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남영동 1985’ 이어 새달 다큐멘터리 ‘영화판’ 개봉 정지영 감독

중학생 시절 여배우들을 보러 극장을 드나들던 할리우드 키드였다. 재수 끝에 동국대 연극영화과에 들어갔지만 연극만 하는 분위기에 질려 고려대 불문과로 옮겼다. 데뷔작 ‘안개는 여자처럼 속삭인다’(1982)를 비롯해 멜로영화를 주로 찍던 그는 1987년 검열의 족쇄가 풀리면서 사회성 짙은 작품을 내놓기 시작했다. 금기시되던 빨치산을 다룬 ‘남부군’(1990), 베트남전의 참상을 고발한 ‘하얀 전쟁’(1992), 한국 영화의 정체성에 대한 고민을 담은 ‘할리우드 키드의 생애’(1994)로 감독상을 휩쓸었다. 정지영(66) 감독이다.

정지영 감독은 “올해 너무 달렸다. 딱 1년만 쉬어야겠다.”면서도 “관객들이 나를 거부하지 않는 한 영화를 계속 만들 것”이라고 다짐했다. <br>박성일기자 sungil@sportsseoul.com
하지만 ‘블랙잭’(1997)과 ‘까’(1998) 이후 관객과 만나지 못했다. 혁명가 김산의 일대기를 그린 님 웨일스의 소설 ‘아리랑’을 영화화하는 데 8년을 투자했지만 좌초했다. 이후 두 작품이 더 엎어졌다. 그가 주춤한 새 강제규, 박찬욱, 봉준호, 김지운 등 젊은 감독들이 충무로의 주력으로 등장했다. 정 감독은 관객의 뇌리에서 잊혀졌다. 13년이 흘렀다. 재기가 쉽지 않을 거라고들 했다. 하지만 웬걸. 지난 1월 ‘부러진 화살’(343만명)로 대박을 터뜨리더니 열 달 만에 ‘남영동 1985’를 내놓았다. 고(故) 김근태 민주통합당 상임고문의 수기를 영화화한 이 작품은 개봉 1주일 만에 30만을 육박하는 관객을 모으고 있다.

또 한편이 새달 6일 개봉한다. 그가 기획·주연을 맡은 다큐멘터리 ‘영화판’(작은 감독 허철)이다. 정지영, 허철 감독은 2009년 하반기부터 이듬해 겨울까지 100여명을 인터뷰했다. 촬영 분량만 200시간에 이른다. 정 감독과 함께 배우 윤진서가 인터뷰어로 동참했다. 1960년대부터 한국 영화가 어떻게 성장했고 어떤 문제를 안고 있는지 현미경과 메스를 들이댔다. 의외로 재밌다. 딱딱한 다큐를 떠올리면 오산이다. 배우들의 밴(승합차)을 볼 때마다 속이 뒤틀린다는 감독이나 노출을 강요하며 윽박지르는 감독에 대한 여배우의 ‘뒷담화’ 등 재미가 쏠쏠하다. 두 편의 1000만 관객 영화 감독(최동훈, 추창민)이나 베니스영화제 황금사자상 감독(김기덕) 못지않게 2012년 한국 영화계가 기억해야 할 거장을 만나 못다 한 얘기를 들어봤다.

→2009년 봄에 ‘영화판’을 기획했다던데.

-미국 뉴욕대에서 한국 영화 교재로 쓴다는 다큐를 봤다. 조악했다. 허 감독과 함께 우리가 한번 만들어보면 어떨까 하고 얘기했다. 미국에서 활동한 허 감독과 충무로에 몸담았고 다시 영화를 해보려고 하는데 잘 안 되고 있던 정지영, 내일모레면 서른이고 후배들한테 밀려 애매한 위치에 놓인 배우 윤진서가 함께 ‘도대체 한국 영화가 뭔데’란 공통분모로 뭉치면 재밌겠다 싶었다.

→대기업 수직계열화 등 현안에 대한 비판은 생각보단 약했다. CJ와 롯데 관계자의 인터뷰도 담긴 건 의외였는데.

-정지영의 시각이 아니라 객관적인 상황을 보려고 했다. 내 목소리를 담기보단 객관적인 인터뷰어가 되려 했다. 결정적으로 ‘영화판’ 촬영을 끝낼 무렵 ‘부러진 화살’을 시작했다. 다큐를 찍을 때는 이것저것 다 찍지만 어떤 작품이 되느냐는 편집에 달려 있다. 허 감독이 약았다. ‘부러진 화살’ 찍을 때 후다닥 편집을 끝냈다. 함께 하면 후배니까 밀릴 거라고 생각한 것 같다. 하하하.

→허 감독이 편집해서 (정 감독에게) 껄끄러운 인터뷰도 포함된 건가. 이창동, 임상수 감독의 말이 재밌더라. 영화에서 이 감독은 “극장에 뱀을 왜 풀어요?”라고 면박을 준다. 임 감독은 “정 감독님에 대한 존경심은 있지만 작품에 대해 존경심을 갖고 있느냐고 묻는다면 ‘퍽 노’(Fuck No).”라고 했다.

-나라도 넣었을 거다. 그래야, 재밌지. 임 감독 인터뷰는 (허 감독이) 술자리에서 진행했는데 술이 오르니까 더 심한 말도 했다고 하더라. 아예 한국 영화계를 난도질했다고 하더라. 하하하.

→1988년 UIP 직배 반대 투쟁 당시 ‘위험한 정사’ 상영 때 극장에 뱀을 푼 사건은 지금도 비난하는 이들이 있다. 후회는 없나.

-멍에다. 비난을 달게 받아야지. 그렇다고 창피하다고 생각하거나 후회하는 건 아니다. 정지영 개인의 선택이 아니고 투쟁을 함께 하던 분들의 선택이었다. 당시의 상황 논리가 있었다.

→영화계 밖 이슈인 국가보안법 폐지, 이라크 파병 반대에도 적극적이었다. 일부에선 ‘운동권 감독’ ‘좌파 감독’이라고 색안경을 끼고 보기도 한다. 부담스럽지는 않은가.

-‘감독이 무슨 정치적 발언을 해? 영화나 찍지.’란 생각은 극복돼야 한다. 정치는 정치인에게 맡겨 두라는 건 기득권층의 논리다. 대중까지 권력의 논리에 길든 것 같다. 미국 대선을 봐라. 배우, 감독, 제작자까지 명확하게 자신들의 정치적 입장을 드러낸다.

→노무현, 이명박 정부에서 영화계가 보혁, 신구 대결로 홍역을 앓았는데.

-한 번쯤 겪어야 할 통과의례였다. 1987년 민주항쟁 이전까지 영화계는 문화예술계의 다른 분야를 허겁지겁 뒤따르기에 바빴다. 그만큼 다양한 목소리도 묻혀 있었다. 우리 윗세대의 생존 전략이 정부와 각을 세우지 않는 것이라면 우리 세대의 생존 전략은 예컨대 스크린쿼터 축소 반대이고 직배 반대였다.

→한국 영화 관객 1억명이라고 축제 분위기다.

-샴페인을 터뜨릴 일만은 아니다. 시장에 할리우드 영화만 있으면 안 되는 것처럼 대기업이 투자, 배급한 영화만 넘쳐나도 곤란하다. 다양한 영화들이 설 자리를 잃게 한다면 그 영화의 국적이 한국이라도 옳지 않다. 대기업의 투자, 배급을 분리해 수직계열화를 해결해야 한다. 상생 공존을 해야지 CJ 혼자만 하려고 하면 큰일 난다. 업계에선 ‘이 XX, 헛소리하고 있네.’라고 할지도 모르겠다. 하하하.

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