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 의과대학 연구실 실험장인 박사과정 대학원생에게 10차례나 성추행을 당한 A(23)씨는 “현장에서 바로 항의할 수 없었다.”고 했다. “불쾌감을 표시하고 싶어도 그 사람이 ‘갑’이어서 잘릴까 봐 무서웠다.”는 것이다. 경찰에 고소할 때<서울신문 7월 20일자 10면>도 앞으로 닥칠 자신의 처지를 먼저 떠올렸다. 이유인즉 대학원생은 자신보다 우월한 위치에 있기 때문이다. A씨는 “나의 장래나 대학원 진학 등 모든 것을 관할하는 사람인 탓에”라며 힘겹게 털어놓았다.
이른바 위계(位階)에 의한 성폭력이다. 한마디로 지위와 위력을 이용한 범죄다. 사회 곳곳에는 위계를 악용한 성범죄가 적잖다.
최근 미성년자에게 연예인이 되도록 도와주겠다며 꾀어 간음한 혐의를 받고 있는 방송인 고영욱도, 소속사 연습생들을 성폭행해 구속기소된 연예기획사 대표도, 모두 자신의 ‘힘’으로 여성들에게 깊은 상처를 안겨 준 사례들이다.
올해 초 한국여성노동자회가 발간한 ‘2011년 평등의 전화’ 보고서를 보면 상사에 의한 성희롱은 49.7%, 사장은 40.5%, 동료는 4.6%로 조사됐다. 높은 지위에 있는 ‘윗분’들이 저지르는 파렴치한 성희롱의 건수가 절대적이다. 사장 및 상사에 의한 성희롱은 2009년 77.7%, 2010년 85.4%, 2011년 90.2%로 증가하는 추세다. 사회적 변화와는 달리 지위를 내세운 부도덕한 마초들의 인식은 변할 줄 모르는 것이다. 한심하기 짝이 없다.
그러나 여성들 스스로 쉽게 나서지 못하는 게 현실이다. 성추행한 상대방에게 항의하거나 저항했을 때 돌아올 불이익 탓이다. 2차 피해의 가능성에 침묵하는 것이다. 말 못하고 속 끓이는 여성들이 피해 사실을 과감하게 신고할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의 조성과 체제가 필요한 이유다. 위계에 의한 성폭력이 얼마나 악질적인지를 깨달을 수 있도록 가해자에 대한 엄벌도 필수다. 당연히 ‘위계’라는 수식어가 붙을 만한 사람들의 인식 전환이 뒤따라야 한다.
jin@seoul.co.kr
김진아 사회부 기자
최근 미성년자에게 연예인이 되도록 도와주겠다며 꾀어 간음한 혐의를 받고 있는 방송인 고영욱도, 소속사 연습생들을 성폭행해 구속기소된 연예기획사 대표도, 모두 자신의 ‘힘’으로 여성들에게 깊은 상처를 안겨 준 사례들이다.
올해 초 한국여성노동자회가 발간한 ‘2011년 평등의 전화’ 보고서를 보면 상사에 의한 성희롱은 49.7%, 사장은 40.5%, 동료는 4.6%로 조사됐다. 높은 지위에 있는 ‘윗분’들이 저지르는 파렴치한 성희롱의 건수가 절대적이다. 사장 및 상사에 의한 성희롱은 2009년 77.7%, 2010년 85.4%, 2011년 90.2%로 증가하는 추세다. 사회적 변화와는 달리 지위를 내세운 부도덕한 마초들의 인식은 변할 줄 모르는 것이다. 한심하기 짝이 없다.
그러나 여성들 스스로 쉽게 나서지 못하는 게 현실이다. 성추행한 상대방에게 항의하거나 저항했을 때 돌아올 불이익 탓이다. 2차 피해의 가능성에 침묵하는 것이다. 말 못하고 속 끓이는 여성들이 피해 사실을 과감하게 신고할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의 조성과 체제가 필요한 이유다. 위계에 의한 성폭력이 얼마나 악질적인지를 깨달을 수 있도록 가해자에 대한 엄벌도 필수다. 당연히 ‘위계’라는 수식어가 붙을 만한 사람들의 인식 전환이 뒤따라야 한다.
jin@seoul.co.kr
2012-07-21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