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할머니들 ‘성노예’ 명칭에 강한 거부감
일본군 위안부를 ‘성노예’로 바꿔 부르겠다는 정부 방침이 생채기에 소금을 뿌린 듯 쓰라린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일본의 진정한 사과가 해법임을 알면서도 정부가 이를 해결할 생각은 하지 않고 본질에서 벗어나 엉뚱하게 용어에 집착한다는 지적이다. 피해 할머니들은 “미국 국무장관 말 한마디에 외교통상부 장관이 ‘경거망동’하고 있다.”며 실망감을 표하기도 했다.위안부 소녀상은 위안부 문제를 해결하지 않는 일본을 규탄하기 위해 지난해 12월 서울 종로구 중학동 일본대사관 앞에 세워졌다.
손형준기자 boltagoo@seoul.co.kr
손형준기자 boltagoo@seoul.co.kr
이들은 “‘위안부’라는 단어는 일본에서 비롯됐고, 국제사회에서는 ‘성노예’라고 표현하며 일본의 범죄를 인정하고 있는데, 정작 피해자인 우리는 용어 하나 못 정하고 있다.”며 정부의 개념 없는 대응을 강하게 비판했다.
강일출(84) 할머니는 “강제로 끌려가 노예생활을 했으니 노예 아니냐.”면서도 “피해자는 우린데 용어 하나까지 일본과 미국이 정하는 현실이 안타깝다.”고 토로했다. 박옥선(88) 할머니는 “위안부도, 성노예도 치욕스럽기는 마찬가지다. 뭐라 불러도 상관없다. 맺힌 한이나 풀어 달라.”고 목청을 돋웠다.
유희남(84) 할머니는 “성노예가 틀린 말은 아니지만 다시 상처를 건드리는 것 같아 생각하기도 싫다.”고 말했고, 배춘희(89) 할머니는 “굳이 바꿀 필요가 있느냐.”고 되물었다. 귀가 어두워 말을 잘 알아듣지 못하는 김순옥(90)·김군자(86) 할머니는 따로 의견을 말하지 않았다. 그들의 바람은 가슴의 한을 씻어 줄 사과의 말 한마디 듣는 것 그뿐이었다. 용어를 바꾸는 문제는 중요치 않았다.
안신권 나눔의 집 소장은 “수년 전부터 제기됐음에도 반응조차 없더니 미국 국무장관의 말 한마디에 대뜸 바꾸겠다고 나서는 것은 무슨 행태냐.”면서 “정부가 위안부 문제를 해결할 의지가 없다는 증거”라고 비판했다. 그는 “위안부는 가해자의 용어이며, 본질적으로는 성노예라는 말이 맞지만 정서상 받아들이기 쉽지 않다.”면서 ‘일본군 강제 동원 피해자’라는 표현을 제안했다.
대의를 위해 대외적으로 성노예라는 용어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는 견해도 있었다. 할머니들을 돌보는 박향혜(50·여) 한양사이버대 사회복지학부 실습생은 “미국인 친구에게 ‘성노예’라고 설명했더니 금방 이해하더라.”면서 “국제적으로 알리기에는 성노예라는 표현이 적확하다.”고 말했다.
글 사진 이영준기자 apple@seoul.co.kr
2012-07-16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