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는 선수가 한다” vs “감독이 한다”
8만여명이 서울 시청광장에서 싸이의 노래 ‘강남 스타일’에 열광하며 말춤을 췄다. 야구장에서 목이 터져라 응원하는 관중이 700만명을 넘어섰다.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진심을 동(動)하게 만드는 리더에 대한 국민적 갈망이 높은 요즘 한국을 대표하는 2명의 프로야구 감독이 내놓은 책에 새삼 눈길이 간다. SK와이번스를 최고의 팀으로 만들고 최초의 독립구단 고양 원더스 감독을 맡고 있는 ‘야신’ 김성근(70) 감독과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에서 한국을 준우승으로 이끈 ‘국민 감독’ 김인식(66) 감독이 ‘감독이란 무엇인가’(새잎 펴냄)를 함께 펴냈다.‘엄한 아버지 리더십’을 강조하며 감독은 선수가 야구를 잘하든 못하든 공평하게 대해야 한다는 신조를 갖고 있는 김성근 감독. 반면에 어버이 ‘親’자처럼 나무 아래 서서 아이를 지켜보는 ‘어버이 리더십’을 강조하는 김인식 감독. 좋은 리더는 인내심과 유머를 갖추고 선수 스스로 깨달을 수 있게 시간을 줘야 한다고 믿는다. 상반된 듯 보이는 ‘야신’과 ‘국민 감독’의 리더십은 그러나 선수들에 대한 신뢰, 믿음을 공통분모로 한다. 여기에 경험을 중시하는 것도 닮았다. 지난 4일 경기 고양 국가대표 야구 훈련장과 서울 잠실의 일구회(프로야구인 모임) 사무실에서 두 감독을 각각 만났다.
‘국민 감독’ 김인식
●“신뢰 바탕으로 선수 스스로 하도록 만들어야”
김인식 감독은 “작년 겨울 일구회 쪽에서 ‘원로시니까 하실 말씀이 많을 것 아니냐’며 출판을 권해 수락했다.”면서 “700만 관중 돌파를 예상한 건 아닌데 우연히 맞아떨어졌다.”고 함께 책을 낸 배경을 설명했다.
700만 관중 시대에 대한 소회부터 물었다. 김성근 감독은 700만이라는 숫자에 도취되는 걸 경계했다. “700만은 숫자에 불과하다.”면서 “선수와 감독, 구단은 관객들에게 돈을 받을 만한 경기를 하고 있는지, 시설을 갖췄는지, 지속적인 성장 가능성이 있는지 연구하고 대비해야 한다.”는 고언이 이어졌다.
김인식 감독은 “700만 관중은 굉장한 것이다. 더 잘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고 평가에는 덜 인색했지만 “열기에 비해 (경기력이) 떨어진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고 아쉬움을 표했다.
‘야구는 감독이 한다.’는 김성근 감독과 ‘야구는 선수가 한다.’는 김인식 감독. 스타일이 다른 두 사람이 말하는 감독(리더)의 조건은 뭘까.
김인식 감독은 “선수가 스스로 하도록 만드는 감독이 최고다. 선수와 감독 간 믿음과 신뢰가 있어야 하고 그러려면 진정성과 인내가 필요하다. 될성부른 떡잎을 알아보는 눈도 중요하다.”고 리더의 조건을 제시했다.
‘독불장군’이라는 별명이 붙은 김성근 감독은 “리더의 가장 중요한 덕목은 아버지 심정”이라며 예의 ‘엄한 아버지 리더십’을 강조하며 “엄하다는 건 그만큼 애정이 있다는 얘기”라는 말도 잊지 않았다. 대선을 앞두고 좋은 리더는 어떤 사람이냐고 묻자 김성근 감독은 “자기를 희생할 줄 알고 국민과 나라를 위해 헌신적으로 일하는 것”, 김인식 감독은 “믿고 따를 수 있는 게 제일 중요하다.”고 말했다.
‘야신’ 김성근
●“경험 무시하는 사회라 진국의 맛 없어”
서로의 리더십을 평가해 달라고 하자 김성근 감독은 “김인식 감독은 모든 승부를 볼 때 깊은 곳에서 생각하고 신중하다. 선수들과 아기자기하게 잘 지낸다. 나는 못하는데.”라는 담백한 평이 돌아왔다. 김인식 감독은 “김성근 감독은 선수들하고 밥도 같이 안 먹고 이동도 따로 하다 보니 선수들이 ‘이 감독한테 진짜 잘못하면 안 되는구나’ 하는 생각을 갖고 있다. 반면 선수들과 자주 얘기하고 함께 이동하는 나에 대해선 선수들이 ‘저 감독은 그래도 기회는 주는구나’ 이렇게 느끼는 것 아닐까?”란다.
김성근 감독에게 왜 선수들과 같이 밥을 안 먹는지 물어보자 “지도자는 고립돼 있어야 한다. 선수들과는 선을 그어 놔야 하고 그 선은 진짜 어려울 때 작용한다.”고 한다. 소통도 중요하지만 자칫 말이 오해를 낳고 형식주의로 흐를 수 있단다.
김응룡 감독 등 노장 3인방이 현장에 복귀할 가능성에 대해서는 “구단들이 어떻게 생각하느냐의 문제”라면서 야구계 등 경험을 제대로 평가하지 않는 사회 분위기를 아쉬워했다.
김성근 감독은 “우리 사회는 경험을 무시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다 보니 진국의 맛이 없다.”면서 “어느 분야건 사람들의 능력은 90%가 같고 10%는 경험의 차이다. 90%를 살릴 수 있느냐는 10% 경험에 달려 있다. 세대교체는 자연스럽게 이뤄지는 것이 중요하다.”고 일침을 놓았다.
글 김균미 문화에디터·김민희기자 kmkim@seoul.co.kr
사진 이언탁·손형준기자 utl@seoul.co.kr
2012-10-06 1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