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도 나만의 공간 줄이면 소통 넘치는 행복한 공간
‘협동주거’ ‘협동주택’ ‘공유집합 주택’으로 불리는 코하우징(Co-Housing). 스웨덴, 덴마크를 비롯한 북유럽 국가들과, 가까운 이웃나라 일본에선 흔한 공동체 주거단지다.서울 성산동의 코하우징 ‘소행주’ 마을살이 이야기를 담은 ‘우리는 다른 집에 산다’의 저자 박종숙씨. 집을 재산증식과 나만의 점유물이 아닌, 진정한 삶의 가치를 담는 열린 공간으로 볼 때 주택문제 해결이 앞당겨질 수 있다고 말한다.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우리에게도 낯설지만은 않지만, 실제 주민들이 공동체를 이뤄 사는 코하우징 형태는 찾아보기 어렵다. 그런 가운데 서울 마포구 성산동 성미산마을의 ‘소행주 1·2호’는 국내 유일한 코하우징 주택으로 주목받는 곳. ‘우리는 다른 집에 산다’(현암사 펴냄)는 그 독특한 협동주택의 이모저모를 보여줘 흥미롭다. 저자 박종숙(40)씨는 소행주 코하우징을 생겨나게 한 ‘소행주’ 프로젝트를 발의해 실제 그곳에 살고 있는 주민이다.
“건설회사들이 공급하는 아파트며 연립주택 같은 공동주택은 하나같이 똑같은 구조를 갖고 있어요. 신발에 발을 맞춰 신듯 규격화된 공간에서 어쩔 수 없이 더부살이 식으로 몸담아 산다는 게 답답한 노릇 아닙니까” ‘소통이 있어서 행복한 주택’의 줄임말인 소행주. 입주자들이 주거공간을 직접 설계한 집에서 알콩달콩 어울려 사는 ‘행복한 더불어 살기’의 실체인 셈이다. 지난 2011년 9가구가 함께 머리를 맞대 처음 소행주 1호를 탄생시킨 데 이어 지난해 인근에 8가구와 독립세대 5명이 모인 소행주 2호를 일궜다. 현재 건설 중인 소행주 3호는 오는 9월, 8가구가 입주할 예정이라고 한다.
“집이란 사는 사람들의 삶의 양식과 희망이 담긴 공간이라고 봐요. 비슷한 수준과 삶의 형태를 가진 사람들끼리 열린 마음으로 어울려 산다면 가장 좋은 주거가 되지 않을까요.” 그 말마따나 소행주는 불통과 고립이 아닌 소통과 어울림의 주거형태와 삶의 패턴을 지향한다. 입주자들이 함께 어울릴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룸을 비롯해 함께하는 공간이 곳곳에 들어있다.
“나만의 공간을 조금 줄여 함께 공유하는 공간을 늘리자는 것이지요. 공간을 공동으로 사용하면서 자연스레 소통과 이해의 폭이 넓어지게 되는 것 같아요. 이젠 소문이 나면서 많은 이들이 소행주에 관심을 갖고 찾아들어 흐뭇합니다.” 따져보면 이 소행주 프로젝트는 박씨의 개인적인 고통에서 비롯됐다. 대학을 졸업한 뒤 시민환경단체에 몸담아 활동하면서 아이 셋을 키우는 일이 여간 힘이 드는 게 아니었다. 엄마와 아내에 집중된 가사, 육아의 벅찬 부담이다. “도시에서 마음 편한 마을살이를 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았다고나 할까요” 다행히 건축 시공사 대표와 건축 전문가를 만나 의기투합해 시작한 게 소행주 프로젝트다. “가사·육아부담을 줄이려는 방법에서 시작한 측면이 있지만 살다 보니 아이들과 남편들도 집안일은 물론 공동살이에 아주 만족해하는 것 같아요.”
천편일률적인 공동주택과 달리 제 맘에 맞는 집을 지어 이웃과 어울려 사는 공동주택. 소통과 협동이 있어 행복한 주거라지만 역시 문제는 비용이다. “시공 때부터 공유 공간을 늘려 개인 부담을 어느 정도 줄일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 부지 선택과 건설비용은 신경이 쓰이지 않을 수 없지요.” 그래서 스웨덴의 협동조합주택 HSB는 좋은 본보기가 될 수 있다고 한다. “스웨덴 전체 주택의 20%를 HSB가 지어 분양, 임대한다고 해요. 민간인이 자발적으로 주택문제를 해결하려는 방편입니다. 정부가 토지를 무상임대하거나 세금을 감면해주는 지원책이 돋보입니다. 우리 실정에선 요원한 모델이긴 하지만….”
소행주 같은 프로젝트가 확산했으면 좋겠다는 박씨. 그 소통과 협력의 공동체 주거 확산에는 집을 바라보는 인식의 전환이 우선 필요하다고 거듭 강조한다. “이제 집을 재산증식이나 남에게 보여주는 과시의 대상으로 여겨선 안 될 것 같아요. 진정 행복한 삶, 그것을 채워가는 열린 공간이란 인식이 자리 잡을 때 주택 문제도 한결 수월하게 해결할 수 있지 않을까요”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13-03-02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