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주영 대하소설 ‘객주’ 완결편 <36>

김주영 대하소설 ‘객주’ 완결편 <36>

입력 2013-05-20 00:00
수정 2013-05-20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글 김주영 그림 최석운

그러던 중에 행렬은 막 한 굽이 솔숲길을 돌아, 메마른 갈대와 억새가 흔천으로 깔린 여울가 늪지대가 저 아래로 바라보이는 개활지로 나섰다. 그곳에 이르자 신부가 두리번거리는 꼴이 아마도 소피를 볼 수 있는 후미진 장소를 찾는 것 같았다. 바라보는 총중이 조마조마하던 중에 이윽고 맞춤한 장소를 찾아내어 뒤집어썼던 쓰개치마를 벗어 길섶에 내려놓고, 솔숲 속으로 얄기죽얄기죽 걸음을 옮겨놓았다. 그런데 참으로 희한한 일이 솔밭에서 벌어지고 말았다. 소나무 등걸 아래로 들어간 각시가 여러 총중이 빤히 바라보고 있는 가운데, 내외를 두는 법도 없이 지체하지 않고 치마를 썩 걷어올렸다. 그러고는 오목주발 같은 젖통을 수습하는 일변 조금도 주저함이 없이 고쟁이까지 벗어 장딴지 아래로 내렸다. 뿐만 아니었다. 응당 길에 있는 일행들과는 마주보고 숨어 앉아야 할 것인데도 어찌된 셈인지 엉덩이를 일행들이 바라보는 쪽으로 과단성 있게 돌리고 앉아 소피는 보는 것이었다. 박속같이 희디흰 엉덩이가 훤하게 바라보이도록 비위짱 좋게 고쟁이를 까내리자, 지척에서 바라보는 사람들의 입에서 자신들도 모르게 침 삼키는 소리가 낭자하였다. 산골에서 살고 있는 본데없는 계집사람이라 해서 반죽이 없으란 법은 없겠으나, 해죽해죽 웃음을 흘리는 계집의 교태가 닳고 닳은 기방의 수청 기생의 미술을 뺨칠 만하였다. 그러나 애초에 신행길 간다는 사람들이 곁꾼이나 길봇짐 하나 없이 단출한 것을 수상하게 여겼어야 했는데, 호젓한 길목에서 마주친 미색에 빠져 미처 눈치채지 못한 것이었다.

궐녀가 등 돌리고 앉아 보란 듯이 엉덩이를 내보이며 소피를 보고 있다는 것을 목격한 일행 중 한 사람이 드디어 참지 못하고 지게를 벗어던지고 솔밭 속을 살금살금 기어들어갔다. 솔밭 속으로 기어들어갔던 일행이 얼굴이 벌개져서 길가로 나와 손짓으로 다른 일행을 불렀다. 무슨 뜻인지 알아챈 일행들이 서둘러 지게를 벗어던지고 궐자를 뒤따라 솔숲에 포복으로 기어들었다. 그 수효가 여섯이었으니, 일행 중의 반이나 되었다. 얼마나 흘렀을까. 바라보고 있기가 진력날 즈음에 이윽고 신부가 고쟁이와 치마를 수습하였다. 나이가 불과해서 이팔이라 하나 육덕을 보아하니 사내의 맛을 늘상 보아온 것처럼 흐벅지고 풍만하였다. 이런 산속에서 그만한 눈요기는 평생 처음이었다. 모두 양기가 명치끝까지 차올라 눈자위가 벌게져서 솔밭에서 기어나오는데, 아니니 다를까 그런 난리가 없었다. 전혀 예상할 수 없었던 작변이 바로 눈앞에서 벌어지고 있었다. 벗어둔 지게에 묶여 있던 복물짐들이 온데간데없어지고, 뒤에 남아 있던 조기출을 비롯한 대여섯의 일행들도 벌써 화적들에게 뒷결박이 되어 땅바닥에 꿇어앉아 있었다.

꿇어앉힌 원상들에게서 물미장을 빼앗고 있는 산적들의 수효만 얼른 헤아려도 여섯이었다. 허우대는 한결같이 물고를 뽑은 듯 훤칠하고 손에는 칼 아니면 화승총까지 들고 있었다. 굳이 미색을 동원하여 양동을 쓰지 않아도 조기출 일행쯤은 단박에 난장 박살시킬 수 있는 결기와 병기를 갖춘 셈이었다. 개중에 면상이 곱상하게 생긴 놈이 방금 솔숲에서 기어나온 차인꾼을 손짓으로 불러 세웠다. 자신의 강단만 믿고 대중없이 덧들이던 일행 한 사람이 벌써 궐자 앞에서 피를 낭자하게 흘린 채로 쓰러져 있었다. 움직임이 전혀 없고 신음조차 들리지 않는 것으로 보아 절명한 것이 틀림없었다. 목덜미에 선명하게 남아 있는 색흔(索痕)으로 보아 칼을 쓰지 않고 손으로 명줄을 끊었으니, 이들의 잔인함에 등골이 싸늘하게 식어왔다. 몸은 저절로 사시나무 떨듯 하였다. 하늘이 파란색이 아니라, 노란색이란 것을 그때서야 깨달았다.

사태가 그러했으므로 손짓을 따라 다가가는 차인꾼의 안색은 새파랗게 질려 그대로 사색이었다. 아니나 다를까 옹구바지 사이로 싼 오줌이 줄줄 흘러내리고 있었다. 계집을 뒤따라 농탕을 쳤던 일행이 미인계를 쓰고 있었다는 사실을 꿈엔들 깨달았을까. 잠깐 한눈을 파는 사이에 벌어진 작변을 일행은 손 한번 쓸 겨를도 없이 얼혼이 빠진 채로 우두망찰하였다. 적당들이 일행들에게 미인계를 쓴 것은 부상 일행들의 세력을 둘로 흩어지게 만들어 복물을 털기에 손쉽도록 양동을 쓴 것인데, 그 또한 눈치채지 못한 불찰이 컸다. 그러나 이제 와서 깨달았다 한들 무슨 소용인가.



2013-05-20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