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수사] 檢 “‘李 큰산’ 넘었으니 ‘朴 언덕’ 넘으면 수사 끝난다”

[저축은행 수사] 檢 “‘李 큰산’ 넘었으니 ‘朴 언덕’ 넘으면 수사 끝난다”

입력 2012-07-20 00:00
업데이트 2012-07-20 00: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저축銀 비리 수사 90% 마무리… 대선자금 제외 논란

“박지원·정두언 의원에 대한 수사만 마무리되면 저축은행 비리 수사는 90% 끝난 셈이다.” 이상득(77) 전 새누리당 의원의 구속으로 ‘큰 산’을 넘은 검찰이 박지원(70) 민주통합당 원내대표 수사를 끝으로 사실상 저축은행 관련 수사를 마무리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저축은행에서 이 전 의원 등에게 건네진 돈이 대선자금으로 사용된 정황이 곳곳에서 드러났지만 사실상 대선자금 부분은 손대지 않겠다는 것이어서 논란이 일 전망이다.

검찰 관계자는 19일 “정두언(55) 새누리당 의원과 박 원내대표가 사법처리되면 저축은행 비리 수사가 막바지에 다다른 것이라고 보면 된다.”면서 “(유력 정치인인) 두 사람을 사법처리한 후 저축은행 비리 수사를 사실상 마무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단서가 드러나면 무엇이든 수사하는 것”이라고 여러 차례 강조해 왔지만 정황이 속속 드러나고 있는 대선자금 부분에 대해 수사하지 않겠다는 데 무게가 실려 있는 언급이다.

앞서 대검찰청 산하 저축은행 비리 합동수사단(단장 최운식)은 2007년 대선 직전 임석(50·구속기소) 솔로몬저축은행 회장이 이 전 의원에게 3억원을 건넨 것과 관련, 임 회장으로부터 “선거에 도움을 주기 위해서였다.”는 진술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 전 의원도 일부 금품수수 혐의를 인정했다. 임 회장으로부터 1억여원을 수수한 혐의로 지난 5일 검찰 조사를 받은 정 의원 역시 돈을 받은 사실은 부인하면서도 대선 직전 임 회장을 이 전 의원에게 소개해 준 점은 인정했다. 이 때문에 검찰 안팎에서는 두 의원에 대한 수사가 대선자금 수사로 확대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됐었다. 파이시티 인허가 비리로 구속기소된 최시중(77) 전 방송통신위원장도 지난 17일 열린 재판에서 “대선자금으로 6억원을 받았다.”고 밝혀 대선자금 수사에 대한 여론의 압박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금융감독원·국세청 등 금융 및 세무당국과 청와대 인사들에 대한 저축은행의 전방위 로비 수사도 사실상 마무리 수순에 들어갔다.

합수단은 한국저축은행으로부터 세무조사 편의를 봐 달라는 청탁과 함께 3000여만원을 받은 장모(57) 전 세무서장을 구속하는 등 이들에 대한 본격적인 사법처리에 착수했다. 임 회장에게서 금품을 받은 김희중(44) 전 청와대 제1부속실장, 김찬경(56·구속기소) 미래저축은행 회장으로부터 금괴를 수수한 김세욱(58) 전 청와대 행정관에 대한 처리가 끝나면 로비 수사도 마무리될 전망이다. 일각에선 청와대 전직 비서관급 인사 등 추가 연루자 이름도 오르내리지만 검찰 관계자는 “현재까지는 저축은행 로비에 연루된 청와대 인사가 더 이상 나오지 않아 두 사람을 사법처리하는 선에서 수사가 마무리될 것”이라고 말했다.

홍인기기자 ikik@seoul.co.kr

2012-07-20 3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