신문 단독 인터뷰] “한국전쟁은 北의 남침…美 의도적으로 유도 안했다”

브루스 커밍스 미국 시카고대학 역사학 석좌교수
브루스 커밍스 미국 시카고대학 역사학 석좌교수
브루스 커밍스 미국 시카고대학 석좌교수(역사학)는 1950년 6월 25일 일어난 한국전쟁은 남침이며 미국이 의도적으로 전쟁을 유도하지도 않았다고 지난 20일(현지시간) 밝혔다.

커밍스 교수는 한국전 정전 60주년을 맞아 미 버지니아주 샬러츠빌에서 이날 서울신문과 가진 단독 인터뷰를 통해 “나는 남침 유도설을 말한 적이 없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커밍스 교수는 1981년과 1990년에 각각 펴낸 저서 ‘한국전쟁의 기원’ 1, 2권을 통해 한국전쟁이 미국의 남침 유도에 의해 일어났다는 수정주의 사관을 펼친 것으로 알려졌고, 이에 따라 반공주의 시각에 치우쳐 있던 기존 한국전쟁 연구에 큰 충격파와 함께 일대 지각변동을 일으킨 바 있다. 그러나 1990년대부터 공개된 옛 소련의 기밀문서를 통해 북한에 의한 선제적 남침설이 부정할 수 없는 사실로 자리 잡으면서 남침 유도설도 크게 위축돼 왔다. 결국 커밍스 교수는 이날 인터뷰를 통해 그가 주장한 것으로 알려진 남침 유도설을 공식 부인한 셈이다.

돌아온 6·25 참전 노병
돌아온 6·25 참전 노병 6·25 전쟁 정전 60주년을 맞아 국가보훈처 초청으로 방한한 참전 20개국 대표와 참전용사, 가족들이 23일 서울 잠실 롯데호텔에서 열린 재향군인회 환영 오찬에서 거수경례를 하며 미소 짓고 있다.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커밍스 교수는 인터뷰에서 “나는 수정주의자도 아니고 미국과 남한이 북한을 침공했다고 말한 적도 없다”면서 “전두환 정권이 내가 하지도 않은 말을 1985년부터 그렇게 (조작)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딘 애치슨 당시 미 국무장관이 ‘애치슨 라인’에서 남한을 배제하는 등 모호한 전략을 펴는 바람에 김일성이 어리석게도 전쟁을 일으키고 말았다”면서 “애치슨 장관이 전쟁을 유도하기 위해 음모를 꾸민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다만 “내가 1990년에 쓴 책은 1950년 6월에 전쟁이 시작됐다는 기존의 관념을 허물려는 시도였다”면서 “한국전쟁은 1945년 미국이 한반도 분단을 일방적으로 결정한 이후 일어난 일련의 사태와 일제강점기에 불거진 한반도 내부 모순에 뿌리를 둔 만큼 다각도로 원인을 진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커밍스 교수는 “1949년 여름과 가을에 걸쳐 38선 부근에서 남한이 많은 도발을 했고 그해 8월 옹진, 개성, 철원 등지에서 남북 간 군사적 충돌이 격화됐다”며 남한의 군사적 자극이 한국전쟁을 촉발시킨 원인 중 하나라는 시각을 보이면서 “한국전쟁의 발발에는 미국과 남한도 큰 책임이 있다”고 주장했다.

샬러츠빌(미 버지니아주) 김상연 특파원

carlos@seoul.co.kr

2013-06-24 1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