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와 차 한 잔] ‘불국사에서 만난 예수’ 펴낸 최상한 경상대 교수

[저자와 차 한 잔] ‘불국사에서 만난 예수’ 펴낸 최상한 경상대 교수

입력 2012-11-03 00:00
수정 2012-11-03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신라시대 ‘돌십자가’ ‘성모마리아상’… 기독교 한반도 전래 역사 다시 써야

한국 개신교의 공식적인 시작은 1885년 서양 선교사 언더우드와 아펜젤러가 제물포를 통해 입국한 부활절 날로 돼 있다. 한국 천주교 또한 이승훈이 중국 베이징에서 세례를 받고 귀국한 1784년부터 시작된다는 게 통설이다. 하느님과 예수를 믿는 기독교가 생긴 지 1800년이 지난 뒤에야 한반도에 전래된 셈이다. 과연 그 통설은 변할 수 없는 것일까. 아이러니하게도 국내에선 그 같은 주장을 뒤집는 유물들이 적지 않게 발굴된 바 있다. 그 ‘전환의 흔적’들은 조선과 고려, 발해, 신라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불국사에서 만난 예수’(돌베개 펴냄)를 낸 경상대 행정학과 최상한(49) 교수는 바로 그 같은 ‘전환의 흔적’에 착안해 기독교의 전래 역사를 다시 쓰자고 주장한다.

이미지 확대
‘불국사에서 만난 예수’를 펴낸 경상대 최상한 교수. 이 땅에서 발굴된 유물과 여러 문헌을 볼 때 한반도에 기독교가 전래된 역사는 고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는 최 교수는 한국 기독교가 열린 마음으로 잃어버린 반쪽의 그리스도를 되살려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불국사에서 만난 예수’를 펴낸 경상대 최상한 교수. 이 땅에서 발굴된 유물과 여러 문헌을 볼 때 한반도에 기독교가 전래된 역사는 고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는 최 교수는 한국 기독교가 열린 마음으로 잃어버린 반쪽의 그리스도를 되살려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개신교와 천주교 신자가 전체 인구 29.2%

“통계청의 2005년 인구주택조사를 보면 개신교와 천주교 신자가 전체 인구의 29.2%나 됩니다. 1700년 역사를 가진다는 불교 신자는 22.8%에 불과합니다. 이 땅에 전래된 지 불과 200여년 남짓한 기독교가 그렇게 빨리 교세를 늘렸다는 데 의문을 갖지 않을 수 없지요.” 지금까지 알려진 개신교, 천주교 복음의 전래 시점보다 훨씬 이전에 한반도에 이미 그리스도가 들어와 신앙의 형태로 유지됐다는 게 최 교수의 지론이다. 실제로 그동안 발굴되고 공개된 유물들은 그의 주장이 빈말이 아님을 여실히 보여준다. 조선시대 실학파를 비롯한 지식인들이 중국의 그리스도교 신자들과 교유한 것을 비롯해 고려시대 그리스도교 신자인 원나라 관리들이 고려국 행정에 깊숙이 관여한 사실이 담긴 문헌과 신라기에 세워진 불국사 출토 ‘돌 십자가’며 ‘성모 마리아상’이 그것이다.

최 교수는 대학에서 영어영문학을 공부하고 국회의원 보좌관과 지방자치단체 직원으로 일하다 뒤늦게 미국에서 목회신학을 공부하고 돌아와 강단에 선 인물이다. 목회신학을 공부하던 중 이 땅의 기독교 복음 전래와 관련해 당연히 가질 만한 의문에 속시원한 해답을 내지 못하는 실정과 풍토가 너무 안타까웠다고 한다. “전문가는 아니지만 기왕에 밝혀진 우리 문화 속 기독교 흔적들을 꼼꼼히 들여다볼 때 그 의문이 풀릴 것 같아 작업을 시작했습니다.”

●실크로드 통해 中으로 들어간 경교 한반도 유입

그러면 그 많은 기독교 흔적들이 왜 통설을 뒤집는 근거로 작용할 수 없는 것일까. 최 교수는 결정적인 이유를 서양 기독교의 관점에 매몰된 우리 기독교계의 인식 탓으로 돌린다. 그리고 폭넓은 인식의 전환을 위해 중국에서 경교(景敎)로 통하는 동방 그리스도교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거듭 주장한다. 경교는 431년 비잔틴 교회 총주교였던 네스토리우스가 이단 판정을 받고 쫓겨나자 예수의 인간적 면모에 더 관심을 두었던 그의 입장을 따르는 이들이 시리아를 비롯해 동방 지역으로 퍼져 나가 굳힌 동방 기독교의 실체다. “실크로드를 통해 중국으로 들어간 경교가 한반도에 유입됐고 국내에서 발굴된 유물과 흔적들의 형태가 경교의 양식을 띠고 있음을 볼 때 동방 그리스도교가 한반도 저변에 널리 퍼졌음을 짐작할 수 있는 것이지요.”

●“기독교 보편적 신앙으로 전환하는 노력해야”

그의 말마따나 예수의 사랑과 구원이 한쪽에 치우치지 않는 보편적이고 열린 복음이었다고 할 때 서방 기독교의 교리와 신앙에 몰린 한국 기독교는 언제까지나 그 역사가 일천할 수밖에 없다. “어찌 보면 지금 한국 교회의 위기는 동방 그리스도교와 서방 기독교의 편 가르기에 편승해 동방의 기독교를 입에 올리기조차 꺼려하는 편협에서 비롯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 이제라도 한국 기독교가 닫힌 마음을 열어 보편적인 신앙으로 전환하려는 노력을 해야 합니다. 물론 기독교 전래 역사를 다시 쓰기 위해 역사 문화계의 통사적 연구도 시급하고요.” 그 반쪽의 역사를 되살릴 때 예수의 사랑과 구원도 온전히 빛을 낼 수 있다고 최 교수는 거듭 강조한다. “고대 한반도에 그렇게 저변까지 파고들었던 그리스도교가 이 땅의 유교, 불교 문화와 무리 없이 융합할 수 있었던 사실을 직시해야 합니다. 그 융합과 소통이 바로 전 세계적으로 유례없이 많은 종교가 평화롭게 공존하는 지금의 다종교 사회 한국을 만든 게 아닐까요.”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12-11-03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